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질, 계절이 없다

입력 2001.12.10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이렇게 때 아닌 이질의 확산은 우리 사회의 위생관리와 방역체계의 후진성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내년 월드컵 때 지구촌 손님맞이를 앞두고 걱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계속해서 김도엽 기자입니다.
⊙기자: 문제는 역시 위생관리였습니다.
이질 환자가 손으로 만든 김밥이 병원과 관공서, 학교 등지로 8000개 가까이 납품됐지만 업체에서는 아무도 문제삼지 않았습니다.
⊙도시락 업체 사장: 종업원이 몸은 좀 불편하지만 자기가 담당하던 일이니까 나와서 일을 했어요.
⊙기자: 문제는 이런 대형 업체의 관리가 이 정도일 때 영세한 업체의 위생 관리가 더 낫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라는 점입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정청이 지난 3/4분기 동안 360여 개 도시락 제품을 검사한 결과 이중 8%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습니다.
음식물 매개 전염병 발생이 시도 때도 없어진 것입니다.
⊙이종구(국립보건원 방역과장): 최근에 외식산업이 증가하면서 이런 이질 환자의 발생 경향이 이런 계절적 요인을 잘 안 타고 겨울에도 많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기자: 1종 법정 전염병인 이질은 지난 97년까지만 해도 10명 안팎의 환자 발생에 그쳤지만 99년 1780여 명, 지난해 2510명으로 최근 급증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몇 달 뒤 월드컵을 앞둔 나라의 전염병 관리로는 실격 수준입니다.
보건 당국이 특단의 조치를 내리지 않는다면 지난해 9월 이후 1년 내내 이질이 제주도를 휩쓴 상황이 서울에서도 계속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질, 계절이 없다
    • 입력 2001-12-10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뉴스 9
⊙앵커: 이렇게 때 아닌 이질의 확산은 우리 사회의 위생관리와 방역체계의 후진성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습니다. 내년 월드컵 때 지구촌 손님맞이를 앞두고 걱정이 아닐 수 없습니다. 계속해서 김도엽 기자입니다. ⊙기자: 문제는 역시 위생관리였습니다. 이질 환자가 손으로 만든 김밥이 병원과 관공서, 학교 등지로 8000개 가까이 납품됐지만 업체에서는 아무도 문제삼지 않았습니다. ⊙도시락 업체 사장: 종업원이 몸은 좀 불편하지만 자기가 담당하던 일이니까 나와서 일을 했어요. ⊙기자: 문제는 이런 대형 업체의 관리가 이 정도일 때 영세한 업체의 위생 관리가 더 낫기를 바라는 것은 무리라는 점입니다. 실제로 식품의약품안정청이 지난 3/4분기 동안 360여 개 도시락 제품을 검사한 결과 이중 8%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됐습니다. 음식물 매개 전염병 발생이 시도 때도 없어진 것입니다. ⊙이종구(국립보건원 방역과장): 최근에 외식산업이 증가하면서 이런 이질 환자의 발생 경향이 이런 계절적 요인을 잘 안 타고 겨울에도 많이 생기는 것 같습니다. ⊙기자: 1종 법정 전염병인 이질은 지난 97년까지만 해도 10명 안팎의 환자 발생에 그쳤지만 99년 1780여 명, 지난해 2510명으로 최근 급증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몇 달 뒤 월드컵을 앞둔 나라의 전염병 관리로는 실격 수준입니다. 보건 당국이 특단의 조치를 내리지 않는다면 지난해 9월 이후 1년 내내 이질이 제주도를 휩쓴 상황이 서울에서도 계속되지 않는다는 보장이 없습니다. KBS뉴스 김도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