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인철의 신문 브리핑] “개성공단의 유고슬라비아 모델화 막겠다” 外
입력 2013.04.29 (06:30)
수정 2013.04.29 (07:0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안녕하십니까. 먼저 오늘의 신문 헤드라인 보시겠습니다.
조선일보입니다.
청와대가 "개성공단의 유고슬라비아 모델화를 막겠다"고 말했다는 기삽니다.
청와대는 1960년대 유고슬라비아가 서구에 했듯이 "남측 인력이 철수한 뒤 북한이 개성공단 시설을 독자적으로 운영해 제품을 생산하게 용인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단전과 단수를 포함한 모든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적당한 타협은 없다'라고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민청학련 사건 등 지난해 국가가 과거사 배상 소송에서 패소해 지급한 돈이 1,340억 원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올해 국가가 소송에 졌을 때 쓰라는 용도로 국회가 배정한 돈은 200억 원이지만 이달까지 이미 184억 원을 썼으며, 한국전쟁 피해까지 소송하면 배상액은 수조 원대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최근 과거사를 드러내놓고 부인하고 있는 아베 일본 총리가 어제 '주권 회복의 날' 기념식에서 "천왕 폐하 만세"를 외쳤다는 기삽니다.
여기에다 군복을 입고 전차를 탄 모습까지 공개한 아베 총리에 대해 일본 정치계는 지금 우익 목소리만 가득하다는 일본 전문가의 지적을 실었습니다.
한겨레 신문은 만약 개성공단이 폐쇄될 경우 정부는 기업들의 경제적 피해는 1조 원으로, 업계는 최대 6조 원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북한 역시 직원들의 급여인 연간 9천만 달러가 끊기면서 2,30만 주민들의 생계가 곤란해지는 등 "개성공단 파탄 때는 남도 북도 승자는 없다"라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함께 개성과 문산, 서울로 이어지는 한국전쟁 당시의 남침 경로에 북한이 이전처럼 2군단을 전진 배치할 가능성도 높아, 남북간 군사적인 긴장으로 악영향이 클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일보는 우리 잔류 인원 50명이 오늘 오후 전원 귀환해 개성공단이 9년 만에 잠정 폐쇄되면, 남북 채널이 40년 만에 모두 끊긴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우리의 기본 입장은 대화를 통해 개성공단을 정상화하는 것이므로 존폐 여부는 북한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밝혔고, 북한은 "폐쇄의 책임은 전적으로 남측이 지게 될 것이며, 반드시 비싼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위협했다는 내용입니다.
매일경제 신문은 최근 창조 경제의 바람을 타고, 벤처붐이 꺼진 지난 2,000년 이후 13년 만에 엔젤 투자자가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분석했습니다.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활성화에 힘입어 엔젤이 되겠다고 지난해 중소기업청에 가입한 투자자만 2,200여 명이고, 올해도 벌써 700여 명이 신청했다고 밝혔습니다.
다음은 신문 사설 보시겠습니다.
먼저 조선일봅니다.
조선일보는 "대기업의 실적을 더 악화시킬 엔저 쇼크는 이제부터다"라는 사설을 보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개성공단 되살리려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한 때다"
동아일보는 "대기업에 쌓인 현금은 국내외 경기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과 규제에 막힌 투자 때문이다"
경향 신문은 "개성공단을 살리기 위해 남북 모두 초심으로 돌아가야"
서울신문은 "북한은 개성시민 20여만 명의 생계를 외면할텐가"라는 사설을 실었습니다.
다음은 눈길 가는 기삽니다.
한국일보는 "평균 연봉 5220만 원, 공무원 박봉은 옛말"이라는 기사에서 평균 연봉이 처음으로 5천만 원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평균 연봉 5,220만 원은 전체 근로자 가구의 평균 연봉보다 5백만 원 가까이 많은데다 대기업과 공공기관 연봉의 90% 수준에 육박하면서 사실상 공무원의 박봉 시대는 끝났다고 전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일하는 엄마 대신 자녀의 등교를 도와주는 '등교 도우미'가 유행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부모의 출근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9시 사이, 하루 1~2시간만 일하고 40만 원 정도를 받는 등교 도우미는, 아이의 자립심을 키우는 데 방해가 되고 부모의 책임을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지만,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느는 등 흉흉한 세상인 요즘, 없어서 못 구할 정도라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
지금까지 신문 브리핑이었습니다.
조선일보입니다.
