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치품 규제 구체화…北 ‘정권 유지 타격예상’
입력 2013.03.09 (06:32)
수정 2013.03.09 (14: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번 유엔 제재결의안은 북한 최고지도부가 즐겨 쓰는 수입 사치품 규제 품록이 최초로 구체적으로 명시됐습니다.
이런 사치품이 지도층의 충성을 이끌어내는 하사품으로도 쓰였다는 점에서 북한의 정권 유지 차원에서도 타격이 예상됩니다.
김용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례식 장면입니다.
영구차로 사용된 최고급 리무진을 비롯해 벤츠, 폭스바겐 등 수입차가 즐비합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는 지난해 전문가 보고서에서 북한이 지난 2008년 8천만 원 상당의 중고 벤츠 차량 3대를 구매하는 등 고가품 수입이 장기간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 등 북한 최고 지도부는 그동안 이런 사치품을 지도층에 하사하고 충성심을 이끌어내 정권 유지 수단으로 활용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유엔 안보리가 제재안에 고급 차량과 요트, 보석류 등을 북한이 수입하는 것을 규제하기로 한 것은 통치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제재 결의에서 구체적인 품목을 정하지 못한 것과 달리 북한 지도부를 직접 노린 '처벌적 성격'이 강화됐다는 평갑니다.
<인터뷰> 정성장(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북한 지도부의 사치품 밀수와 고위 간부들에 대한 선물정치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규정 품목 이외에는 사치품에 대한 각국의 기준이 크게 달라 이번 규제가 효과를 거두려면 회원국들간에 공조를 위한 별도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용덕입니다.
이번 유엔 제재결의안은 북한 최고지도부가 즐겨 쓰는 수입 사치품 규제 품록이 최초로 구체적으로 명시됐습니다.
이런 사치품이 지도층의 충성을 이끌어내는 하사품으로도 쓰였다는 점에서 북한의 정권 유지 차원에서도 타격이 예상됩니다.
김용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례식 장면입니다.
영구차로 사용된 최고급 리무진을 비롯해 벤츠, 폭스바겐 등 수입차가 즐비합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는 지난해 전문가 보고서에서 북한이 지난 2008년 8천만 원 상당의 중고 벤츠 차량 3대를 구매하는 등 고가품 수입이 장기간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 등 북한 최고 지도부는 그동안 이런 사치품을 지도층에 하사하고 충성심을 이끌어내 정권 유지 수단으로 활용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유엔 안보리가 제재안에 고급 차량과 요트, 보석류 등을 북한이 수입하는 것을 규제하기로 한 것은 통치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제재 결의에서 구체적인 품목을 정하지 못한 것과 달리 북한 지도부를 직접 노린 '처벌적 성격'이 강화됐다는 평갑니다.
<인터뷰> 정성장(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북한 지도부의 사치품 밀수와 고위 간부들에 대한 선물정치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규정 품목 이외에는 사치품에 대한 각국의 기준이 크게 달라 이번 규제가 효과를 거두려면 회원국들간에 공조를 위한 별도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용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치품 규제 구체화…北 ‘정권 유지 타격예상’
-
- 입력 2013-03-09 08:33:00
- 수정2013-03-09 14:23:25

<앵커 멘트>
이번 유엔 제재결의안은 북한 최고지도부가 즐겨 쓰는 수입 사치품 규제 품록이 최초로 구체적으로 명시됐습니다.
이런 사치품이 지도층의 충성을 이끌어내는 하사품으로도 쓰였다는 점에서 북한의 정권 유지 차원에서도 타격이 예상됩니다.
김용덕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장례식 장면입니다.
영구차로 사용된 최고급 리무진을 비롯해 벤츠, 폭스바겐 등 수입차가 즐비합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위원회는 지난해 전문가 보고서에서 북한이 지난 2008년 8천만 원 상당의 중고 벤츠 차량 3대를 구매하는 등 고가품 수입이 장기간 광범위하게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김정은 등 북한 최고 지도부는 그동안 이런 사치품을 지도층에 하사하고 충성심을 이끌어내 정권 유지 수단으로 활용해왔습니다.
이에 따라 유엔 안보리가 제재안에 고급 차량과 요트, 보석류 등을 북한이 수입하는 것을 규제하기로 한 것은 통치력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제재 결의에서 구체적인 품목을 정하지 못한 것과 달리 북한 지도부를 직접 노린 '처벌적 성격'이 강화됐다는 평갑니다.
<인터뷰> 정성장(세종연구소 수석연구위원) : "북한 지도부의 사치품 밀수와 고위 간부들에 대한 선물정치가 큰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그러나 규정 품목 이외에는 사치품에 대한 각국의 기준이 크게 달라 이번 규제가 효과를 거두려면 회원국들간에 공조를 위한 별도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용덕입니다.
-
-
김용덕 기자 kospirit@kbs.co.kr
김용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