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포폴, 일반인도 중독 심각…무차별 확산
입력 2013.03.09 (06:35)
수정 2013.03.09 (09: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일부 연예인들 사이의 남용으로 논란이 된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이 일반인에게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500차례 넘게 프로포폴을 투약해 온 40대가 경찰에 붙잡혔는데 치료를 받다 투약한 이후 그만 중독이 되고 말았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병원에서 환자들이 수면 내시경을 받고 있습니다.
환자의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 쓰이는 프로포폴은 2년 전부터 마약류로 지정됐습니다.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46살 김 모씨는 우연히 수면 내시경을 받다 '프로포폴'에 중독됐습니다.
<인터뷰> 김 모씨(피의자/음성변조) : "내시경을 받는 과정에서 저 자신도 모르게 빠져들었습니다."
김씨는 프로포폴 456차례, 같은 효과를 내는 미다졸람 92차례를 투약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진료를 받을 때는 가족과 직원 등 10명의 명의를 사용해 마약류 단속을 피해왔습니다.
<인터뷰> 김희종(경찰) : "병원 간 의료기록이 공유되지 않는데다, 명의를 도용해 병원에서도 전혀 눈치를 못 챘습니다."
프로포폴을 맞기 위해 김씨는 지난 2년 동안 전국의 병원 300여 곳을 돌아다니며 수면 내시경 검사를 받았습니다.
하루 7번까지 검사를 받을 정도로 중독은 심각했습니다.
수면 유도제의 일종인 프로포폴은 위 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진료 도중 중독되는 이들이 늘면서, 회사원과 주부, 심지어 학생들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호(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 "편안한 느낌에 이끌려 습관적으로 사용하다보면 점점 의존적이 되고, 중독이 될 수 있습니다. "
경찰은 김 씨와 같은 사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병의원 진료 기록 등을 토대로 수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일부 연예인들 사이의 남용으로 논란이 된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이 일반인에게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500차례 넘게 프로포폴을 투약해 온 40대가 경찰에 붙잡혔는데 치료를 받다 투약한 이후 그만 중독이 되고 말았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병원에서 환자들이 수면 내시경을 받고 있습니다.
환자의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 쓰이는 프로포폴은 2년 전부터 마약류로 지정됐습니다.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46살 김 모씨는 우연히 수면 내시경을 받다 '프로포폴'에 중독됐습니다.
<인터뷰> 김 모씨(피의자/음성변조) : "내시경을 받는 과정에서 저 자신도 모르게 빠져들었습니다."
김씨는 프로포폴 456차례, 같은 효과를 내는 미다졸람 92차례를 투약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진료를 받을 때는 가족과 직원 등 10명의 명의를 사용해 마약류 단속을 피해왔습니다.
<인터뷰> 김희종(경찰) : "병원 간 의료기록이 공유되지 않는데다, 명의를 도용해 병원에서도 전혀 눈치를 못 챘습니다."
프로포폴을 맞기 위해 김씨는 지난 2년 동안 전국의 병원 300여 곳을 돌아다니며 수면 내시경 검사를 받았습니다.
하루 7번까지 검사를 받을 정도로 중독은 심각했습니다.
수면 유도제의 일종인 프로포폴은 위 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진료 도중 중독되는 이들이 늘면서, 회사원과 주부, 심지어 학생들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호(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 "편안한 느낌에 이끌려 습관적으로 사용하다보면 점점 의존적이 되고, 중독이 될 수 있습니다. "
경찰은 김 씨와 같은 사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병의원 진료 기록 등을 토대로 수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프로포폴, 일반인도 중독 심각…무차별 확산
-
- 입력 2013-03-09 08:35:10
- 수정2013-03-09 09:06:37

<앵커 멘트>
일부 연예인들 사이의 남용으로 논란이 된 수면마취제 '프로포폴'이 일반인에게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500차례 넘게 프로포폴을 투약해 온 40대가 경찰에 붙잡혔는데 치료를 받다 투약한 이후 그만 중독이 되고 말았습니다.
김소영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병원에서 환자들이 수면 내시경을 받고 있습니다.
환자의 수면을 유도하기 위해 쓰이는 프로포폴은 2년 전부터 마약류로 지정됐습니다.
중소기업을 운영하는 46살 김 모씨는 우연히 수면 내시경을 받다 '프로포폴'에 중독됐습니다.
<인터뷰> 김 모씨(피의자/음성변조) : "내시경을 받는 과정에서 저 자신도 모르게 빠져들었습니다."
김씨는 프로포폴 456차례, 같은 효과를 내는 미다졸람 92차례를 투약한 혐의를 받고 있습니다.
진료를 받을 때는 가족과 직원 등 10명의 명의를 사용해 마약류 단속을 피해왔습니다.
<인터뷰> 김희종(경찰) : "병원 간 의료기록이 공유되지 않는데다, 명의를 도용해 병원에서도 전혀 눈치를 못 챘습니다."
프로포폴을 맞기 위해 김씨는 지난 2년 동안 전국의 병원 300여 곳을 돌아다니며 수면 내시경 검사를 받았습니다.
하루 7번까지 검사를 받을 정도로 중독은 심각했습니다.
수면 유도제의 일종인 프로포폴은 위 내시경 검사 등을 통해 일반인들도 쉽게 접할 수 있습니다.
진료 도중 중독되는 이들이 늘면서, 회사원과 주부, 심지어 학생들까지 확산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성호(마취통증의학과 전문의) : "편안한 느낌에 이끌려 습관적으로 사용하다보면 점점 의존적이 되고, 중독이 될 수 있습니다. "
경찰은 김 씨와 같은 사례가 더 있을 것으로 보고, 병의원 진료 기록 등을 토대로 수사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KBS 뉴스 김소영입니다.
-
-
김소영 기자 kantapia@kbs.co.kr
김소영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