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단가 후려치기’ 과징금 대폭 상향
입력 2013.05.20 (06:29)
수정 2013.05.20 (07:1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대표적인 '갑의 횡포'인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이어 과징금도 대폭 올랐습니다.
조사를 방해하거나 하도급업체에 보복하면 40%가 또 늘어납니다.
양성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현대모비스는 하도급업체 4곳의 납품 단가 16억 원을 깎았다가 공정위에 적발됐습니다.
그런데 부과된 과징금은 23억원.
위반 액수는 16억원이지만 위반 정도에 따라 1에서 8% 까지 과징금이 가중되기 때문입니다.
오는 22일부터는 이 비율이 최대 10%로 오릅니다.
이 기준으로는 현대모비스의 과징금은 34억여 원, 50%나 많아집니다.
지난해 부품 640억 원어치를 주문한 뒤 돌연 계약을 취소해 적발된 삼성전자의 경우도 새 기준으로는 과징금이 16억 원에서 26억여 원으로 67% 증가합니다.
앞으로 하도급법을 위반하면 최대 3배의 징벌적 배상에다 거액의 과징금까지 물게 되는 겁니다.
<인터뷰> 선중규(공정위 제조하도급개선과장) : "과징금 부과액이 상향 되도록 함으로써 하도급법 위반으로 인한 기대이익을 감소시켜 위반 행위에 대한 억지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정위 조사를 방해하면 과징금이 더 늘어납니다.
조사관 진입을 막거나 폭행하면 40%, 자료를 숨기거나 폐기하면 30%, 여기에 하도급업체를 보복하면 또 30%가 가중됩니다.
공정위는 계약서 없이 이뤄지는 고질적인 구두 발주 관행에 대해서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관련 고시를 개정했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대표적인 '갑의 횡포'인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이어 과징금도 대폭 올랐습니다.
조사를 방해하거나 하도급업체에 보복하면 40%가 또 늘어납니다.
양성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현대모비스는 하도급업체 4곳의 납품 단가 16억 원을 깎았다가 공정위에 적발됐습니다.
그런데 부과된 과징금은 23억원.
위반 액수는 16억원이지만 위반 정도에 따라 1에서 8% 까지 과징금이 가중되기 때문입니다.
오는 22일부터는 이 비율이 최대 10%로 오릅니다.
이 기준으로는 현대모비스의 과징금은 34억여 원, 50%나 많아집니다.
지난해 부품 640억 원어치를 주문한 뒤 돌연 계약을 취소해 적발된 삼성전자의 경우도 새 기준으로는 과징금이 16억 원에서 26억여 원으로 67% 증가합니다.
앞으로 하도급법을 위반하면 최대 3배의 징벌적 배상에다 거액의 과징금까지 물게 되는 겁니다.
<인터뷰> 선중규(공정위 제조하도급개선과장) : "과징금 부과액이 상향 되도록 함으로써 하도급법 위반으로 인한 기대이익을 감소시켜 위반 행위에 대한 억지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정위 조사를 방해하면 과징금이 더 늘어납니다.
조사관 진입을 막거나 폭행하면 40%, 자료를 숨기거나 폐기하면 30%, 여기에 하도급업체를 보복하면 또 30%가 가중됩니다.
공정위는 계약서 없이 이뤄지는 고질적인 구두 발주 관행에 대해서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관련 고시를 개정했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공정위, ‘단가 후려치기’ 과징금 대폭 상향
-
- 입력 2013-05-20 06:40:27
- 수정2013-05-20 07:17:56

<앵커 멘트>
대표적인 '갑의 횡포'인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이어 과징금도 대폭 올랐습니다.
조사를 방해하거나 하도급업체에 보복하면 40%가 또 늘어납니다.
양성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현대모비스는 하도급업체 4곳의 납품 단가 16억 원을 깎았다가 공정위에 적발됐습니다.
그런데 부과된 과징금은 23억원.
위반 액수는 16억원이지만 위반 정도에 따라 1에서 8% 까지 과징금이 가중되기 때문입니다.
오는 22일부터는 이 비율이 최대 10%로 오릅니다.
이 기준으로는 현대모비스의 과징금은 34억여 원, 50%나 많아집니다.
지난해 부품 640억 원어치를 주문한 뒤 돌연 계약을 취소해 적발된 삼성전자의 경우도 새 기준으로는 과징금이 16억 원에서 26억여 원으로 67% 증가합니다.
앞으로 하도급법을 위반하면 최대 3배의 징벌적 배상에다 거액의 과징금까지 물게 되는 겁니다.
<인터뷰> 선중규(공정위 제조하도급개선과장) : "과징금 부과액이 상향 되도록 함으로써 하도급법 위반으로 인한 기대이익을 감소시켜 위반 행위에 대한 억지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정위 조사를 방해하면 과징금이 더 늘어납니다.
조사관 진입을 막거나 폭행하면 40%, 자료를 숨기거나 폐기하면 30%, 여기에 하도급업체를 보복하면 또 30%가 가중됩니다.
공정위는 계약서 없이 이뤄지는 고질적인 구두 발주 관행에 대해서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관련 고시를 개정했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대표적인 '갑의 횡포'인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해 징벌적 손해배상제 도입에 이어 과징금도 대폭 올랐습니다.
조사를 방해하거나 하도급업체에 보복하면 40%가 또 늘어납니다.
양성모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현대모비스는 하도급업체 4곳의 납품 단가 16억 원을 깎았다가 공정위에 적발됐습니다.
그런데 부과된 과징금은 23억원.
위반 액수는 16억원이지만 위반 정도에 따라 1에서 8% 까지 과징금이 가중되기 때문입니다.
오는 22일부터는 이 비율이 최대 10%로 오릅니다.
이 기준으로는 현대모비스의 과징금은 34억여 원, 50%나 많아집니다.
지난해 부품 640억 원어치를 주문한 뒤 돌연 계약을 취소해 적발된 삼성전자의 경우도 새 기준으로는 과징금이 16억 원에서 26억여 원으로 67% 증가합니다.
앞으로 하도급법을 위반하면 최대 3배의 징벌적 배상에다 거액의 과징금까지 물게 되는 겁니다.
<인터뷰> 선중규(공정위 제조하도급개선과장) : "과징금 부과액이 상향 되도록 함으로써 하도급법 위반으로 인한 기대이익을 감소시켜 위반 행위에 대한 억지력이 제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공정위 조사를 방해하면 과징금이 더 늘어납니다.
조사관 진입을 막거나 폭행하면 40%, 자료를 숨기거나 폐기하면 30%, 여기에 하도급업체를 보복하면 또 30%가 가중됩니다.
공정위는 계약서 없이 이뤄지는 고질적인 구두 발주 관행에 대해서도 과징금을 부과할 수 있도록 관련 고시를 개정했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
-
양성모 기자 maria615@kbs.co.kr
양성모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