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뉴스] 교묘해지는 ‘스미싱’, 통신사 책임도 커

입력 2013.09.12 (21:23) 수정 2013.09.12 (21: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자 멘트>

휴대전화로 이런 문자 한번쯤 받아보셨을 겁니다.

최근 문제가 된 돌잔치 초대장, 행운의 무료 쿠폰을 주겠다,

심지어 긴급 뉴스속보나, 민사소송 법원 소환장도 있는데요.

요즘 이런 문자 받으면 열어보기 겁나죠?

무심코 열어봤다가 소액결제 피해를 입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휴대전화 문자를 이용한 소액결제 사기 이른바 '스미싱'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박경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0대 직장인 유모 씨는 지난달 휴대전화 메시지로 온 청첩장을 열어봤다 20여만 원이 결제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인터뷰> 피해자(음성변조) : "경찰서 가서 조회를 해봤어요. 그랬더니 이제 홍콩에서 트로이목마 두 개를 제 핸드폰에 심어가지고 돈이 빠져나간 걸로..."

해커는 유씨가 청첩장을 여는 순간 스미싱 앱을 깔고 이 앱을 이용해 전화번호와 주민등록번호, 승인번호까지 빼돌려 상품을 구매한 겁니다.

초기에는 문자 내용이 연예인의 동영상이나, 공짜, 무료쿠폰 등이었지만 최근에는 공공기관이나 백신을 사칭하고 심지어 지인의 메시지로 둔갑하는 등 점점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추석을 앞두고는 택배 안내로 가장한 스미싱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도현(보안업체 선임연구원) : "이름을 메시지에 포함시킨다거나 지인의 스마트폰 번호로 발송시켜서 더욱 사용자에게 감염되게끔"

자신도 모르는 사이 소액 결제로 돈이 빠져나가는 스미싱 피해는 최근 급증하고 있습니다.

본인인증에 공인인증까지 거쳐야 하는 카드 결제와 달리, 승인번호만 빼돌려 입력하면 되는 휴대전화 소액결제의 단순한 인증절차가 해커들의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휴대전화 소액결제는 지난 2001년 소액 상품을 구입할 때 이용자들의 결제를 편리하게 하고 콘텐츠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한도는 최대 30만 원입니다.

그렇다면, 나도 모르게 소액결제 피해를 입는 이유, 뭘까요?

문제는 휴대전화를 개통할 때부터 기본적으로 누구나 소액결제를 할 수 있게 돼 있는데, 이걸 아는 가입자가 거의 없다는 겁니다.

게다가 통신사별로 처음 결제 한도는 3만 원, 5만 원, 12만 원으로 조금씩 다르지만, 휴대전화를 몇 달 꾸준히 사용하면 통신사가 알아서 한도를 최대 30만 원까지 올려놓습니다.

그런데 가입자에게 동의를 구하지도, 심지어 그런 사실을 알려주지도 않았습니다.

소액결제 대금은 통신사 요금고지서에 반영되기 때문에 통신사들은 이걸 처리해주는 대가로 3% 내외의 수수료를 받습니다.

올해 소액결제 시장 규모가 4조 원 규모로 추정되는 만큼, 통신사들의 수수료 수입만 천2백억 원대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통신사들은 이렇게 짭짤한 수익을 올리면서도 소비자들이 입는 피해에는 그만큼 무관심했던 셈인데요.

의심스런 문자는 열어보지 말라는 식으로 무작정 소비자들에게 조심하라고만 하면 끝나는 걸까요?

소액결제로 인한 피해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책은 없는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소액결제 피해가 커지자 정부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이달부터 휴대전화 신규 가입자는 본인이 동의해야만 소액결제를 이용할 수 있고, 1년 동안 소액결제를 이용하지 않으면 자동 정지됩니다.

하지만, 기존 가입자들의 스미싱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으론 역부족입니다.

지금처럼 스미싱 문자를 누르자마자 소액결제가 이뤄지는 걸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결제 전에 한 번 더 본인 확인을 거치도록 인증 제도를 강화하는 겁니다.

<인터뷰> 김춘식(경민대 교수) : "이동통신사에서 문자로 다시 한 번 재인증을 요구하는 겁니다. 그리고 문자로 그 가입자 인증에 답을 했을 경우에 한해서 실제 결재가 이뤄지는 거죠."

