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적극 동참?
입력 2013.03.09 (06:33)
수정 2013.03.09 (12: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조치의 관건은 중국의 결의안 이행 여부인데요
중국이 안보리의 결의안대로 강도높은 대북 제재를 실시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박정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정부가 지난달 세관 등에 보낸 공문입니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을 철저히 준수하라는 내용입니다.
단둥 등 접경 지역에서 북한 화물에 대한 통관이 강화된 것도 이 같은 지시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대북 정책이 바뀐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윱니다.
중국 언론들도 북한의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환구시보는 북한은 이번 안보리의 결의안을 이성적으로 봐야 한다며 중국이 찬성표를 던진 의미를 가볍게 보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주변국들의 냉정과 자제를 호소했습니다.
<인터뷰) 화춘잉(중국 외교부 대변인) : "관련국들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하면서 정세 긴장을 격화시키는 행동을 하지 않기를 호소합니다."
6자 회담이라는 틀 안에서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도 강조했습니다.
당장 북한을 압박하기보다는 설득에 나설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북핵 문제에서 중재자 역할을 강조해온 중국이 어떤 강도로 안보리 결의안을 이행할지 주목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조치의 관건은 중국의 결의안 이행 여부인데요
중국이 안보리의 결의안대로 강도높은 대북 제재를 실시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박정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정부가 지난달 세관 등에 보낸 공문입니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을 철저히 준수하라는 내용입니다.
단둥 등 접경 지역에서 북한 화물에 대한 통관이 강화된 것도 이 같은 지시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대북 정책이 바뀐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윱니다.
중국 언론들도 북한의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환구시보는 북한은 이번 안보리의 결의안을 이성적으로 봐야 한다며 중국이 찬성표를 던진 의미를 가볍게 보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주변국들의 냉정과 자제를 호소했습니다.
<인터뷰) 화춘잉(중국 외교부 대변인) : "관련국들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하면서 정세 긴장을 격화시키는 행동을 하지 않기를 호소합니다."
6자 회담이라는 틀 안에서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도 강조했습니다.
당장 북한을 압박하기보다는 설득에 나설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북핵 문제에서 중재자 역할을 강조해온 중국이 어떤 강도로 안보리 결의안을 이행할지 주목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중국,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적극 동참?
-
- 입력 2013-03-09 08:34:28
- 수정2013-03-09 12:27:29

<앵커 멘트>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조치의 관건은 중국의 결의안 이행 여부인데요
중국이 안보리의 결의안대로 강도높은 대북 제재를 실시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박정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정부가 지난달 세관 등에 보낸 공문입니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을 철저히 준수하라는 내용입니다.
단둥 등 접경 지역에서 북한 화물에 대한 통관이 강화된 것도 이 같은 지시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대북 정책이 바뀐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윱니다.
중국 언론들도 북한의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환구시보는 북한은 이번 안보리의 결의안을 이성적으로 봐야 한다며 중국이 찬성표를 던진 의미를 가볍게 보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주변국들의 냉정과 자제를 호소했습니다.
<인터뷰) 화춘잉(중국 외교부 대변인) : "관련국들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하면서 정세 긴장을 격화시키는 행동을 하지 않기를 호소합니다."
6자 회담이라는 틀 안에서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도 강조했습니다.
당장 북한을 압박하기보다는 설득에 나설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북핵 문제에서 중재자 역할을 강조해온 중국이 어떤 강도로 안보리 결의안을 이행할지 주목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유엔 안보리 대북 제재 조치의 관건은 중국의 결의안 이행 여부인데요
중국이 안보리의 결의안대로 강도높은 대북 제재를 실시할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습니다.
베이징에서 박정호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중국 정부가 지난달 세관 등에 보낸 공문입니다.
북한의 장거리 로켓 발사에 따른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결의안을 철저히 준수하라는 내용입니다.
단둥 등 접경 지역에서 북한 화물에 대한 통관이 강화된 것도 이 같은 지시 때문으로 분석됩니다.
대북 정책이 바뀐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는 이윱니다.
중국 언론들도 북한의 태도를 비판했습니다
환구시보는 북한은 이번 안보리의 결의안을 이성적으로 봐야 한다며 중국이 찬성표를 던진 의미를 가볍게 보지 말라고 촉구했습니다.
이런 가운데 중국 외교부는 주변국들의 냉정과 자제를 호소했습니다.
<인터뷰) 화춘잉(중국 외교부 대변인) : "관련국들이 냉정과 자제를 유지하면서 정세 긴장을 격화시키는 행동을 하지 않기를 호소합니다."
6자 회담이라는 틀 안에서 북한과의 대화와 협상도 강조했습니다.
당장 북한을 압박하기보다는 설득에 나설 가능성도 여전합니다.
북핵 문제에서 중재자 역할을 강조해온 중국이 어떤 강도로 안보리 결의안을 이행할지 주목됩니다.
베이징에서 KBS 뉴스 박정호입니다.
-
-
박정호 기자 jhpark@kbs.co.kr
박정호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