청와대가 "개성공단의 유고슬라비아 모델화를 막겠다"고 말했다는 기삽니다.
청와대는 1960년대 유고슬라비아가 서구에 했듯이 "남측 인력이 철수한 뒤 북한이 개성공단 시설을 독자적으로 운영해 제품을 생산하게 용인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단전과 단수를 포함한 모든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적당한 타협은 없다'라고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민청학련 사건 등 지난해 국가가 과거사 배상 소송에서 패소해 지급한 돈이 1,340억 원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올해 국가가 소송에 졌을 때 쓰라는 용도로 국회가 배정한 돈은 200억 원이지만 이달까지 이미 184억 원을 썼으며, 한국전쟁 피해까지 소송하면 배상액은 수조 원대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최근 과거사를 드러내놓고 부인하고 있는 아베 일본 총리가 어제 '주권 회복의 날' 기념식에서 "천왕 폐하 만세"를 외쳤다는 기삽니다.
여기에다 군복을 입고 전차를 탄 모습까지 공개한 아베 총리에 대해 일본 정치계는 지금 우익 목소리만 가득하다는 일본 전문가의 지적을 실었습니다.
한겨레 신문은 만약 개성공단이 폐쇄될 경우 정부는 기업들의 경제적 피해는 1조 원으로, 업계는 최대 6조 원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북한 역시 직원들의 급여인 연간 9천만 달러가 끊기면서 2,30만 주민들의 생계가 곤란해지는 등 "개성공단 파탄 때는 남도 북도 승자는 없다"라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함께 개성과 문산, 서울로 이어지는 한국전쟁 당시의 남침 경로에 북한이 이전처럼 2군단을 전진 배치할 가능성도 높아, 남북간 군사적인 긴장으로 악영향이 클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일보는 우리 잔류 인원 50명이 오늘 오후 전원 귀환해 개성공단이 9년 만에 잠정 폐쇄되면, 남북 채널이 40년 만에 모두 끊긴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우리의 기본 입장은 대화를 통해 개성공단을 정상화하는 것이므로 존폐 여부는 북한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밝혔고, 북한은 "폐쇄의 책임은 전적으로 남측이 지게 될 것이며, 반드시 비싼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위협했다는 내용입니다.
매일경제 신문은 최근 창조 경제의 바람을 타고, 벤처붐이 꺼진 지난 2,000년 이후 13년 만에 엔젤 투자자가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분석했습니다.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활성화에 힘입어 엔젤이 되겠다고 지난해 중소기업청에 가입한 투자자만 2,200여 명이고, 올해도 벌써 700여 명이 신청했다고 밝혔습니다.
다음은 신문 사설 보시겠습니다.
먼저 조선일봅니다.
조선일보는 "대기업의 실적을 더 악화시킬 엔저 쇼크는 이제부터다"라는 사설을 보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개성공단 되살리려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한 때다"
동아일보는 "대기업에 쌓인 현금은 국내외 경기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과 규제에 막힌 투자 때문이다"
경향 신문은 "개성공단을 살리기 위해 남북 모두 초심으로 돌아가야"
서울신문은 "북한은 개성시민 20여만 명의 생계를 외면할텐가"라는 사설을 실었습니다.
다음은 눈길 가는 기삽니다.
한국일보는 "평균 연봉 5220만 원, 공무원 박봉은 옛말"이라는 기사에서 평균 연봉이 처음으로 5천만 원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평균 연봉 5,220만 원은 전체 근로자 가구의 평균 연봉보다 5백만 원 가까이 많은데다 대기업과 공공기관 연봉의 90% 수준에 육박하면서 사실상 공무원의 박봉 시대는 끝났다고 전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일하는 엄마 대신 자녀의 등교를 도와주는 '등교 도우미'가 유행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부모의 출근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9시 사이, 하루 1~2시간만 일하고 40만 원 정도를 받는 등교 도우미는, 아이의 자립심을 키우는 데 방해가 되고 부모의 책임을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지만,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느는 등 흉흉한 세상인 요즘, 없어서 못 구할 정도라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
지금까지 신문 브리핑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인철의 신문 브리핑] “개성공단의 유고슬라비아 모델화 막겠다” 外
-
- 입력 2013-04-29 06:34:02
- 수정2013-04-29 07:07:44

안녕하십니까. 먼저 오늘의 신문 헤드라인 보시겠습니다.
조선일보입니다.
청와대가 "개성공단의 유고슬라비아 모델화를 막겠다"고 말했다는 기삽니다.
