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수탈의 아픔, 역사·문화 유산으로
입력 2013.07.03 (21:41)
수정 2013.07.03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일제 강점기 쌀수탈의 전진기지였던 전북 군산에는 당시의 건물들이 상당수 남아있는데요.
수탈의 아픔이 담겨있는 이 건축물들이 역사교육과 문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김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북과 충남의 드넓은 곡창지대에서 빼앗은 쌀을 일본으로 가져가기 위해 가득 쌓아 놓은 군산항, 당시 조선은행 군산지점과 군산세관의 모습도 보입니다.
백년 넘는 세월이 지났지만 그 시대 건축물들은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아픈 역사를 되새기게 합니다.
군산 옛 도심에는 사진 속의 조선은행과 세관, 창고 등 백70여 채의 건축물들이 원형을 간직한 채 남아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일본식 사찰인 이곳 동국사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그 모습 그대로 잘 보존돼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
일제 강점기 건축물들이 모여 있는 이 지역이 수탈의 역사를 증언하는 박물관 단지로 탈바꿈했습니다.
<인터뷰> 김중규 : "전국에서 유일하게 근대문화유산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우리 군산에서 근대역사 교육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당시 쌀을 쌓아놓았던 창고와 무역상사 건물은 미술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와 공연장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인터뷰> 양현기/박선주 : "근대시절의 기록물이나 건축물 같은 게 접하기 힘들잖아요. 근데 여기 같이 있으니까 예전 시대로 돌아온 느낌도 들고…."
수탈의 역사가 새겨진 건축물들이 한국근대사의 살아있는 교실로 역할을 다시 부여받았습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일제 강점기 쌀수탈의 전진기지였던 전북 군산에는 당시의 건물들이 상당수 남아있는데요.
수탈의 아픔이 담겨있는 이 건축물들이 역사교육과 문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김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북과 충남의 드넓은 곡창지대에서 빼앗은 쌀을 일본으로 가져가기 위해 가득 쌓아 놓은 군산항, 당시 조선은행 군산지점과 군산세관의 모습도 보입니다.
백년 넘는 세월이 지났지만 그 시대 건축물들은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아픈 역사를 되새기게 합니다.
군산 옛 도심에는 사진 속의 조선은행과 세관, 창고 등 백70여 채의 건축물들이 원형을 간직한 채 남아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일본식 사찰인 이곳 동국사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그 모습 그대로 잘 보존돼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
일제 강점기 건축물들이 모여 있는 이 지역이 수탈의 역사를 증언하는 박물관 단지로 탈바꿈했습니다.
<인터뷰> 김중규 : "전국에서 유일하게 근대문화유산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우리 군산에서 근대역사 교육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당시 쌀을 쌓아놓았던 창고와 무역상사 건물은 미술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와 공연장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인터뷰> 양현기/박선주 : "근대시절의 기록물이나 건축물 같은 게 접하기 힘들잖아요. 근데 여기 같이 있으니까 예전 시대로 돌아온 느낌도 들고…."
수탈의 역사가 새겨진 건축물들이 한국근대사의 살아있는 교실로 역할을 다시 부여받았습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일제 수탈의 아픔, 역사·문화 유산으로
-
- 입력 2013-07-03 21:41:25
- 수정2013-07-03 22:02:27

<앵커 멘트>
일제 강점기 쌀수탈의 전진기지였던 전북 군산에는 당시의 건물들이 상당수 남아있는데요.
수탈의 아픔이 담겨있는 이 건축물들이 역사교육과 문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김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북과 충남의 드넓은 곡창지대에서 빼앗은 쌀을 일본으로 가져가기 위해 가득 쌓아 놓은 군산항, 당시 조선은행 군산지점과 군산세관의 모습도 보입니다.
백년 넘는 세월이 지났지만 그 시대 건축물들은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아픈 역사를 되새기게 합니다.
군산 옛 도심에는 사진 속의 조선은행과 세관, 창고 등 백70여 채의 건축물들이 원형을 간직한 채 남아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일본식 사찰인 이곳 동국사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그 모습 그대로 잘 보존돼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
일제 강점기 건축물들이 모여 있는 이 지역이 수탈의 역사를 증언하는 박물관 단지로 탈바꿈했습니다.
<인터뷰> 김중규 : "전국에서 유일하게 근대문화유산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우리 군산에서 근대역사 교육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당시 쌀을 쌓아놓았던 창고와 무역상사 건물은 미술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와 공연장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인터뷰> 양현기/박선주 : "근대시절의 기록물이나 건축물 같은 게 접하기 힘들잖아요. 근데 여기 같이 있으니까 예전 시대로 돌아온 느낌도 들고…."
수탈의 역사가 새겨진 건축물들이 한국근대사의 살아있는 교실로 역할을 다시 부여받았습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일제 강점기 쌀수탈의 전진기지였던 전북 군산에는 당시의 건물들이 상당수 남아있는데요.
수탈의 아픔이 담겨있는 이 건축물들이 역사교육과 문화 공간으로 다시 태어났습니다.
김진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전북과 충남의 드넓은 곡창지대에서 빼앗은 쌀을 일본으로 가져가기 위해 가득 쌓아 놓은 군산항, 당시 조선은행 군산지점과 군산세관의 모습도 보입니다.
백년 넘는 세월이 지났지만 그 시대 건축물들은 옛 모습 그대로 남아 아픈 역사를 되새기게 합니다.
군산 옛 도심에는 사진 속의 조선은행과 세관, 창고 등 백70여 채의 건축물들이 원형을 간직한 채 남아 있습니다.
국내 유일의 일본식 사찰인 이곳 동국사는 일제강점기에 지어진 그 모습 그대로 잘 보존돼있어 역사적 가치가 높습니다.
일제 강점기 건축물들이 모여 있는 이 지역이 수탈의 역사를 증언하는 박물관 단지로 탈바꿈했습니다.
<인터뷰> 김중규 : "전국에서 유일하게 근대문화유산을 가장 많이 갖고 있는 우리 군산에서 근대역사 교육을 할 수 있는 공간을 마련하고"
당시 쌀을 쌓아놓았던 창고와 무역상사 건물은 미술작품을 전시하는 갤러리와 공연장으로 새롭게 태어났습니다.
<인터뷰> 양현기/박선주 : "근대시절의 기록물이나 건축물 같은 게 접하기 힘들잖아요. 근데 여기 같이 있으니까 예전 시대로 돌아온 느낌도 들고…."
수탈의 역사가 새겨진 건축물들이 한국근대사의 살아있는 교실로 역할을 다시 부여받았습니다.
KBS 뉴스 김진희입니다.
-
-
김진희 기자 ginitree@kbs.co.kr
김진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