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도발 중단 강력 촉구’…핵보유국 인정 불가
입력 2013.04.03 (07:02)
수정 2013.04.03 (07: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도발 위협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미양국 외교장관은 북한이 도발 위협을 중단하고 평화의 길로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영변 핵시설 재가동 주장 등 북한의 국제사회 의무 위반에 대한 엄정 대응 방침과 북한의 도발 의지를 꺽기 위한 한미간 공조 강화도 확인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이강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미양국 새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두나라 장관은 북한의 도발 위협에 빈틈 없이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과시했습니다.
북한이 오판할 경우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하게 응징이 이뤄질 것임은 물론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단호한 대응 태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함께했습니다.
<인터뷰> 윤병세(외교부 장관)
북한의 핵무장과 영변 원자로 재가동 주장 등과 관련해 북한의 비핵화 목표는 한치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한미양국의 정책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북한이 도발 위협을 중단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다른 길을 선택할 것도 강조했습니다.
<녹취> 케리(美 국무장관)
백악관도 최근 북한의 도발 언행에 대한 오바마 대통령의 우려를 상기시키면서 북한의 올바른 선택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이런저런 주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방침도 확인됐습니다.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위협 속에 다음달 한미정상 회담은 북한에 대한 공동전략 마련에 압도될 것임이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강덕입니다.
북한의 도발 위협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미양국 외교장관은 북한이 도발 위협을 중단하고 평화의 길로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영변 핵시설 재가동 주장 등 북한의 국제사회 의무 위반에 대한 엄정 대응 방침과 북한의 도발 의지를 꺽기 위한 한미간 공조 강화도 확인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이강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미양국 새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두나라 장관은 북한의 도발 위협에 빈틈 없이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과시했습니다.
북한이 오판할 경우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하게 응징이 이뤄질 것임은 물론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단호한 대응 태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함께했습니다.
<인터뷰> 윤병세(외교부 장관)
북한의 핵무장과 영변 원자로 재가동 주장 등과 관련해 북한의 비핵화 목표는 한치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한미양국의 정책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북한이 도발 위협을 중단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다른 길을 선택할 것도 강조했습니다.
<녹취> 케리(美 국무장관)
백악관도 최근 북한의 도발 언행에 대한 오바마 대통령의 우려를 상기시키면서 북한의 올바른 선택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이런저런 주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방침도 확인됐습니다.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위협 속에 다음달 한미정상 회담은 북한에 대한 공동전략 마련에 압도될 것임이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강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미 ‘도발 중단 강력 촉구’…핵보유국 인정 불가
-
- 입력 2013-04-03 07:04:26
- 수정2013-04-03 07:49:45

<앵커 멘트>
북한의 도발 위협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미양국 외교장관은 북한이 도발 위협을 중단하고 평화의 길로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영변 핵시설 재가동 주장 등 북한의 국제사회 의무 위반에 대한 엄정 대응 방침과 북한의 도발 의지를 꺽기 위한 한미간 공조 강화도 확인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이강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미양국 새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두나라 장관은 북한의 도발 위협에 빈틈 없이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과시했습니다.
북한이 오판할 경우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하게 응징이 이뤄질 것임은 물론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단호한 대응 태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함께했습니다.
<인터뷰> 윤병세(외교부 장관)
북한의 핵무장과 영변 원자로 재가동 주장 등과 관련해 북한의 비핵화 목표는 한치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한미양국의 정책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북한이 도발 위협을 중단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다른 길을 선택할 것도 강조했습니다.
<녹취> 케리(美 국무장관)
백악관도 최근 북한의 도발 언행에 대한 오바마 대통령의 우려를 상기시키면서 북한의 올바른 선택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이런저런 주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방침도 확인됐습니다.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위협 속에 다음달 한미정상 회담은 북한에 대한 공동전략 마련에 압도될 것임이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강덕입니다.
북한의 도발 위협이 고조되는 가운데 한미양국 외교장관은 북한이 도발 위협을 중단하고 평화의 길로 나설 것을 촉구했습니다.
영변 핵시설 재가동 주장 등 북한의 국제사회 의무 위반에 대한 엄정 대응 방침과 북한의 도발 의지를 꺽기 위한 한미간 공조 강화도 확인했습니다.
워싱턴에서 이강덕 특파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한미양국 새정부 출범 이후 처음으로 열린 외교장관 회담에서 두나라 장관은 북한의 도발 위협에 빈틈 없이 대응하겠다는 의지를 과시했습니다.
북한이 오판할 경우 미국의 전폭적인 지원하게 응징이 이뤄질 것임은 물론 북한이 오판하지 않도록 단호한 대응 태세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는 데 뜻을 함께했습니다.
<인터뷰> 윤병세(외교부 장관)
북한의 핵무장과 영변 원자로 재가동 주장 등과 관련해 북한의 비핵화 목표는 한치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야 한다는 한미양국의 정책 방침을 재확인했습니다.
북한이 도발 위협을 중단하고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위한 다른 길을 선택할 것도 강조했습니다.
<녹취> 케리(美 국무장관)
백악관도 최근 북한의 도발 언행에 대한 오바마 대통령의 우려를 상기시키면서 북한의 올바른 선택을 촉구했습니다.
북한의 이런저런 주장에도 불구하고 미국 정부는 북한을 핵보유국으로 인정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방침도 확인됐습니다.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위협 속에 다음달 한미정상 회담은 북한에 대한 공동전략 마련에 압도될 것임이 분명해지고 있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이강덕입니다.
-
-
이강덕 기자 kdlee@kbs.co.kr
이강덕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