청와대는 1960년대 유고슬라비아가 서구에 했듯이 "남측 인력이 철수한 뒤 북한이 개성공단 시설을 독자적으로 운영해 제품을 생산하게 용인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단전과 단수를 포함한 모든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적당한 타협은 없다'라고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민청학련 사건 등 지난해 국가가 과거사 배상 소송에서 패소해 지급한 돈이 1,340억 원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올해 국가가 소송에 졌을 때 쓰라는 용도로 국회가 배정한 돈은 200억 원이지만 이달까지 이미 184억 원을 썼으며, 한국전쟁 피해까지 소송하면 배상액은 수조 원대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최근 과거사를 드러내놓고 부인하고 있는 아베 일본 총리가 어제 '주권 회복의 날' 기념식에서 "천왕 폐하 만세"를 외쳤다는 기삽니다.
여기에다 군복을 입고 전차를 탄 모습까지 공개한 아베 총리에 대해 일본 정치계는 지금 우익 목소리만 가득하다는 일본 전문가의 지적을 실었습니다.
한겨레 신문은 만약 개성공단이 폐쇄될 경우 정부는 기업들의 경제적 피해는 1조 원으로, 업계는 최대 6조 원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북한 역시 직원들의 급여인 연간 9천만 달러가 끊기면서 2,30만 주민들의 생계가 곤란해지는 등 "개성공단 파탄 때는 남도 북도 승자는 없다"라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함께 개성과 문산, 서울로 이어지는 한국전쟁 당시의 남침 경로에 북한이 이전처럼 2군단을 전진 배치할 가능성도 높아, 남북간 군사적인 긴장으로 악영향이 클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일보는 우리 잔류 인원 50명이 오늘 오후 전원 귀환해 개성공단이 9년 만에 잠정 폐쇄되면, 남북 채널이 40년 만에 모두 끊긴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우리의 기본 입장은 대화를 통해 개성공단을 정상화하는 것이므로 존폐 여부는 북한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밝혔고, 북한은 "폐쇄의 책임은 전적으로 남측이 지게 될 것이며, 반드시 비싼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위협했다는 내용입니다.
매일경제 신문은 최근 창조 경제의 바람을 타고, 벤처붐이 꺼진 지난 2,000년 이후 13년 만에 엔젤 투자자가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분석했습니다.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활성화에 힘입어 엔젤이 되겠다고 지난해 중소기업청에 가입한 투자자만 2,200여 명이고, 올해도 벌써 700여 명이 신청했다고 밝혔습니다.
다음은 신문 사설 보시겠습니다.
먼저 조선일봅니다.
조선일보는 "대기업의 실적을 더 악화시킬 엔저 쇼크는 이제부터다"라는 사설을 보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개성공단 되살리려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한 때다"
동아일보는 "대기업에 쌓인 현금은 국내외 경기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과 규제에 막힌 투자 때문이다"
경향 신문은 "개성공단을 살리기 위해 남북 모두 초심으로 돌아가야"
서울신문은 "북한은 개성시민 20여만 명의 생계를 외면할텐가"라는 사설을 실었습니다.
다음은 눈길 가는 기삽니다.
한국일보는 "평균 연봉 5220만 원, 공무원 박봉은 옛말"이라는 기사에서 평균 연봉이 처음으로 5천만 원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평균 연봉 5,220만 원은 전체 근로자 가구의 평균 연봉보다 5백만 원 가까이 많은데다 대기업과 공공기관 연봉의 90% 수준에 육박하면서 사실상 공무원의 박봉 시대는 끝났다고 전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일하는 엄마 대신 자녀의 등교를 도와주는 '등교 도우미'가 유행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부모의 출근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9시 사이, 하루 1~2시간만 일하고 40만 원 정도를 받는 등교 도우미는, 아이의 자립심을 키우는 데 방해가 되고 부모의 책임을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지만,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느는 등 흉흉한 세상인 요즘, 없어서 못 구할 정도라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
지금까지 신문 브리핑이었습니다.
조선일보입니다.
청와대가 "개성공단의 유고슬라비아 모델화를 막겠다"고 말했다는 기삽니다.
