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중진단] 가계 통신비 급증…저렴한 요금제는?

입력 2013.05.14 (21:36) 수정 2013.05.14 (22:0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우리나라 가정의 통신비 부담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소득에서 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4.4%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멕시코에 이어 2위이고 회원국 평균 2.7%보다 크게 높습니다.

값비싼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갈수록 비싸지는 통신요금에 있습니다.

먼저 김석 기자가 그 실태를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주부 김현숙 씨는 남편과 두 자녀까지 네 식구를 합해 매달 23만 원씩 빠져나가는 통신비가 늘 부담입니다.

그래서 오래된 휴대전화를 아직도 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현숙(서울 남가좌동) : "바꾸고 싶은데 경제적으로 힘들고 하니까 고장날 때까지 쓰려고 하는 거예요 지금."

우리나라 가정의 월 평균 통신비는 2009년 13만 2천 원에서 지난해 15만 2천 원으로 3년 새 2만 원이 늘었습니다.

1차 원인은 스마트폰 보급이 크게 늘면서 단말기 가격이 비싸졌다는 점.

한 휴대전화 제조업체가 가장 많이 판 단말기 출고가는 2007년 38만 3천 원에서 2011년 84만 7천 원으로 배 이상 올랐습니다.

하지만, 이동통신사들이 새로운 기술과 요금제를 내놓을 때마다 통신요금을 조금씩 올려온 게 더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동통신사들이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는 무제한 음성통화를 이용하려면 8만 원 이상의 요금제에 가입해야 합니다.

<인터뷰> 안진걸(참여연대 팀장) : "스마트폰과 LTE폰이 보편화되면서 고액의 정액요금제와 장기간 약정을 강요당하고 유도당하면서 벌어진 일입니다."

이동통신사들은 오는 9월부터 2배 빨라진 새로운 LTE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요금도 20~25% 인상할 움직임이어서 가계 통신비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앵커 멘트>

이처럼 늘어만 가는 가계의 통신비 부담을 어떻게 줄여야 할까요?

정부가 오늘 대책을 내놨는데요.

비싼 스마트폰 대신 중저가 휴대폰 이용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늘림으로써 통신비를 낮추겠다는 겁니다.

이어서 박경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만 원에 육박하는 스마트폰 값이 부담이라면 알뜰폰을 사면 됩니다.

단말기 값이 절반 이하인데다 정액요금제에 가입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러나 홈쇼핑이나 온라인 중심으로 유통돼 파는 곳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백승호(알뜰폰 판매 사업자) : "오프라인 매장이 중요한데 비용대비 효율이 안나는 게 사실입니다. 찾기도 쉽지 않고 알려져 있지도 않기 때문에..."

이 때문에 정부는 오는 9월부터 전국의 우체국 3,600곳에서 알뜰폰을 판매하기로 했습니다.

또 이동통신 3사가 알뜰폰 사업자에 회선을 판매할 때 음성요금은 22%, 데이터요금은 48%를 깎아주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이동형(미래창조과학부 통신정책국장) : "스마트폰 도입 이후에 가계통신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또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구조가 왜곡돼 있다는 그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또 다음달부터 음성과 데이터 사용량 별로 여러 가지 요금제를 새로 만들어 소비자가 자신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도록 했습니다.

청소년이나 노인, 장애인 전용의 최저 2만 원대의 LTE 요금제도 만들도록 했습니다.

정부는 이런 방안을 시행해 소비자가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면 만원에서 만 칠천 원 정도의 통신비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집중진단] 가계 통신비 급증…저렴한 요금제는?
    • 입력 2013-05-14 21:37:41
    • 수정2013-05-14 22:01:57
    뉴스 9
<앵커 멘트>

우리나라 가정의 통신비 부담은 세계 최고 수준입니다.

소득에서 통신비가 차지하는 비중이 4.4%로 OECD 회원국 가운데 멕시코에 이어 2위이고 회원국 평균 2.7%보다 크게 높습니다.

