[심층취재] 폐기 대상 ‘노후 가스통’ 무방비 유통
입력 2013.02.06 (21:14)
수정 2013.02.06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주택가에 방치된 LP가스 용기들입니다.
이런 가스통들에 대해 정부가 지난 2011년부터 사용연한제를 도입했는데요.
만든 지 26년이 지나면 강제로 폐기해야 합니다.
가스 누출이나 폭발 위험이 커지기 때문인데 폐기돼야 할 이런 가스용기들의 상당 수가 시중에 버젓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손원혁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강원도 삼척에서 27명의 부상자를 낸 가스 폭발 사고.
가스 용기에서 새어나온 LP가스가 원인이었습니다.
서울의 한 반찬 가게.
LP가스 용기에 1983년에 생산됐다는 숫자 83이 보입니다.
26년이 지났기 때문에 이미 폐기됐어야 할 용기입니다.
이 동네에서도 폐기됐어야 할 85년산 가스 용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20년 넘게 계속된 도색으로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조차 없는 용기가 비일비재합니다.
가스 충전소나 판매소는 하나에 6만 원이 넘는 비용 때문에 새 용기 구매를 꺼리는 상황.
가스 용기가 여러 충전소와 판매소로 돌고 돌기 때문에 소유도 분명하지 않습니다.
<인터뷰> OO LPG충전소 관계자 : "자꾸자꾸 사야 하는데 그런 애로 사항이 있다 보니까 눈치를 보는 상황이죠. 딴 데서 사면 우리도 적극적으로 사죠."
LPG용기 검사소에서 폐기 용기에 구멍을 뚫어야 하지만 충전소에 그대로 돌려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LPG용기 검사소 관계자 : "(구멍을) 안 뚫는 게 아니라 그냥 내버려 두는 거예요. (충전소에서)나중에 쓰려고."
문제는 오래된 가스통의 사고 위험입니다.
오래된 가스용기는 받침대의 손상이나 부식으로 쓰러질 수 있고 용접 부위에 생기는 미세한 구멍으로 가스가 누출돼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청균(홍익대학교 교수) : "(25년 이전 용기는)8.1%의 불량률을 나타냈죠. 이전 용기에 4.1~4.7%에 비하면 두 배 정도 높은 것이기 때문에..."
오는 2015년까지 폐기해야 할 용기만 4백 33만개.
현재 유통량의 42%에 해당합니다.
지식경제부와 가스안전공사는 실제 용기 몇 개가 폐기됐는지는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주택가에 방치된 LP가스 용기들입니다.
이런 가스통들에 대해 정부가 지난 2011년부터 사용연한제를 도입했는데요.
만든 지 26년이 지나면 강제로 폐기해야 합니다.
가스 누출이나 폭발 위험이 커지기 때문인데 폐기돼야 할 이런 가스용기들의 상당 수가 시중에 버젓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손원혁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강원도 삼척에서 27명의 부상자를 낸 가스 폭발 사고.
가스 용기에서 새어나온 LP가스가 원인이었습니다.
서울의 한 반찬 가게.
LP가스 용기에 1983년에 생산됐다는 숫자 83이 보입니다.
26년이 지났기 때문에 이미 폐기됐어야 할 용기입니다.
이 동네에서도 폐기됐어야 할 85년산 가스 용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20년 넘게 계속된 도색으로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조차 없는 용기가 비일비재합니다.
가스 충전소나 판매소는 하나에 6만 원이 넘는 비용 때문에 새 용기 구매를 꺼리는 상황.
가스 용기가 여러 충전소와 판매소로 돌고 돌기 때문에 소유도 분명하지 않습니다.
<인터뷰> OO LPG충전소 관계자 : "자꾸자꾸 사야 하는데 그런 애로 사항이 있다 보니까 눈치를 보는 상황이죠. 딴 데서 사면 우리도 적극적으로 사죠."
LPG용기 검사소에서 폐기 용기에 구멍을 뚫어야 하지만 충전소에 그대로 돌려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LPG용기 검사소 관계자 : "(구멍을) 안 뚫는 게 아니라 그냥 내버려 두는 거예요. (충전소에서)나중에 쓰려고."
문제는 오래된 가스통의 사고 위험입니다.
오래된 가스용기는 받침대의 손상이나 부식으로 쓰러질 수 있고 용접 부위에 생기는 미세한 구멍으로 가스가 누출돼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청균(홍익대학교 교수) : "(25년 이전 용기는)8.1%의 불량률을 나타냈죠. 이전 용기에 4.1~4.7%에 비하면 두 배 정도 높은 것이기 때문에..."
오는 2015년까지 폐기해야 할 용기만 4백 33만개.
현재 유통량의 42%에 해당합니다.
지식경제부와 가스안전공사는 실제 용기 몇 개가 폐기됐는지는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폐기 대상 ‘노후 가스통’ 무방비 유통
-
- 입력 2013-02-06 21:14:52
- 수정2013-02-06 21:59:21
<앵커 멘트>
주택가에 방치된 LP가스 용기들입니다.
이런 가스통들에 대해 정부가 지난 2011년부터 사용연한제를 도입했는데요.
만든 지 26년이 지나면 강제로 폐기해야 합니다.
가스 누출이나 폭발 위험이 커지기 때문인데 폐기돼야 할 이런 가스용기들의 상당 수가 시중에 버젓이 유통되고 있습니다.
그 실태를 손원혁 기자가 심층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해 8월 강원도 삼척에서 27명의 부상자를 낸 가스 폭발 사고.
가스 용기에서 새어나온 LP가스가 원인이었습니다.
서울의 한 반찬 가게.
LP가스 용기에 1983년에 생산됐다는 숫자 83이 보입니다.
26년이 지났기 때문에 이미 폐기됐어야 할 용기입니다.
이 동네에서도 폐기됐어야 할 85년산 가스 용기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20년 넘게 계속된 도색으로 언제 만들어졌는지 알 수조차 없는 용기가 비일비재합니다.
가스 충전소나 판매소는 하나에 6만 원이 넘는 비용 때문에 새 용기 구매를 꺼리는 상황.
가스 용기가 여러 충전소와 판매소로 돌고 돌기 때문에 소유도 분명하지 않습니다.
<인터뷰> OO LPG충전소 관계자 : "자꾸자꾸 사야 하는데 그런 애로 사항이 있다 보니까 눈치를 보는 상황이죠. 딴 데서 사면 우리도 적극적으로 사죠."
LPG용기 검사소에서 폐기 용기에 구멍을 뚫어야 하지만 충전소에 그대로 돌려주고 있습니다.
<인터뷰> LPG용기 검사소 관계자 : "(구멍을) 안 뚫는 게 아니라 그냥 내버려 두는 거예요. (충전소에서)나중에 쓰려고."
문제는 오래된 가스통의 사고 위험입니다.
오래된 가스용기는 받침대의 손상이나 부식으로 쓰러질 수 있고 용접 부위에 생기는 미세한 구멍으로 가스가 누출돼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인터뷰> 김청균(홍익대학교 교수) : "(25년 이전 용기는)8.1%의 불량률을 나타냈죠. 이전 용기에 4.1~4.7%에 비하면 두 배 정도 높은 것이기 때문에..."
오는 2015년까지 폐기해야 할 용기만 4백 33만개.
현재 유통량의 42%에 해당합니다.
지식경제부와 가스안전공사는 실제 용기 몇 개가 폐기됐는지는 파악하지 못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손원혁입니다.
-
-
손원혁 기자 wh_son@kbs.co.kr
손원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