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25 최후의 ‘425 고지 전투’ 회고

입력 2013.07.24 (21:31) 수정 2013.07.24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60년 전 정전협정이 체결되기 바로 직전까지도 강원도 동부전선에서는 한 치의 땅이라도 더 차지하기 위한 남북간의 치열한 접전이 있었습니다.

이 와중에 6.25 전쟁의 마지막 승전보를 전해온 전투가 있었는데 바로 425 고지 전투였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정전협정 체결 직전인 1953년 7월 중순.

조금 더 높고, 조금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이른바 '고지전'은 절정에 달했습니다.

한 뼘의 땅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한 치열한 전투에 많은 희생이 뒤따랐습니다.

강원도 화천과 철원 경계 지역에 위치한 425고지에서도 53년 7월 20일부터 8일 동안 사활을 건 교전이 벌어졌습니다.

당시 남한 전력 생산의 30퍼센트를 담당하던 화천발전소를 차지하기 위해 김일성은 고지 탈환을 지시했고, 이승만 대통령도 직접 사령부를 방문해 국군을 독려했습니다.

<녹취> 홍승민(육군 7사단 5연대 2대대장) : "전략적인 요충지로서 하루 밤낮에도 여러 번 주인이 바뀌었던 중요한 전투가 되겠습니다."

당시 중국군 135사단의 파상공격에 국군 7사단은 백병전으로 맞섰습니다.

특히 고 김한준 대위는 부대원 160여 명을 이끌고 중국군 950여 명을 사살해 전쟁 막판 최고의 영웅이 됐습니다.

<인터뷰> 양옥자(故 김한준 대위 미망인) : "(남편이)살아 생전에 못 온 것이 아쉽긴 하지만 오게 된 것이 진정 기쁘고 감사합니다."

정전협정 당일까지도 계속된 425 고지전...

국군은 결국 화천발전소를 사수했고, 38선에서 35km 북으로 올라간 곳까지 영토를 확보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6·25 최후의 ‘425 고지 전투’ 회고
    • 입력 2013-07-24 21:29:11
    • 수정2013-07-24 22:08:09
    뉴스 9
<앵커 멘트>

60년 전 정전협정이 체결되기 바로 직전까지도 강원도 동부전선에서는 한 치의 땅이라도 더 차지하기 위한 남북간의 치열한 접전이 있었습니다.

이 와중에 6.25 전쟁의 마지막 승전보를 전해온 전투가 있었는데 바로 425 고지 전투였습니다.

박진영 기자가 소개합니다.

<리포트>

정전협정 체결 직전인 1953년 7월 중순.

조금 더 높고, 조금 더 유리한 위치를 차지하려는 이른바 '고지전'은 절정에 달했습니다.

한 뼘의 땅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한 치열한 전투에 많은 희생이 뒤따랐습니다.

강원도 화천과 철원 경계 지역에 위치한 425고지에서도 53년 7월 20일부터 8일 동안 사활을 건 교전이 벌어졌습니다.

당시 남한 전력 생산의 30퍼센트를 담당하던 화천발전소를 차지하기 위해 김일성은 고지 탈환을 지시했고, 이승만 대통령도 직접 사령부를 방문해 국군을 독려했습니다.

<녹취> 홍승민(육군 7사단 5연대 2대대장) : "전략적인 요충지로서 하루 밤낮에도 여러 번 주인이 바뀌었던 중요한 전투가 되겠습니다."

당시 중국군 135사단의 파상공격에 국군 7사단은 백병전으로 맞섰습니다.

특히 고 김한준 대위는 부대원 160여 명을 이끌고 중국군 950여 명을 사살해 전쟁 막판 최고의 영웅이 됐습니다.

<인터뷰> 양옥자(故 김한준 대위 미망인) : "(남편이)살아 생전에 못 온 것이 아쉽긴 하지만 오게 된 것이 진정 기쁘고 감사합니다."

정전협정 당일까지도 계속된 425 고지전...

국군은 결국 화천발전소를 사수했고, 38선에서 35km 북으로 올라간 곳까지 영토를 확보했습니다.

KBS 뉴스 박진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