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북한은] 北 수력발전소 건설 총력 外

입력 2013.04.27 (08:03) 수정 2013.04.27 (17:5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입니다.

북한이 공장 가동에 필수적인 전력 확보를 위해 수력발전소 건설을 늘리고 있습니다.

수력발전소 건설 소식과 시간이 갈수록 남한과 차별화되고 있는 북한의 태권도를 강주형 리포터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北 수력 발전소 건설 총력

북한이 수력 발전소 건설에 총력을 쏟고 있습니다.

북한은 해마다 수력 발전소 건설을 확대하고 있는데요.

착공은 의욕적으로 하지만, 자재와 설비 부족 등으로 완공은 차질을 빚고 있다고 합니다.

<녹취> 조선중앙 TV(지난 21일) : "당 중앙위원회 2013년 3월 전원회의 정신을 높이 받들고 떨쳐나선 백두산선군청년돌격대 함경남도려단의 청년돌격대원들이 백두산 선군청년발전소 2호 발전소 건설을 힘 있게 내밀고(진행하고) 있습니다. "

북한 곳곳에서 수력 발전소 건설이 한창입니다.

백두산선군청년발전소 2호 발전소를 비롯해 희천5호발전소, 예성강 1호, 4호발전소, 원산군민발전소까지 북한은 이달에만 발전소 5곳을 공개했습니다.

북한은 지난 3월, 당 중앙위 전원회의에서 인민 경제향상을 통한 사회주의 강성국가 건설을 강조한 바 있는데요.

이를 위해 공장 가동에 필수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발전소 건설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녹취> 조선중앙 TV(지난 21일) : "예성강 청년4호발전소 건설자들이 방수문 기둥과 회리실(터빈 부품) 타입(콘크리트 타설) 공사를 동시에 내밀어(진행해) 공사계획을 앞당기고 있습니다."

북한에서 수력발전은 화력발전과 더불어 최대 에너지원입니다.

풍부한 수자원으로 수력 발전에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말, 북한은 유엔기후협약(UNFCCC)에 백두산선군청년2호 발전소를 비롯해 6곳의 수력발전시설의 탄소배출권을 신청해 승인을 받았습니다.

북한은 6개 발전소에서 감축한 연간 20만 톤의 이산화탄소의 배출권 판매로 71만 달러, 8억 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장비와 설비 부족 등으로 공사가 지연돼 탄소배출권 사업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의 태권도는?

우리의 전통 무술인 태권도는 체력단련과 강인한 정신력, 집중력을 기를 수 있는 우리나라 국기이자 스포츠인데요.

북한 역시 국가 차원에서 태권도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녹취> 조선중앙 TV(지난 21일) : "민족의 정통 무도 태권도는 그 기술이 다양하면서도 단순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기상과 넋이 동작마다에 힘 있게 넘쳐나는 공격 기술들은..."

우리나라 전통 무술인 태권도, 지난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는 등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입니다.

북한 역시 태권도가 반만년 역사를 자랑하는 민족 전통 무술임을 강조하며 태권도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북한 TV는 태권도 소개 프로그램을 제작해 연속 방영하고 있습니다.

태권도의 기본 동작에서 응용 기술까지 자세히 소개하는데요.

우리의 태권도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는 스피드 위주의 스포츠 성격을 띄는 반면에 북한은 격렬한 동작이 주가 되는 실전 무술의 성격이 강합니다.

또, 우리의 태권도는 보호대를 착용하고 몸통 가격만 허용하지만, 북한은 보호대 대신 글로브를 착용하고 주먹으로 얼굴 가격도 허용합니다.

<녹취> 조선중앙 TV(지난 21일) : "우리 모두 태권도를 통해 몸과 마음을 굳게 다져 부강조국건설에 힘 있게 이바지해 나갑시다."

북한은 각 학교에 태권도 조직을 만들고, ‘건강 태권도’, ‘노인 태권도’ 등 연령과 체질에 맞는 태권도의 응용동작을 보급해 태권도의 대중화에 힘써왔는데요.

태권도를 통한 정통성 고취와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 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요즘 북한은] 北 수력발전소 건설 총력 外
    • 입력 2013-04-27 08:15:15
    • 수정2013-04-27 17:52:22
    남북의 창
<앵커 멘트>

북한의 최근 소식을 알아보는 <요즘 북한은>입니다.

