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경찰 ‘떡값’ 관행 덜미

입력 2013.02.19 (10:59) 수정 2013.02.19 (12: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태국 경찰관들이 지난 설 연휴에 이른바 '떡값'을 받으려다 덜미를 잡혔습니다.

경찰을 관할하는 태국 부총리는 이를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해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방콕 한재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설 연휴 첫날인 지난 9일.

방콕 경찰관 3명이 차이나타운 근처의 한 태국 상점으로 들어갑니다.

이들은 양복점 주인을 만나 설 떡값을 요구합니다.

이 장면은 고스란히 CCTV에 찍혔고, 현장에 있던 태국 기자에게도 발각돼 그대로 방송을 탔습니다.

<인터뷰> 타넷(양복점 주인) : "평소 알고 지내는 사이니까 경찰이 저한테 떡값을 달라고 한 겁니다."

태국에선 설에 경찰이 중국인 가게에서 '앙 빠오'로 불리는 떡값을 받는 관행이 여전합니다.

그동안 아무도 이를 문제삼지 않는 분위기였는데 CCTV가 공개되면서 3명 모두 중징계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지티마(방콕 시민) : "떡값은 보통 사람끼리 주고받는 거죠. 경찰이 떡값을 요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예요."

그런데 경찰 간부 출신의 찰럼 부총리가 떡값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해 구설수에 올랐습니다.

"중국인들은 선의로 경찰에 설 떡값을 준다. 이는 태국 사회의 전통이니 이번 일로 규정을 바꿀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떡값을 요구한 곳이 중국 상점이고, 드러나지만 않았다면 문제될 게 없다는 뜻으로 오해할 소지도 있습니다.

지난해 태국의 부패지수는 세계 88위, 3년 연속 추락했습니다.

태국 시민들은 이번 떡값 파문이 전체 공직사회에 '자정'과 '청렴'의 메시지를 던졌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한재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태국 경찰 ‘떡값’ 관행 덜미
    • 입력 2013-02-19 11:02:58
    • 수정2013-02-19 12:47:42
    지구촌뉴스
<앵커 멘트>

태국 경찰관들이 지난 설 연휴에 이른바 '떡값'을 받으려다 덜미를 잡혔습니다.

경찰을 관할하는 태국 부총리는 이를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해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

방콕 한재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설 연휴 첫날인 지난 9일.

방콕 경찰관 3명이 차이나타운 근처의 한 태국 상점으로 들어갑니다.

이들은 양복점 주인을 만나 설 떡값을 요구합니다.

이 장면은 고스란히 CCTV에 찍혔고, 현장에 있던 태국 기자에게도 발각돼 그대로 방송을 탔습니다.

<인터뷰> 타넷(양복점 주인) : "평소 알고 지내는 사이니까 경찰이 저한테 떡값을 달라고 한 겁니다."

태국에선 설에 경찰이 중국인 가게에서 '앙 빠오'로 불리는 떡값을 받는 관행이 여전합니다.

그동안 아무도 이를 문제삼지 않는 분위기였는데 CCTV가 공개되면서 3명 모두 중징계를 받았습니다.

<인터뷰> 지티마(방콕 시민) : "떡값은 보통 사람끼리 주고받는 거죠. 경찰이 떡값을 요구하는 것은 있을 수 없는 일이예요."

그런데 경찰 간부 출신의 찰럼 부총리가 떡값을 두둔하는 듯한 발언을 해 구설수에 올랐습니다.

"중국인들은 선의로 경찰에 설 떡값을 준다. 이는 태국 사회의 전통이니 이번 일로 규정을 바꿀 필요는 없을 것"이라고 했습니다.

만약 떡값을 요구한 곳이 중국 상점이고, 드러나지만 않았다면 문제될 게 없다는 뜻으로 오해할 소지도 있습니다.

지난해 태국의 부패지수는 세계 88위, 3년 연속 추락했습니다.

태국 시민들은 이번 떡값 파문이 전체 공직사회에 '자정'과 '청렴'의 메시지를 던졌다고 입을 모았습니다.

방콕에서 KBS 뉴스 한재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