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파 속 곳곳 화재, 예방 체크리스트
입력 2001.12.13 (21:00)
수정 2018.08.29 (15:0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자 전국 곳곳에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전열기구를 사용하실 때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보도에 김대홍 기자입니다.
⊙기자: 검은 연기와 함께 시뻘건 불길이 창 밖으로 치솟습니다.
불은 4분 만에 진화됐지만 건물 안은 폐허로 변했습니다.
오늘 새벽에는 스폰지 제조공장에서도 불이 나 2억여 원의 재산 피해를 냈습니다.
날씨가 추워지면서 각종 난방기구가 가동돼 화재의 위험은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낡은 전선이 거미줄처럼 얽혀 있을 경우는 겨울철 화재 위험 1순위입니다.
⊙이영우(서울 도봉소방서 안전계장): 필요한 전기 제품만 사용하시고 나머지 코드는 전부 이탈될 수 있도록 그렇게 조치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기자: 1개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플러그를 꼽는 문어발식 전열기 사용은 매우 위험합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전국에서 일어난 화재는 3만 5000건으로 이 가운데 전기가 전체 화재 원인의 3분의 1을 차지했습니다.
가스가 누출되고 있는지 여부도 수시로 점검해야 합니다.
각종 인화물질이 쌓여 있는 보일러실은 한 마디로 시한폭탄이나 다름없습니다.
⊙이찬영(소방관): 보일러가 상시 가동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불완전으로 인해서 연소가 될 수 있습니다.
화재 요인이 된다는 이야기죠.
⊙기자: 모든 것을 잿더미로 만드는 화재를 막기 위해 사전 점검과 예방이 중요할 때입니다.
KBS뉴스 김대홍입니다.
특히 전열기구를 사용하실 때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보도에 김대홍 기자입니다.
⊙기자: 검은 연기와 함께 시뻘건 불길이 창 밖으로 치솟습니다.
불은 4분 만에 진화됐지만 건물 안은 폐허로 변했습니다.
오늘 새벽에는 스폰지 제조공장에서도 불이 나 2억여 원의 재산 피해를 냈습니다.
날씨가 추워지면서 각종 난방기구가 가동돼 화재의 위험은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낡은 전선이 거미줄처럼 얽혀 있을 경우는 겨울철 화재 위험 1순위입니다.
⊙이영우(서울 도봉소방서 안전계장): 필요한 전기 제품만 사용하시고 나머지 코드는 전부 이탈될 수 있도록 그렇게 조치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기자: 1개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플러그를 꼽는 문어발식 전열기 사용은 매우 위험합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전국에서 일어난 화재는 3만 5000건으로 이 가운데 전기가 전체 화재 원인의 3분의 1을 차지했습니다.
가스가 누출되고 있는지 여부도 수시로 점검해야 합니다.
각종 인화물질이 쌓여 있는 보일러실은 한 마디로 시한폭탄이나 다름없습니다.
⊙이찬영(소방관): 보일러가 상시 가동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불완전으로 인해서 연소가 될 수 있습니다.
화재 요인이 된다는 이야기죠.
⊙기자: 모든 것을 잿더미로 만드는 화재를 막기 위해 사전 점검과 예방이 중요할 때입니다.
KBS뉴스 김대홍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한파 속 곳곳 화재, 예방 체크리스트
-
- 입력 2001-12-13 21:00:00
- 수정2018-08-29 15:00:00

⊙앵커: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자 전국 곳곳에서 화재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특히 전열기구를 사용하실 때 각별히 주의하셔야겠습니다.
보도에 김대홍 기자입니다.
⊙기자: 검은 연기와 함께 시뻘건 불길이 창 밖으로 치솟습니다.
불은 4분 만에 진화됐지만 건물 안은 폐허로 변했습니다.
오늘 새벽에는 스폰지 제조공장에서도 불이 나 2억여 원의 재산 피해를 냈습니다.
날씨가 추워지면서 각종 난방기구가 가동돼 화재의 위험은 어느 때보다 높습니다.
낡은 전선이 거미줄처럼 얽혀 있을 경우는 겨울철 화재 위험 1순위입니다.
⊙이영우(서울 도봉소방서 안전계장): 필요한 전기 제품만 사용하시고 나머지 코드는 전부 이탈될 수 있도록 그렇게 조치해 주시기 바라겠습니다.
⊙기자: 1개의 콘센트에 여러 개의 플러그를 꼽는 문어발식 전열기 사용은 매우 위험합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전국에서 일어난 화재는 3만 5000건으로 이 가운데 전기가 전체 화재 원인의 3분의 1을 차지했습니다.
가스가 누출되고 있는지 여부도 수시로 점검해야 합니다.
각종 인화물질이 쌓여 있는 보일러실은 한 마디로 시한폭탄이나 다름없습니다.
⊙이찬영(소방관): 보일러가 상시 가동하고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불완전으로 인해서 연소가 될 수 있습니다.
화재 요인이 된다는 이야기죠.
⊙기자: 모든 것을 잿더미로 만드는 화재를 막기 위해 사전 점검과 예방이 중요할 때입니다.
KBS뉴스 김대홍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