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 ‘전기충격기 오발’로 난동 30대 여성 실명
입력 2013.04.25 (21:38)
수정 2013.04.25 (22: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음식점에서 술에 취해 난동을 부리던 30대 여성이 경찰에 체포되는 과정에서 잘못 발사된 전기총에 맞아 시력을 잃었습니다.
테이저건이라고 불리는 이 전기총과 관련된 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술에 취한 여성이 한 남성을 마구 폭행합니다.
급기야 둔기까지 휘두르자 경찰이 출동하고, 여성과 엎치락 뒤치락 하던 중 갑자기 전기총이 발사됐습니다.
<인터뷰> 소순영(대구달서서 생안과장) : "수갑을 채우는 과정에서 오른손에 들고 있던 전기충격기가 피의자 안면에 우발적으로 오발로 발사된 사실이 있습니다."
이 여성은 왼쪽 눈부위에 전기총을 맞고 실명했습니다.
<녹취> 전기총 피해여성(음성변조) : "119 불러서 이거 빼고 가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왼쪽 눈 실명까지 할 줄은 몰랐죠."
테이저건이라 불리는 전기총은 강력범 제압을 위해 지난 2005년 일선 경찰서에 보급됐습니다.
5만 볼트의 고압전류가 흐르는 쇠침 2개가 발사돼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킵니다.
<인터뷰> 민영기(아주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전기총을 맞고)노출 시간이 길면 길수록 혈압도 더 많이 떨어지고 혈중에 젖산이 더 많이 생성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경찰은 실탄을 대체하는 비살상용 장구로 도입했다고 밝혔지만 각종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자해를 시도하던 50대 남성이 전기총을 맞은 뒤 자신이 들고 있던 흉기에 찔려 숨졌고, 2009년 쌍용차 사태 때는 근로자가 얼굴을 다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재민입니다.
음식점에서 술에 취해 난동을 부리던 30대 여성이 경찰에 체포되는 과정에서 잘못 발사된 전기총에 맞아 시력을 잃었습니다.
테이저건이라고 불리는 이 전기총과 관련된 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술에 취한 여성이 한 남성을 마구 폭행합니다.
급기야 둔기까지 휘두르자 경찰이 출동하고, 여성과 엎치락 뒤치락 하던 중 갑자기 전기총이 발사됐습니다.
<인터뷰> 소순영(대구달서서 생안과장) : "수갑을 채우는 과정에서 오른손에 들고 있던 전기충격기가 피의자 안면에 우발적으로 오발로 발사된 사실이 있습니다."
이 여성은 왼쪽 눈부위에 전기총을 맞고 실명했습니다.
<녹취> 전기총 피해여성(음성변조) : "119 불러서 이거 빼고 가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왼쪽 눈 실명까지 할 줄은 몰랐죠."
테이저건이라 불리는 전기총은 강력범 제압을 위해 지난 2005년 일선 경찰서에 보급됐습니다.
5만 볼트의 고압전류가 흐르는 쇠침 2개가 발사돼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킵니다.
<인터뷰> 민영기(아주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전기총을 맞고)노출 시간이 길면 길수록 혈압도 더 많이 떨어지고 혈중에 젖산이 더 많이 생성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경찰은 실탄을 대체하는 비살상용 장구로 도입했다고 밝혔지만 각종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자해를 시도하던 50대 남성이 전기총을 맞은 뒤 자신이 들고 있던 흉기에 찔려 숨졌고, 2009년 쌍용차 사태 때는 근로자가 얼굴을 다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재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찰 ‘전기충격기 오발’로 난동 30대 여성 실명
-
- 입력 2013-04-25 21:41:22
- 수정2013-04-25 22:00:52
<앵커 멘트>
음식점에서 술에 취해 난동을 부리던 30대 여성이 경찰에 체포되는 과정에서 잘못 발사된 전기총에 맞아 시력을 잃었습니다.
테이저건이라고 불리는 이 전기총과 관련된 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술에 취한 여성이 한 남성을 마구 폭행합니다.
급기야 둔기까지 휘두르자 경찰이 출동하고, 여성과 엎치락 뒤치락 하던 중 갑자기 전기총이 발사됐습니다.
<인터뷰> 소순영(대구달서서 생안과장) : "수갑을 채우는 과정에서 오른손에 들고 있던 전기충격기가 피의자 안면에 우발적으로 오발로 발사된 사실이 있습니다."
이 여성은 왼쪽 눈부위에 전기총을 맞고 실명했습니다.
<녹취> 전기총 피해여성(음성변조) : "119 불러서 이거 빼고 가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왼쪽 눈 실명까지 할 줄은 몰랐죠."
테이저건이라 불리는 전기총은 강력범 제압을 위해 지난 2005년 일선 경찰서에 보급됐습니다.
5만 볼트의 고압전류가 흐르는 쇠침 2개가 발사돼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킵니다.
<인터뷰> 민영기(아주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전기총을 맞고)노출 시간이 길면 길수록 혈압도 더 많이 떨어지고 혈중에 젖산이 더 많이 생성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경찰은 실탄을 대체하는 비살상용 장구로 도입했다고 밝혔지만 각종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자해를 시도하던 50대 남성이 전기총을 맞은 뒤 자신이 들고 있던 흉기에 찔려 숨졌고, 2009년 쌍용차 사태 때는 근로자가 얼굴을 다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재민입니다.
음식점에서 술에 취해 난동을 부리던 30대 여성이 경찰에 체포되는 과정에서 잘못 발사된 전기총에 맞아 시력을 잃었습니다.
테이저건이라고 불리는 이 전기총과 관련된 사고가 잇따르면서 안전성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재민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술에 취한 여성이 한 남성을 마구 폭행합니다.
급기야 둔기까지 휘두르자 경찰이 출동하고, 여성과 엎치락 뒤치락 하던 중 갑자기 전기총이 발사됐습니다.
<인터뷰> 소순영(대구달서서 생안과장) : "수갑을 채우는 과정에서 오른손에 들고 있던 전기충격기가 피의자 안면에 우발적으로 오발로 발사된 사실이 있습니다."
이 여성은 왼쪽 눈부위에 전기총을 맞고 실명했습니다.
<녹취> 전기총 피해여성(음성변조) : "119 불러서 이거 빼고 가면 된다고 생각했어요. 제가 왼쪽 눈 실명까지 할 줄은 몰랐죠."
테이저건이라 불리는 전기총은 강력범 제압을 위해 지난 2005년 일선 경찰서에 보급됐습니다.
5만 볼트의 고압전류가 흐르는 쇠침 2개가 발사돼 근육을 일시적으로 마비시킵니다.
<인터뷰> 민영기(아주대병원 응급의학과 교수) : "(전기총을 맞고)노출 시간이 길면 길수록 혈압도 더 많이 떨어지고 혈중에 젖산이 더 많이 생성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경찰은 실탄을 대체하는 비살상용 장구로 도입했다고 밝혔지만 각종 사고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지난 2010년, 자해를 시도하던 50대 남성이 전기총을 맞은 뒤 자신이 들고 있던 흉기에 찔려 숨졌고, 2009년 쌍용차 사태 때는 근로자가 얼굴을 다치기도 했습니다.
KBS 뉴스 이재민입니다.
-
-
이재민 기자 truepen@kbs.co.kr
이재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