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화성 거주, 어떻게 가고 어떻게 하나?

입력 2013.05.02 (21:40) 수정 2013.05.02 (22:0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해외의 한 민간업체가 화성에 정착할 이주민을 모집한다고 해서 화젭니다.

다시 돌아올 수 없다는 단서가 달렸는데도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는데요.

과연 현재 기술로 화성까지 갈 수는 있는건지, 그리고 화:성에 도착하면 뭘 먹고 산다는 건지, 궁금한 게 많습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성에 설치될 돔 모양의 기지들, 네덜란드 업체가 화성에 이주할 사람을 모집하며 내놓은 청사진입니다.

남녀 2명씩, 4명을 선발해 2023년에 화성에 보낸다는 계획입니다.

다시 지구로 돌아올 수 없다는 조건이지만 인터넷에 공개된 지원자만 400명을 넘었습니다.

<인터뷰> 바스 랜스도르프(마스 원 사장) : "우리는 지원자를 선택핼 때 위험을 정확히 설명해줄 예정이며 그들은 자신의 위험을 따져보게 될 것입니다."

기술적인 검토는 끝난 상태, 화성까지 타고 갈 우주선은 스페이스엑스 사의 드래곤 호로 7개월이 걸립니다.

가장 큰 문제는 물입니다. 화성에는 얼음 상태의 물이 존재하는데, 이 물을 분해해 산소를 만들 계획입니다.

업체 측은 2016년 통신위성을 시작으로 착륙 로봇을 미리 보내 기지를 건설하고 2022년에는 물과 산소까지 구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거주민들은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해 기지 안 온실에서 농작물을 재배해서 식량을 조달한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이강환(박사/국립과천과학관 우주과학팀) : "너무나 복잡한 과정들이 많기때문에 그 중에 한 두가지만 어긋나더라도 계획대로 진행되는데 다소 무리가 있지 않을까."

인류가 달에 다녀온 지 벌써 44년. 인류의 화성 거주가 가능할 지에 관심이 모아 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인류 화성 거주, 어떻게 가고 어떻게 하나?
    • 입력 2013-05-02 21:40:17
    • 수정2013-05-02 22:03:05
    뉴스 9
<앵커 멘트>

최근 해외의 한 민간업체가 화성에 정착할 이주민을 모집한다고 해서 화젭니다.

다시 돌아올 수 없다는 단서가 달렸는데도 높은 경쟁률을 보이고 있는데요.

과연 현재 기술로 화성까지 갈 수는 있는건지, 그리고 화:성에 도착하면 뭘 먹고 산다는 건지, 궁금한 게 많습니다.

이은정 과학전문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화성에 설치될 돔 모양의 기지들, 네덜란드 업체가 화성에 이주할 사람을 모집하며 내놓은 청사진입니다.

남녀 2명씩, 4명을 선발해 2023년에 화성에 보낸다는 계획입니다.

다시 지구로 돌아올 수 없다는 조건이지만 인터넷에 공개된 지원자만 400명을 넘었습니다.

<인터뷰> 바스 랜스도르프(마스 원 사장) : "우리는 지원자를 선택핼 때 위험을 정확히 설명해줄 예정이며 그들은 자신의 위험을 따져보게 될 것입니다."

기술적인 검토는 끝난 상태, 화성까지 타고 갈 우주선은 스페이스엑스 사의 드래곤 호로 7개월이 걸립니다.

가장 큰 문제는 물입니다. 화성에는 얼음 상태의 물이 존재하는데, 이 물을 분해해 산소를 만들 계획입니다.

업체 측은 2016년 통신위성을 시작으로 착륙 로봇을 미리 보내 기지를 건설하고 2022년에는 물과 산소까지 구비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거주민들은 태양열 에너지를 이용해 기지 안 온실에서 농작물을 재배해서 식량을 조달한다는 계획입니다.

<인터뷰> 이강환(박사/국립과천과학관 우주과학팀) : "너무나 복잡한 과정들이 많기때문에 그 중에 한 두가지만 어긋나더라도 계획대로 진행되는데 다소 무리가 있지 않을까."

인류가 달에 다녀온 지 벌써 44년. 인류의 화성 거주가 가능할 지에 관심이 모아 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은정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