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 만에 한센인 피해자 6천여 명 공식인정
입력 2013.07.18 (21:40)
수정 2013.07.18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제는 약만 먹으면 완치되는게 한센병입니다만 예전에는 잘못된 편견으로 한센병에 걸린 사람을 강제로 격리수용하고 가혹행위를 가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습니다.
정부가 6400여명의 한센인을 공식피해자로 인정하기로해 이들의 한을 풀어줍니다.
모은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방 이후 20년 간 한센인들은 강제로 격리 수용당했습니다.
병든 몸으로 간척 공사나 농경지 개간에 동원되고 주민들의 무차별 공격을 받는가 하면, 소록도 수용소에서는 직원들의 집단 폭행으로 84명이 숨지거나 다쳤습니다.
<녹취> 한센인(음성변조) : "잡히면 두드려패다, 강간하다 죽어 나온 사람도 있고... 두번 다시 도망을 못 가게 낙인을 찍어요."
심지어 본인 동의 없는 낙태와 정관수술이 80년대까지도 자행됐습니다.
정부는 2009년 한센인 인권 유린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피해 진상규명위원회를 출범시켰습니다.
<녹취> 한승수(당시 국무총리) : "정부를 대표해 심심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4년 여의 조사 끝에 위원회는 6400여 명을 피해자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피해자들에겐 의료비와 함께 저소득층의 경우 매달 15만 원의 생활비가 지원됩니다.
<인터뷰> 김성기(한센인 피해사건 진상규명위원장 ) : "반성의 기초 위에서 한센인에 대한 명예를 회복 시켜주고 생활지원금을 준다는 이것으로 결정이 된 것으로..."
진상 규명은 마무리됐지만, 한센인 200여 명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낸 상태여서, 상처가 아물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이제는 약만 먹으면 완치되는게 한센병입니다만 예전에는 잘못된 편견으로 한센병에 걸린 사람을 강제로 격리수용하고 가혹행위를 가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습니다.
정부가 6400여명의 한센인을 공식피해자로 인정하기로해 이들의 한을 풀어줍니다.
모은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방 이후 20년 간 한센인들은 강제로 격리 수용당했습니다.
병든 몸으로 간척 공사나 농경지 개간에 동원되고 주민들의 무차별 공격을 받는가 하면, 소록도 수용소에서는 직원들의 집단 폭행으로 84명이 숨지거나 다쳤습니다.
<녹취> 한센인(음성변조) : "잡히면 두드려패다, 강간하다 죽어 나온 사람도 있고... 두번 다시 도망을 못 가게 낙인을 찍어요."
심지어 본인 동의 없는 낙태와 정관수술이 80년대까지도 자행됐습니다.
정부는 2009년 한센인 인권 유린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피해 진상규명위원회를 출범시켰습니다.
<녹취> 한승수(당시 국무총리) : "정부를 대표해 심심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4년 여의 조사 끝에 위원회는 6400여 명을 피해자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피해자들에겐 의료비와 함께 저소득층의 경우 매달 15만 원의 생활비가 지원됩니다.
<인터뷰> 김성기(한센인 피해사건 진상규명위원장 ) : "반성의 기초 위에서 한센인에 대한 명예를 회복 시켜주고 생활지원금을 준다는 이것으로 결정이 된 것으로..."
진상 규명은 마무리됐지만, 한센인 200여 명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낸 상태여서, 상처가 아물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4년 만에 한센인 피해자 6천여 명 공식인정
-
- 입력 2013-07-18 21:40:47
- 수정2013-07-18 22:18:06

<앵커 멘트>
이제는 약만 먹으면 완치되는게 한센병입니다만 예전에는 잘못된 편견으로 한센병에 걸린 사람을 강제로 격리수용하고 가혹행위를 가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습니다.
정부가 6400여명의 한센인을 공식피해자로 인정하기로해 이들의 한을 풀어줍니다.
모은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방 이후 20년 간 한센인들은 강제로 격리 수용당했습니다.
병든 몸으로 간척 공사나 농경지 개간에 동원되고 주민들의 무차별 공격을 받는가 하면, 소록도 수용소에서는 직원들의 집단 폭행으로 84명이 숨지거나 다쳤습니다.
<녹취> 한센인(음성변조) : "잡히면 두드려패다, 강간하다 죽어 나온 사람도 있고... 두번 다시 도망을 못 가게 낙인을 찍어요."
심지어 본인 동의 없는 낙태와 정관수술이 80년대까지도 자행됐습니다.
정부는 2009년 한센인 인권 유린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피해 진상규명위원회를 출범시켰습니다.
<녹취> 한승수(당시 국무총리) : "정부를 대표해 심심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4년 여의 조사 끝에 위원회는 6400여 명을 피해자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피해자들에겐 의료비와 함께 저소득층의 경우 매달 15만 원의 생활비가 지원됩니다.
<인터뷰> 김성기(한센인 피해사건 진상규명위원장 ) : "반성의 기초 위에서 한센인에 대한 명예를 회복 시켜주고 생활지원금을 준다는 이것으로 결정이 된 것으로..."
진상 규명은 마무리됐지만, 한센인 200여 명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낸 상태여서, 상처가 아물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이제는 약만 먹으면 완치되는게 한센병입니다만 예전에는 잘못된 편견으로 한센병에 걸린 사람을 강제로 격리수용하고 가혹행위를 가하는 일이 비일비재했습니다.
정부가 6400여명의 한센인을 공식피해자로 인정하기로해 이들의 한을 풀어줍니다.
모은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해방 이후 20년 간 한센인들은 강제로 격리 수용당했습니다.
병든 몸으로 간척 공사나 농경지 개간에 동원되고 주민들의 무차별 공격을 받는가 하면, 소록도 수용소에서는 직원들의 집단 폭행으로 84명이 숨지거나 다쳤습니다.
<녹취> 한센인(음성변조) : "잡히면 두드려패다, 강간하다 죽어 나온 사람도 있고... 두번 다시 도망을 못 가게 낙인을 찍어요."
심지어 본인 동의 없는 낙태와 정관수술이 80년대까지도 자행됐습니다.
정부는 2009년 한센인 인권 유린에 대해 공식 사과하고, 피해 진상규명위원회를 출범시켰습니다.
<녹취> 한승수(당시 국무총리) : "정부를 대표해 심심한 사과와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4년 여의 조사 끝에 위원회는 6400여 명을 피해자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피해자들에겐 의료비와 함께 저소득층의 경우 매달 15만 원의 생활비가 지원됩니다.
<인터뷰> 김성기(한센인 피해사건 진상규명위원장 ) : "반성의 기초 위에서 한센인에 대한 명예를 회복 시켜주고 생활지원금을 준다는 이것으로 결정이 된 것으로..."
진상 규명은 마무리됐지만, 한센인 200여 명은 국가를 상대로 손해배상 소송을 낸 상태여서, 상처가 아물기까지는 시간이 더 필요해 보입니다.
KBS 뉴스 모은희입니다.
-
-
모은희 기자 monnie@kbs.co.kr
모은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