청와대는 1960년대 유고슬라비아가 서구에 했듯이 "남측 인력이 철수한 뒤 북한이 개성공단 시설을 독자적으로 운영해 제품을 생산하게 용인하지 않겠다"고 밝혔습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단전과 단수를 포함한 모든 대응책을 검토하고 있으며 '적당한 타협은 없다'라고 강조했다고 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민청학련 사건 등 지난해 국가가 과거사 배상 소송에서 패소해 지급한 돈이 1,340억 원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올해 국가가 소송에 졌을 때 쓰라는 용도로 국회가 배정한 돈은 200억 원이지만 이달까지 이미 184억 원을 썼으며, 한국전쟁 피해까지 소송하면 배상액은 수조 원대에 이를 것이라고 지적했습니다.
동아일보는 최근 과거사를 드러내놓고 부인하고 있는 아베 일본 총리가 어제 '주권 회복의 날' 기념식에서 "천왕 폐하 만세"를 외쳤다는 기삽니다.
여기에다 군복을 입고 전차를 탄 모습까지 공개한 아베 총리에 대해 일본 정치계는 지금 우익 목소리만 가득하다는 일본 전문가의 지적을 실었습니다.
한겨레 신문은 만약 개성공단이 폐쇄될 경우 정부는 기업들의 경제적 피해는 1조 원으로, 업계는 최대 6조 원으로 추산하고 있으며 북한 역시 직원들의 급여인 연간 9천만 달러가 끊기면서 2,30만 주민들의 생계가 곤란해지는 등 "개성공단 파탄 때는 남도 북도 승자는 없다"라고 보도했습니다.
이와 함께 개성과 문산, 서울로 이어지는 한국전쟁 당시의 남침 경로에 북한이 이전처럼 2군단을 전진 배치할 가능성도 높아, 남북간 군사적인 긴장으로 악영향이 클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한국일보는 우리 잔류 인원 50명이 오늘 오후 전원 귀환해 개성공단이 9년 만에 잠정 폐쇄되면, 남북 채널이 40년 만에 모두 끊긴다고 보도했습니다.
이에 대해 정부는 "우리의 기본 입장은 대화를 통해 개성공단을 정상화하는 것이므로 존폐 여부는 북한의 선택에 달려 있다"고 밝혔고, 북한은 "폐쇄의 책임은 전적으로 남측이 지게 될 것이며, 반드시 비싼 대가를 치르게 할 것"이라고 위협했다는 내용입니다.
매일경제 신문은 최근 창조 경제의 바람을 타고, 벤처붐이 꺼진 지난 2,000년 이후 13년 만에 엔젤 투자자가 증가세로 돌아섰다고 분석했습니다.
중소기업과 벤처기업의 활성화에 힘입어 엔젤이 되겠다고 지난해 중소기업청에 가입한 투자자만 2,200여 명이고, 올해도 벌써 700여 명이 신청했다고 밝혔습니다.
다음은 신문 사설 보시겠습니다.
먼저 조선일봅니다.
조선일보는 "대기업의 실적을 더 악화시킬 엔저 쇼크는 이제부터다"라는 사설을 보도했습니다.
중앙일보는 "개성공단 되살리려는 정부의 노력이 필요한 때다"
동아일보는 "대기업에 쌓인 현금은 국내외 경기 상황에 대한 불확실성과 규제에 막힌 투자 때문이다"
경향 신문은 "개성공단을 살리기 위해 남북 모두 초심으로 돌아가야"
서울신문은 "북한은 개성시민 20여만 명의 생계를 외면할텐가"라는 사설을 실었습니다.
다음은 눈길 가는 기삽니다.
한국일보는 "평균 연봉 5220만 원, 공무원 박봉은 옛말"이라는 기사에서 평균 연봉이 처음으로 5천만 원을 돌파했다고 밝혔습니다.
이 같은 평균 연봉 5,220만 원은 전체 근로자 가구의 평균 연봉보다 5백만 원 가까이 많은데다 대기업과 공공기관 연봉의 90% 수준에 육박하면서 사실상 공무원의 박봉 시대는 끝났다고 전했습니다.
국민일보는 일하는 엄마 대신 자녀의 등교를 도와주는 '등교 도우미'가 유행이라고 소개했습니다.
부모의 출근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9시 사이, 하루 1~2시간만 일하고 40만 원 정도를 받는 등교 도우미는, 아이의 자립심을 키우는 데 방해가 되고 부모의 책임을 떠넘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있지만,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범죄가 느는 등 흉흉한 세상인 요즘, 없어서 못 구할 정도라는 게 업계의 설명입니다.
지금까지 신문 브리핑이었습니다.
-
-
정인철 기자 iysjung@kbs.co.kr
정인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