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의회, 초강력 대북 제재 추진…중국 합류
입력 2013.04.29 (19:02)
수정 2013.04.29 (19: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북한의 도발 위협이 장기화되자, 미 의회가 강력한 대북 제재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북한의 지난 핵실험 이후 유엔의 대북 제재 이행을 위한 공문을 각 산하 기관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류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 하원에서 주도하고 있는 이번 대북 제재 법안의 핵심은, 미국이 북한은 물론 제3의 다른 나라들도 제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북한과 거래한 사실이 드러나면, 어느 국가나 기업, 은행이든 그 이후로는 미국과 거래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한 겁니다.
지금까지 북한 기업들을 제재하는 데 초점을 맞췄던 '유엔 결의안'이나 미국의 대북 제재와 크게 달라진 내용입니다.
<인터뷰> 에드 로이스(美 하원 외교위원장)
법안을 추진 중인 의원들은 북한의 돈줄을 끊어야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막을 수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중국은 북한의 지난번 핵실험에 대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라는 통지를 산하 기관에 내려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북한 핵실험과 관련 유엔안보리결의안 2094호를 설명하고 국제 의무 준수를 위해 각 기관은 결의안을 엄격히 집행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보고하라고 통지했습니다.
중국이 공문을 통해 유엔결의안 이행을 강조한 건 이번이 두번째입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북한의 도발 위협이 장기화되자, 미 의회가 강력한 대북 제재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북한의 지난 핵실험 이후 유엔의 대북 제재 이행을 위한 공문을 각 산하 기관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류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 하원에서 주도하고 있는 이번 대북 제재 법안의 핵심은, 미국이 북한은 물론 제3의 다른 나라들도 제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북한과 거래한 사실이 드러나면, 어느 국가나 기업, 은행이든 그 이후로는 미국과 거래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한 겁니다.
지금까지 북한 기업들을 제재하는 데 초점을 맞췄던 '유엔 결의안'이나 미국의 대북 제재와 크게 달라진 내용입니다.
<인터뷰> 에드 로이스(美 하원 외교위원장)
법안을 추진 중인 의원들은 북한의 돈줄을 끊어야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막을 수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중국은 북한의 지난번 핵실험에 대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라는 통지를 산하 기관에 내려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북한 핵실험과 관련 유엔안보리결의안 2094호를 설명하고 국제 의무 준수를 위해 각 기관은 결의안을 엄격히 집행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보고하라고 통지했습니다.
중국이 공문을 통해 유엔결의안 이행을 강조한 건 이번이 두번째입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美 의회, 초강력 대북 제재 추진…중국 합류
-
- 입력 2013-04-29 19:03:48
- 수정2013-04-29 19:51:59

<앵커 멘트>
북한의 도발 위협이 장기화되자, 미 의회가 강력한 대북 제재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북한의 지난 핵실험 이후 유엔의 대북 제재 이행을 위한 공문을 각 산하 기관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류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 하원에서 주도하고 있는 이번 대북 제재 법안의 핵심은, 미국이 북한은 물론 제3의 다른 나라들도 제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북한과 거래한 사실이 드러나면, 어느 국가나 기업, 은행이든 그 이후로는 미국과 거래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한 겁니다.
지금까지 북한 기업들을 제재하는 데 초점을 맞췄던 '유엔 결의안'이나 미국의 대북 제재와 크게 달라진 내용입니다.
<인터뷰> 에드 로이스(美 하원 외교위원장)
법안을 추진 중인 의원들은 북한의 돈줄을 끊어야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막을 수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중국은 북한의 지난번 핵실험에 대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라는 통지를 산하 기관에 내려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북한 핵실험과 관련 유엔안보리결의안 2094호를 설명하고 국제 의무 준수를 위해 각 기관은 결의안을 엄격히 집행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보고하라고 통지했습니다.
중국이 공문을 통해 유엔결의안 이행을 강조한 건 이번이 두번째입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북한의 도발 위협이 장기화되자, 미 의회가 강력한 대북 제재법을 추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중국은 북한의 지난 핵실험 이후 유엔의 대북 제재 이행을 위한 공문을 각 산하 기관에 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류란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미 하원에서 주도하고 있는 이번 대북 제재 법안의 핵심은, 미국이 북한은 물론 제3의 다른 나라들도 제재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북한과 거래한 사실이 드러나면, 어느 국가나 기업, 은행이든 그 이후로는 미국과 거래를 할 수 없도록 규정한 겁니다.
지금까지 북한 기업들을 제재하는 데 초점을 맞췄던 '유엔 결의안'이나 미국의 대북 제재와 크게 달라진 내용입니다.
<인터뷰> 에드 로이스(美 하원 외교위원장)
법안을 추진 중인 의원들은 북한의 돈줄을 끊어야 북한의 핵과 미사일 위협을 막을 수 있다는데 의견을 모았습니다.
중국은 북한의 지난번 핵실험에 대해 유엔 안보리 대북제재 결의를 충실히 이행하라는 통지를 산하 기관에 내려보낸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중국 교통운수부는 북한 핵실험과 관련 유엔안보리결의안 2094호를 설명하고 국제 의무 준수를 위해 각 기관은 결의안을 엄격히 집행하고 문제가 있을 경우 보고하라고 통지했습니다.
중국이 공문을 통해 유엔결의안 이행을 강조한 건 이번이 두번째입니다.
KBS 뉴스 류란입니다.
-
-
류란 기자 nany@kbs.co.kr
류란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