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분석] 여성도 즐거운 명절의 조건!
입력 2013.09.09 (21:26)
수정 2013.09.09 (22:3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가족 친지가 함께 모이는 단란한 추석, 올해도 기대되시죠?
하지만, 가족 모두가 즐거운 지는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한 홈쇼핑이 조사했더니 가장 큰 명절 스트레스로 '음식 장만 등 가사노동'이 꼽혔는데, 응답률이 무려 여성 3명 중 1명꼴입니다.
주부들 사이엔 명절은 곧 여성 노동절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명절 스트레스는 질병이나 가정 불화로까지 이어지기도 합니다.
최근 조사 결과 30대 이상 주부 10명 중 6명 이상이 만성 피로와 극심한 스트레스를 느꼈고, 이유 없는 짜증, 무기력증도 나타났습니다.
또 명절 때면 음식 쓰레기가 평소의 두 배 가까이 늘고 있습니다.
주부 스트레스도 줄이고 음식 쓰레기도 줄일 겸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음식을 남성도 함께 만들면 어떨까요?
훨씬 더 명절다운 명절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데스크 분석이었습니다.
가족 친지가 함께 모이는 단란한 추석, 올해도 기대되시죠?
하지만, 가족 모두가 즐거운 지는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한 홈쇼핑이 조사했더니 가장 큰 명절 스트레스로 '음식 장만 등 가사노동'이 꼽혔는데, 응답률이 무려 여성 3명 중 1명꼴입니다.
주부들 사이엔 명절은 곧 여성 노동절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명절 스트레스는 질병이나 가정 불화로까지 이어지기도 합니다.
최근 조사 결과 30대 이상 주부 10명 중 6명 이상이 만성 피로와 극심한 스트레스를 느꼈고, 이유 없는 짜증, 무기력증도 나타났습니다.
또 명절 때면 음식 쓰레기가 평소의 두 배 가까이 늘고 있습니다.
주부 스트레스도 줄이고 음식 쓰레기도 줄일 겸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음식을 남성도 함께 만들면 어떨까요?
훨씬 더 명절다운 명절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데스크 분석이었습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데스크 분석] 여성도 즐거운 명절의 조건!
-
- 입력 2013-09-09 21:27:50
- 수정2013-09-09 22:34:16

<기자 멘트>
가족 친지가 함께 모이는 단란한 추석, 올해도 기대되시죠?
하지만, 가족 모두가 즐거운 지는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한 홈쇼핑이 조사했더니 가장 큰 명절 스트레스로 '음식 장만 등 가사노동'이 꼽혔는데, 응답률이 무려 여성 3명 중 1명꼴입니다.
주부들 사이엔 명절은 곧 여성 노동절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명절 스트레스는 질병이나 가정 불화로까지 이어지기도 합니다.
최근 조사 결과 30대 이상 주부 10명 중 6명 이상이 만성 피로와 극심한 스트레스를 느꼈고, 이유 없는 짜증, 무기력증도 나타났습니다.
또 명절 때면 음식 쓰레기가 평소의 두 배 가까이 늘고 있습니다.
주부 스트레스도 줄이고 음식 쓰레기도 줄일 겸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음식을 남성도 함께 만들면 어떨까요?
훨씬 더 명절다운 명절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데스크 분석이었습니다.
가족 친지가 함께 모이는 단란한 추석, 올해도 기대되시죠?
하지만, 가족 모두가 즐거운 지는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한 홈쇼핑이 조사했더니 가장 큰 명절 스트레스로 '음식 장만 등 가사노동'이 꼽혔는데, 응답률이 무려 여성 3명 중 1명꼴입니다.
주부들 사이엔 명절은 곧 여성 노동절이라는 말이 있을 정도입니다.
명절 스트레스는 질병이나 가정 불화로까지 이어지기도 합니다.
최근 조사 결과 30대 이상 주부 10명 중 6명 이상이 만성 피로와 극심한 스트레스를 느꼈고, 이유 없는 짜증, 무기력증도 나타났습니다.
또 명절 때면 음식 쓰레기가 평소의 두 배 가까이 늘고 있습니다.
주부 스트레스도 줄이고 음식 쓰레기도 줄일 겸 먹을 수 있는 만큼의 음식을 남성도 함께 만들면 어떨까요?
훨씬 더 명절다운 명절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데스크 분석이었습니다.
-
-
윤수희 기자 shy@kbs.co.kr
윤수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