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층취재] 사상 최대 리콜…제2 ‘도요타 사태’ 우려

입력 2013.04.04 (21:16) 수정 2013.04.04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현대 기아차가 미국과 국내에서 사상 최대 리콜에 들어갔습니다.

미국 187만대, 국내 16만대 등 리콜 규모가 무려 2백만대를 넘는데요.

몇년전 도요타 사태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리콜사태의 원인과 파장을 황동진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에서 엘란트라라는 이름으로 팔리는 구형 아반떼 차량입니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량 뒷편에 불이 들어와야하지만 간혹 들어오지 않는 결함이 발견됐습니다.

스위치 마모나 접촉 불량으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겁니다.

리콜된 차량은 13개 차종, 소나타와 산타페, 쏘울 등 수출 주력 차종 대부분이 포함됐습니다.

일부 차종에선, 차량 충돌 때 에어백의 지지대가 함께 떨어져 부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도 나타났습니다.

리콜 187만대는 지난 해 현대기아차의 전체 미국 판매량보다도 61만대가 많은데, 국내 16만대를 포함해 전세계 리콜 규모가 300만대에 이를 거란 추정도 나옵니다.

이번 대량 리콜은 지난해 연비과장논란과 쏘나타와 산타페의 에어백 결함에 따른 리콜에 이은 조치로 현대기아차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정진행(현대자동차 사장) : "아무튼, 최선을 다해서 빨리 수습할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초대형 리콜로 브랜드 이미지 타격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문제는 2009년 도요타 사태 같은 대형악재로 번질 것인가 하는 우렵니다.

사망 사건이 발생한 뒤에도 사태를 방치해 1400만대를 리콜해야했던 도요타와 달리, 그나마 안전과 직접 관련 없는 자발적 리콜이란게 다른 점입니다.

<녹취> 이영규(현대차 그룹이사) :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작동 불량으로 실제 사고가 발생하거나 접수된 사례는 없습니다만 고객의 안전과 소비자보호를 위해 한국과 미국에서 자발적 리콜을 실시하게됐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를 교훈삼아 부품 품질 관리시스템 등에 대한 강도높은 혁신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터뷰> 김필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교수) : "부품의 여러가지 품질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거든요. 이런 부분들은 조금 더 앞으로는 확고히해서 품질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런 시사점이 있습니다."

리콜이 발표된 뒤 현대차와 기아차의 주가는 각각 5%와 3% 이상이 떨어졌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심층취재] 사상 최대 리콜…제2 ‘도요타 사태’ 우려
    • 입력 2013-04-04 21:17:00
    • 수정2013-04-04 22:02:56
    뉴스 9
<앵커 멘트>

현대 기아차가 미국과 국내에서 사상 최대 리콜에 들어갔습니다.

미국 187만대, 국내 16만대 등 리콜 규모가 무려 2백만대를 넘는데요.

몇년전 도요타 사태의 전철을 밟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

리콜사태의 원인과 파장을 황동진 기자가 심층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미국에서 엘란트라라는 이름으로 팔리는 구형 아반떼 차량입니다.

브레이크를 밟으면 차량 뒷편에 불이 들어와야하지만 간혹 들어오지 않는 결함이 발견됐습니다.

스위치 마모나 접촉 불량으로 신호가 전달되지 않은 겁니다.

리콜된 차량은 13개 차종, 소나타와 산타페, 쏘울 등 수출 주력 차종 대부분이 포함됐습니다.

일부 차종에선, 차량 충돌 때 에어백의 지지대가 함께 떨어져 부상을 입힐 수 있는 문제점도 나타났습니다.

리콜 187만대는 지난 해 현대기아차의 전체 미국 판매량보다도 61만대가 많은데, 국내 16만대를 포함해 전세계 리콜 규모가 300만대에 이를 거란 추정도 나옵니다.

이번 대량 리콜은 지난해 연비과장논란과 쏘나타와 산타페의 에어백 결함에 따른 리콜에 이은 조치로 현대기아차는 당혹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정진행(현대자동차 사장) : "아무튼, 최선을 다해서 빨리 수습할 방법밖에는 없습니다."

초대형 리콜로 브랜드 이미지 타격은 어느 정도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문제는 2009년 도요타 사태 같은 대형악재로 번질 것인가 하는 우렵니다.

사망 사건이 발생한 뒤에도 사태를 방치해 1400만대를 리콜해야했던 도요타와 달리, 그나마 안전과 직접 관련 없는 자발적 리콜이란게 다른 점입니다.

<녹취> 이영규(현대차 그룹이사) : "브레이크 페달 스위치 작동 불량으로 실제 사고가 발생하거나 접수된 사례는 없습니다만 고객의 안전과 소비자보호를 위해 한국과 미국에서 자발적 리콜을 실시하게됐습니다."

하지만, 이번 사태를 교훈삼아 부품 품질 관리시스템 등에 대한 강도높은 혁신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인터뷰> 김필수(대림대학교 자동차학과교수) : "부품의 여러가지 품질 시스템에 문제가 있다는 것이거든요. 이런 부분들은 조금 더 앞으로는 확고히해서 품질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 이런 시사점이 있습니다."

리콜이 발표된 뒤 현대차와 기아차의 주가는 각각 5%와 3% 이상이 떨어졌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