북한이 공장 가동에 필수적인 전력 확보를 위해 수력발전소 건설을 늘리고 있습니다.

수력발전소 건설 소식과 시간이 갈수록 남한과 차별화되고 있는 북한의 태권도를 강주형 리포터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北 수력 발전소 건설 총력

북한이 수력 발전소 건설에 총력을 쏟고 있습니다.

북한은 해마다 수력 발전소 건설을 확대하고 있는데요.

착공은 의욕적으로 하지만, 자재와 설비 부족 등으로 완공은 차질을 빚고 있다고 합니다.

<녹취> 조선중앙 TV(지난 21일) : "당 중앙위원회 2013년 3월 전원회의 정신을 높이 받들고 떨쳐나선 백두산선군청년돌격대 함경남도려단의 청년돌격대원들이 백두산 선군청년발전소 2호 발전소 건설을 힘 있게 내밀고(진행하고) 있습니다. "

북한 곳곳에서 수력 발전소 건설이 한창입니다.

백두산선군청년발전소 2호 발전소를 비롯해 희천5호발전소, 예성강 1호, 4호발전소, 원산군민발전소까지 북한은 이달에만 발전소 5곳을 공개했습니다.

북한은 지난 3월, 당 중앙위 전원회의에서 인민 경제향상을 통한 사회주의 강성국가 건설을 강조한 바 있는데요.

이를 위해 공장 가동에 필수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발전소 건설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녹취> 조선중앙 TV(지난 21일) : "예성강 청년4호발전소 건설자들이 방수문 기둥과 회리실(터빈 부품) 타입(콘크리트 타설) 공사를 동시에 내밀어(진행해) 공사계획을 앞당기고 있습니다."

북한에서 수력발전은 화력발전과 더불어 최대 에너지원입니다.

풍부한 수자원으로 수력 발전에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지난해 말, 북한은 유엔기후협약(UNFCCC)에 백두산선군청년2호 발전소를 비롯해 6곳의 수력발전시설의 탄소배출권을 신청해 승인을 받았습니다.

북한은 6개 발전소에서 감축한 연간 20만 톤의 이산화탄소의 배출권 판매로 71만 달러, 8억 원의 이익을 얻을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장비와 설비 부족 등으로 공사가 지연돼 탄소배출권 사업에 차질을 빚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북한의 태권도는?

우리의 전통 무술인 태권도는 체력단련과 강인한 정신력, 집중력을 기를 수 있는 우리나라 국기이자 스포츠인데요.

북한 역시 국가 차원에서 태권도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녹취> 조선중앙 TV(지난 21일) : "민족의 정통 무도 태권도는 그 기술이 다양하면서도 단순해서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배울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우리 민족의 기상과 넋이 동작마다에 힘 있게 넘쳐나는 공격 기술들은..."

우리나라 전통 무술인 태권도, 지난 2000년 시드니 올림픽에서 정식 종목으로 채택되는 등 세계적으로 인기 있는 스포츠입니다.

북한 역시 태권도가 반만년 역사를 자랑하는 민족 전통 무술임을 강조하며 태권도를 장려하고 있습니다.

북한 TV는 태권도 소개 프로그램을 제작해 연속 방영하고 있습니다.

태권도의 기본 동작에서 응용 기술까지 자세히 소개하는데요.

우리의 태권도와 차이를 보이고 있습니다.

우리는 스피드 위주의 스포츠 성격을 띄는 반면에 북한은 격렬한 동작이 주가 되는 실전 무술의 성격이 강합니다.

또, 우리의 태권도는 보호대를 착용하고 몸통 가격만 허용하지만, 북한은 보호대 대신 글로브를 착용하고 주먹으로 얼굴 가격도 허용합니다.

<녹취> 조선중앙 TV(지난 21일) : "우리 모두 태권도를 통해 몸과 마음을 굳게 다져 부강조국건설에 힘 있게 이바지해 나갑시다."

북한은 각 학교에 태권도 조직을 만들고, ‘건강 태권도’, ‘노인 태권도’ 등 연령과 체질에 맞는 태권도의 응용동작을 보급해 태권도의 대중화에 힘써왔는데요.

태권도를 통한 정통성 고취와 내부 결속을 다지려는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까지 요즘 북한은 이었습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