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시장 관심 ‘후끈’…강남 ‘역차별’ 논란

입력 2013.08.31 (21:20) 수정 2013.08.31 (22:2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전월세 대책 발표 후 주택 매수 심리가 살아나는 듯한 분위기입니다.

주말을 맞아 아파트 견본 주택에 인파가 몰렸습니다.

그렇지만 대책의 형평성 논란과 함께 악용될 소지도 높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 분양 아파트는 어제 청약이 마감됐는데도 오늘 견본 주택에 사람들이 몰렸습니다.

집을 살까 말까 고민을 시작한 사람들이 상당수입니다.

<인터뷰> 마필두(경기도 성남시 운중동) : "전셋값이 계속 오르면 저희는 분양받고 싶은 생각이 있어요. 왜냐하면 맥스까지 올라갔기 때문에..."

구체적으로는 취득세 영구 인하와 수익과 손실을 공유하는 1%대 초저금리 모기지가 마음을 움직였다는 겁니다.

<인터뷰> 임경훈(경기도 용인시 풍덕천동) : "취득세 감면이 기대되는 부분이 가장 크죠. 전세로 살면서 고민하다가 살까 어떻게 할 까 하다가 대책 나오고 하면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하게 됐고 청약을 넣게 됐어요."

그러나 1%대 초저금리의 모기지의 경우, 수도권이나 6대 광역시가 아닌 지역의 아파트, 연립이나 단독주택 구매자는 대출 신청조차 할 수 없다며 형평성 논란이 제기됐습니다.

특히 수익과 손실을 공유하니 매매 차익을 내고도 숨기거나 손실이 난 것처럼 계약서를 조작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또, 취득세율 한시 감면 기간 때는 6억 원 초과 9억 원 이하 주택이 1%를 적용 받았는데, 이번에는 2%로 올라 수도권 매매 침체의 원인인 수도권 외곽 대형 아파트 등 이 가격대 매물에는 효과가 반감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부동산시장 관심 ‘후끈’…강남 ‘역차별’ 논란
    • 입력 2013-08-31 21:22:09
    • 수정2013-08-31 22:28:49
    뉴스 9
<앵커 멘트>

전월세 대책 발표 후 주택 매수 심리가 살아나는 듯한 분위기입니다.

주말을 맞아 아파트 견본 주택에 인파가 몰렸습니다.

그렇지만 대책의 형평성 논란과 함께 악용될 소지도 높다는 우려도 제기되고 있습니다.

임주영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 분양 아파트는 어제 청약이 마감됐는데도 오늘 견본 주택에 사람들이 몰렸습니다.

집을 살까 말까 고민을 시작한 사람들이 상당수입니다.

<인터뷰> 마필두(경기도 성남시 운중동) : "전셋값이 계속 오르면 저희는 분양받고 싶은 생각이 있어요. 왜냐하면 맥스까지 올라갔기 때문에..."

구체적으로는 취득세 영구 인하와 수익과 손실을 공유하는 1%대 초저금리 모기지가 마음을 움직였다는 겁니다.

<인터뷰> 임경훈(경기도 용인시 풍덕천동) : "취득세 감면이 기대되는 부분이 가장 크죠. 전세로 살면서 고민하다가 살까 어떻게 할 까 하다가 대책 나오고 하면서 긍정적인 방향으로 생각하게 됐고 청약을 넣게 됐어요."

그러나 1%대 초저금리의 모기지의 경우, 수도권이나 6대 광역시가 아닌 지역의 아파트, 연립이나 단독주택 구매자는 대출 신청조차 할 수 없다며 형평성 논란이 제기됐습니다.

특히 수익과 손실을 공유하니 매매 차익을 내고도 숨기거나 손실이 난 것처럼 계약서를 조작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왔습니다.

또, 취득세율 한시 감면 기간 때는 6억 원 초과 9억 원 이하 주택이 1%를 적용 받았는데, 이번에는 2%로 올라 수도권 매매 침체의 원인인 수도권 외곽 대형 아파트 등 이 가격대 매물에는 효과가 반감될 것이라는 지적도 나옵니다.

KBS 뉴스 임주영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