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내 기생충 130만 명…민물고기 회 조심

입력 2013.05.23 (07:36) 수정 2013.05.23 (07:5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민물고기를 회로 즐기신다면 이번 뉴스 자세히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국내 기생충 감염 인구가 130만 명으로 추산됐는데 어패류를 날로 먹다 감염되는 간흡충 감염 추정자 수만 90만 명이 넘을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범기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평소 집 근처 금강에서 민물고기를 회로 즐겨온 이 주민은 최근 기생충 조사에서 구충제 치료를 해야 했습니다.

깨끗한 금강의 물고기에 기생충이 있을 리 없다 생각했지만 간흡충 수천 마리가 발견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오한현(충북 옥천군 적하리) : "거의 동네 사람들 80%는 있는 것 같더라고요. 아휴, 나 그거 보고, 내 몸에 그런 기생충 있다는 거 처음 보고 놀랐어요 진짜."

질병관리본부 조사 결과 장내 기생충 감염자는 130만 명으로 추산됐습니다.

특히 어패류를 날로 먹고 감염되는 간흡충 감염자만 93만 명에 달했습니다.

낙동강과 영산강이 흐르는 경상남북도와 광주전남 등지에서 감염률이 높았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선 간흡충 감염률이 높을수록 담관암 발병률도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홍성태(서울대의대 기생충과) : "생물체 중에 발암성인 것들을 재분류할 때 우리나라에 있는 간흡충을 1급 발암생물로 확정한 바 있습니다."

평소 민물고기회 등을 즐겨 먹는다면 일년에 한두 차례 정도 구충제를 먹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일반 구충제는 어패류가 옮기는 기생충에는 듣지 않는만큼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된 구충제를 의사 처방을 받아 복용해야 합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내 기생충 130만 명…민물고기 회 조심
    • 입력 2013-05-23 07:38:52
    • 수정2013-05-23 07:56:41
    뉴스광장
<앵커 멘트>

민물고기를 회로 즐기신다면 이번 뉴스 자세히 보시는게 좋겠습니다.

국내 기생충 감염 인구가 130만 명으로 추산됐는데 어패류를 날로 먹다 감염되는 간흡충 감염 추정자 수만 90만 명이 넘을 것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범기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평소 집 근처 금강에서 민물고기를 회로 즐겨온 이 주민은 최근 기생충 조사에서 구충제 치료를 해야 했습니다.

깨끗한 금강의 물고기에 기생충이 있을 리 없다 생각했지만 간흡충 수천 마리가 발견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오한현(충북 옥천군 적하리) : "거의 동네 사람들 80%는 있는 것 같더라고요. 아휴, 나 그거 보고, 내 몸에 그런 기생충 있다는 거 처음 보고 놀랐어요 진짜."

질병관리본부 조사 결과 장내 기생충 감염자는 130만 명으로 추산됐습니다.

특히 어패류를 날로 먹고 감염되는 간흡충 감염자만 93만 명에 달했습니다.

낙동강과 영산강이 흐르는 경상남북도와 광주전남 등지에서 감염률이 높았습니다.

또 다른 연구에선 간흡충 감염률이 높을수록 담관암 발병률도 함께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인터뷰> 홍성태(서울대의대 기생충과) : "생물체 중에 발암성인 것들을 재분류할 때 우리나라에 있는 간흡충을 1급 발암생물로 확정한 바 있습니다."

평소 민물고기회 등을 즐겨 먹는다면 일년에 한두 차례 정도 구충제를 먹는 것이 안전합니다.

특히 일반 구충제는 어패류가 옮기는 기생충에는 듣지 않는만큼 전문의약품으로 분류된 구충제를 의사 처방을 받아 복용해야 합니다.

KBS 뉴스 범기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