값비싼 스마트폰을 많이 사용한다는 의미도 있지만 가장 큰 원인은 갈수록 비싸지는 통신요금에 있습니다.

먼저 김석 기자가 그 실태를 살펴봤습니다.

<리포트>

주부 김현숙 씨는 남편과 두 자녀까지 네 식구를 합해 매달 23만 원씩 빠져나가는 통신비가 늘 부담입니다.

그래서 오래된 휴대전화를 아직도 쓰고 있습니다.

<인터뷰> 김현숙(서울 남가좌동) : "바꾸고 싶은데 경제적으로 힘들고 하니까 고장날 때까지 쓰려고 하는 거예요 지금."

우리나라 가정의 월 평균 통신비는 2009년 13만 2천 원에서 지난해 15만 2천 원으로 3년 새 2만 원이 늘었습니다.

1차 원인은 스마트폰 보급이 크게 늘면서 단말기 가격이 비싸졌다는 점.

한 휴대전화 제조업체가 가장 많이 판 단말기 출고가는 2007년 38만 3천 원에서 2011년 84만 7천 원으로 배 이상 올랐습니다.

하지만, 이동통신사들이 새로운 기술과 요금제를 내놓을 때마다 통신요금을 조금씩 올려온 게 더 큰 원인으로 꼽힙니다.

이동통신사들이 경쟁적으로 내놓고 있는 무제한 음성통화를 이용하려면 8만 원 이상의 요금제에 가입해야 합니다.

<인터뷰> 안진걸(참여연대 팀장) : "스마트폰과 LTE폰이 보편화되면서 고액의 정액요금제와 장기간 약정을 강요당하고 유도당하면서 벌어진 일입니다."

이동통신사들은 오는 9월부터 2배 빨라진 새로운 LTE 서비스를 시작하면서 요금도 20~25% 인상할 움직임이어서 가계 통신비 부담은 더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앵커 멘트>

이처럼 늘어만 가는 가계의 통신비 부담을 어떻게 줄여야 할까요?

정부가 오늘 대책을 내놨는데요.

비싼 스마트폰 대신 중저가 휴대폰 이용을 활성화하고 다양한 요금제를 도입해 소비자의 선택권을 늘림으로써 통신비를 낮추겠다는 겁니다.

이어서 박경호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백만 원에 육박하는 스마트폰 값이 부담이라면 알뜰폰을 사면 됩니다.

단말기 값이 절반 이하인데다 정액요금제에 가입할 필요도 없습니다.

그러나 홈쇼핑이나 온라인 중심으로 유통돼 파는 곳을 찾기가 쉽지 않습니다.

<인터뷰> 백승호(알뜰폰 판매 사업자) : "오프라인 매장이 중요한데 비용대비 효율이 안나는 게 사실입니다. 찾기도 쉽지 않고 알려져 있지도 않기 때문에..."

이 때문에 정부는 오는 9월부터 전국의 우체국 3,600곳에서 알뜰폰을 판매하기로 했습니다.

또 이동통신 3사가 알뜰폰 사업자에 회선을 판매할 때 음성요금은 22%, 데이터요금은 48%를 깎아주도록 했습니다.

<인터뷰> 이동형(미래창조과학부 통신정책국장) : "스마트폰 도입 이후에 가계통신비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고 또 이동통신 단말기 유통구조가 왜곡돼 있다는 그런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또 다음달부터 음성과 데이터 사용량 별로 여러 가지 요금제를 새로 만들어 소비자가 자신에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도록 했습니다.

청소년이나 노인, 장애인 전용의 최저 2만 원대의 LTE 요금제도 만들도록 했습니다.

정부는 이런 방안을 시행해 소비자가 자신에게 맞는 요금제를 선택하면 만원에서 만 칠천 원 정도의 통신비가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KBS 뉴스 박경호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