늦깍이 귀농인 “산나물로 부농의 꿈 키워요”
입력 2013.05.18 (06:20)
수정 2013.05.18 (14:4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산나물은 산에서 키워야 제 맛과 향이 있죠.
충북 충주의 한 귀농인이 버려졌던 산속에서 산나물을 키워 부농의 꿈을 키우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무가 우거진 숲 속에 곰취 밭이 펼쳐졌습니다.
나무 그늘 아래선 본격적인 곰취 수확이 시작됐습니다.
햇볕이 잘 드는 산 중턱엔 서늘한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산마늘과 두메부추가 지천입니다.
산자락을 따라 두릅과 엄나무, 오가피 등 갖가지 산나물과 약초가 자랐습니다.
이곳 농장에선 아름드리 나무들을 그대로 남겨뒀습니다.
자연 상태 그대로 산나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놓은 것입니다.
산나물이 산속에서 자라면서 고유의 맛과 향도 풍부해졌습니다.
<인터뷰> 김수복(충주농업기술센터 과장) : "산속에 심으면 향이 진하고 맛뿐만 아니라 영양분이 풍부해서 우리 인체에 상당히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쓸모없이 버려졌던 야산에 20여 종류의 산채가 자라기 시작한 건 지난 2007년.
퇴직 후 귀농한 한 60대에 의해섭니다.
농약과 비료 없이 자라는 친환경 산나물을 팔고, 각종 체험장을 운영하면서 연간 1억 원이 넘는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구창서(산채 재배농가) : "곰취 따기나 곰취 주먹밥 만들기 이렇게 해서 작년엔 4천 명 정도가 왔다 갔습니다."
자연에 순응하는 재배 방법으로 늦깎이 귀농인의 성공 신화가 숲 속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산나물은 산에서 키워야 제 맛과 향이 있죠.
충북 충주의 한 귀농인이 버려졌던 산속에서 산나물을 키워 부농의 꿈을 키우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무가 우거진 숲 속에 곰취 밭이 펼쳐졌습니다.
나무 그늘 아래선 본격적인 곰취 수확이 시작됐습니다.
햇볕이 잘 드는 산 중턱엔 서늘한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산마늘과 두메부추가 지천입니다.
산자락을 따라 두릅과 엄나무, 오가피 등 갖가지 산나물과 약초가 자랐습니다.
이곳 농장에선 아름드리 나무들을 그대로 남겨뒀습니다.
자연 상태 그대로 산나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놓은 것입니다.
산나물이 산속에서 자라면서 고유의 맛과 향도 풍부해졌습니다.
<인터뷰> 김수복(충주농업기술센터 과장) : "산속에 심으면 향이 진하고 맛뿐만 아니라 영양분이 풍부해서 우리 인체에 상당히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쓸모없이 버려졌던 야산에 20여 종류의 산채가 자라기 시작한 건 지난 2007년.
퇴직 후 귀농한 한 60대에 의해섭니다.
농약과 비료 없이 자라는 친환경 산나물을 팔고, 각종 체험장을 운영하면서 연간 1억 원이 넘는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구창서(산채 재배농가) : "곰취 따기나 곰취 주먹밥 만들기 이렇게 해서 작년엔 4천 명 정도가 왔다 갔습니다."
자연에 순응하는 재배 방법으로 늦깎이 귀농인의 성공 신화가 숲 속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늦깍이 귀농인 “산나물로 부농의 꿈 키워요”
-
- 입력 2013-05-18 13:20:55
- 수정2013-05-18 14:47:51

<앵커 멘트>
산나물은 산에서 키워야 제 맛과 향이 있죠.
충북 충주의 한 귀농인이 버려졌던 산속에서 산나물을 키워 부농의 꿈을 키우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무가 우거진 숲 속에 곰취 밭이 펼쳐졌습니다.
나무 그늘 아래선 본격적인 곰취 수확이 시작됐습니다.
햇볕이 잘 드는 산 중턱엔 서늘한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산마늘과 두메부추가 지천입니다.
산자락을 따라 두릅과 엄나무, 오가피 등 갖가지 산나물과 약초가 자랐습니다.
이곳 농장에선 아름드리 나무들을 그대로 남겨뒀습니다.
자연 상태 그대로 산나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놓은 것입니다.
산나물이 산속에서 자라면서 고유의 맛과 향도 풍부해졌습니다.
<인터뷰> 김수복(충주농업기술센터 과장) : "산속에 심으면 향이 진하고 맛뿐만 아니라 영양분이 풍부해서 우리 인체에 상당히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쓸모없이 버려졌던 야산에 20여 종류의 산채가 자라기 시작한 건 지난 2007년.
퇴직 후 귀농한 한 60대에 의해섭니다.
농약과 비료 없이 자라는 친환경 산나물을 팔고, 각종 체험장을 운영하면서 연간 1억 원이 넘는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구창서(산채 재배농가) : "곰취 따기나 곰취 주먹밥 만들기 이렇게 해서 작년엔 4천 명 정도가 왔다 갔습니다."
자연에 순응하는 재배 방법으로 늦깎이 귀농인의 성공 신화가 숲 속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산나물은 산에서 키워야 제 맛과 향이 있죠.
충북 충주의 한 귀농인이 버려졌던 산속에서 산나물을 키워 부농의 꿈을 키우고 있습니다.
함영구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나무가 우거진 숲 속에 곰취 밭이 펼쳐졌습니다.
나무 그늘 아래선 본격적인 곰취 수확이 시작됐습니다.
햇볕이 잘 드는 산 중턱엔 서늘한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산마늘과 두메부추가 지천입니다.
산자락을 따라 두릅과 엄나무, 오가피 등 갖가지 산나물과 약초가 자랐습니다.
이곳 농장에선 아름드리 나무들을 그대로 남겨뒀습니다.
자연 상태 그대로 산나물이 자랄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놓은 것입니다.
산나물이 산속에서 자라면서 고유의 맛과 향도 풍부해졌습니다.
<인터뷰> 김수복(충주농업기술센터 과장) : "산속에 심으면 향이 진하고 맛뿐만 아니라 영양분이 풍부해서 우리 인체에 상당히 좋은 효과가 있습니다."
쓸모없이 버려졌던 야산에 20여 종류의 산채가 자라기 시작한 건 지난 2007년.
퇴직 후 귀농한 한 60대에 의해섭니다.
농약과 비료 없이 자라는 친환경 산나물을 팔고, 각종 체험장을 운영하면서 연간 1억 원이 넘는 소득을 올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구창서(산채 재배농가) : "곰취 따기나 곰취 주먹밥 만들기 이렇게 해서 작년엔 4천 명 정도가 왔다 갔습니다."
자연에 순응하는 재배 방법으로 늦깎이 귀농인의 성공 신화가 숲 속에서 만들어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함영구입니다.
-
-
함영구 기자 newspower@kbs.co.kr
함영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