돼지 순대·곱창, 외산에 밀려 판로 확보 고전
입력 2013.03.09 (06:20)
수정 2013.03.09 (09:2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돼지 순대와 곱창, 많이들 드시죠?
그런데 이런 돼지 부산물도 국내산이 외국산에 밀려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순대와 곱창을 파는 식당이 몰려 있는 곳입니다.
저렴한 가격에 맛도 좋고 영양도 풍부해 손님들이 줄지어 찾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지수(전주시 금암동) : "맛있기도 하고, 영양 같은 것도 많기도 하고 먹는 재미같은 것도 있어서 자주 먹으러 와요."
하지만 돼지 부산물을 가공하는 업체들의 형편은 다릅니다.
예전에는 회전율이 빨라 재고를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요즘은 도축 가공한 지 6개월이 넘었는데도, 이렇게 창고 가득 쌓여 있습니다.
생산량의 30퍼센트만 팔려 나머지는 냉동 창고에 보관하거나 버리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구제역으로 외국산이 시장을 장악한 이후 고전을 면치 못하는데다 최근에는 소비감소로 판로를 찾기 더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가격도 폭락했습니다.
돼지 한 마리에서 나오는 부산물이 2만 원선에 거래되다가 최근에는 3천 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인터뷰> 이승민(육가공업체 상무) : "지금 국내산 곱창류들마저도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고 있어서 지금 재고가 과다한 상태이고 그게 육가공업체 경영압박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돼지값 하락에 부산물도 외국산에 밀리면서 양돈 농가와 가공 업체들이 시름에 잠겨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돼지 순대와 곱창, 많이들 드시죠?
그런데 이런 돼지 부산물도 국내산이 외국산에 밀려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순대와 곱창을 파는 식당이 몰려 있는 곳입니다.
저렴한 가격에 맛도 좋고 영양도 풍부해 손님들이 줄지어 찾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지수(전주시 금암동) : "맛있기도 하고, 영양 같은 것도 많기도 하고 먹는 재미같은 것도 있어서 자주 먹으러 와요."
하지만 돼지 부산물을 가공하는 업체들의 형편은 다릅니다.
예전에는 회전율이 빨라 재고를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요즘은 도축 가공한 지 6개월이 넘었는데도, 이렇게 창고 가득 쌓여 있습니다.
생산량의 30퍼센트만 팔려 나머지는 냉동 창고에 보관하거나 버리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구제역으로 외국산이 시장을 장악한 이후 고전을 면치 못하는데다 최근에는 소비감소로 판로를 찾기 더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가격도 폭락했습니다.
돼지 한 마리에서 나오는 부산물이 2만 원선에 거래되다가 최근에는 3천 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인터뷰> 이승민(육가공업체 상무) : "지금 국내산 곱창류들마저도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고 있어서 지금 재고가 과다한 상태이고 그게 육가공업체 경영압박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돼지값 하락에 부산물도 외국산에 밀리면서 양돈 농가와 가공 업체들이 시름에 잠겨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돼지 순대·곱창, 외산에 밀려 판로 확보 고전
-
- 입력 2013-03-09 08:19:30
- 수정2013-03-09 09:26:51

<앵커 멘트>
돼지 순대와 곱창, 많이들 드시죠?
그런데 이런 돼지 부산물도 국내산이 외국산에 밀려 판로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종완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순대와 곱창을 파는 식당이 몰려 있는 곳입니다.
저렴한 가격에 맛도 좋고 영양도 풍부해 손님들이 줄지어 찾고 있습니다.
<인터뷰> 전지수(전주시 금암동) : "맛있기도 하고, 영양 같은 것도 많기도 하고 먹는 재미같은 것도 있어서 자주 먹으러 와요."
하지만 돼지 부산물을 가공하는 업체들의 형편은 다릅니다.
예전에는 회전율이 빨라 재고를 찾아보기 힘들었지만, 요즘은 도축 가공한 지 6개월이 넘었는데도, 이렇게 창고 가득 쌓여 있습니다.
생산량의 30퍼센트만 팔려 나머지는 냉동 창고에 보관하거나 버리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구제역으로 외국산이 시장을 장악한 이후 고전을 면치 못하는데다 최근에는 소비감소로 판로를 찾기 더 어려워졌기 때문입니다.
가격도 폭락했습니다.
돼지 한 마리에서 나오는 부산물이 2만 원선에 거래되다가 최근에는 3천 원까지 떨어졌습니다.
<인터뷰> 이승민(육가공업체 상무) : "지금 국내산 곱창류들마저도 소비자들에게 외면을 받고 있어서 지금 재고가 과다한 상태이고 그게 육가공업체 경영압박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돼지값 하락에 부산물도 외국산에 밀리면서 양돈 농가와 가공 업체들이 시름에 잠겨 있습니다.
KBS 뉴스 이종완입니다.
-
-
이종완 기자 rheejw@kbs.co.kr
이종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