이동 통신사들이 자발적으로 인증절차를 강화하지 않으면 정부가 강제해야 합니다.

해커가 소액 결제 사기를 위해 문자 속에 숨겨놓은 악성 코드나 앱을 걸러낼 수 있는 시스템 개발도 시급합니다.

<인터뷰> 곽정호(박사) : "악성코드나 앱으로 판단된 것들을 식별해내고 그런 것들을 제거하는 정보시스템, 또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을 적절히 개발하고 보급하는 게 중요한 대책으로 보여집니다."

또, 소액결제 한도 30만 원을 과연 소액으로 볼 수 있느냐는 의문이 제기되는 만큼 금액을 내리는 방안도 검토해봐야 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이슈&뉴스] 교묘해지는 ‘스미싱’, 통신사 책임도 커
    • 입력 2013-09-12 21:25:33
    • 수정2013-09-12 21:59:42
    뉴스 9
<기자 멘트>

휴대전화로 이런 문자 한번쯤 받아보셨을 겁니다.

최근 문제가 된 돌잔치 초대장, 행운의 무료 쿠폰을 주겠다,

심지어 긴급 뉴스속보나, 민사소송 법원 소환장도 있는데요.

요즘 이런 문자 받으면 열어보기 겁나죠?

무심코 열어봤다가 소액결제 피해를 입는 사례가 늘고 있기 때문인데요.

휴대전화 문자를 이용한 소액결제 사기 이른바 '스미싱'이 갈수록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박경호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30대 직장인 유모 씨는 지난달 휴대전화 메시지로 온 청첩장을 열어봤다 20여만 원이 결제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인터뷰> 피해자(음성변조) : "경찰서 가서 조회를 해봤어요. 그랬더니 이제 홍콩에서 트로이목마 두 개를 제 핸드폰에 심어가지고 돈이 빠져나간 걸로..."

해커는 유씨가 청첩장을 여는 순간 스미싱 앱을 깔고 이 앱을 이용해 전화번호와 주민등록번호, 승인번호까지 빼돌려 상품을 구매한 겁니다.

초기에는 문자 내용이 연예인의 동영상이나, 공짜, 무료쿠폰 등이었지만 최근에는 공공기관이나 백신을 사칭하고 심지어 지인의 메시지로 둔갑하는 등 점점 교묘해지고 있습니다.

추석을 앞두고는 택배 안내로 가장한 스미싱도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인터뷰> 이도현(보안업체 선임연구원) : "이름을 메시지에 포함시킨다거나 지인의 스마트폰 번호로 발송시켜서 더욱 사용자에게 감염되게끔"

자신도 모르는 사이 소액 결제로 돈이 빠져나가는 스미싱 피해는 최근 급증하고 있습니다.

본인인증에 공인인증까지 거쳐야 하는 카드 결제와 달리, 승인번호만 빼돌려 입력하면 되는 휴대전화 소액결제의 단순한 인증절차가 해커들의 표적이 되고 있습니다.

<기자 멘트>

휴대전화 소액결제는 지난 2001년 소액 상품을 구입할 때 이용자들의 결제를 편리하게 하고 콘텐츠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해 도입됐습니다.

한도는 최대 30만 원입니다.

그렇다면, 나도 모르게 소액결제 피해를 입는 이유, 뭘까요?

문제는 휴대전화를 개통할 때부터 기본적으로 누구나 소액결제를 할 수 있게 돼 있는데, 이걸 아는 가입자가 거의 없다는 겁니다.

게다가 통신사별로 처음 결제 한도는 3만 원, 5만 원, 12만 원으로 조금씩 다르지만, 휴대전화를 몇 달 꾸준히 사용하면 통신사가 알아서 한도를 최대 30만 원까지 올려놓습니다.

그런데 가입자에게 동의를 구하지도, 심지어 그런 사실을 알려주지도 않았습니다.

소액결제 대금은 통신사 요금고지서에 반영되기 때문에 통신사들은 이걸 처리해주는 대가로 3% 내외의 수수료를 받습니다.

올해 소액결제 시장 규모가 4조 원 규모로 추정되는 만큼, 통신사들의 수수료 수입만 천2백억 원대에 이른다는 계산이 나옵니다.

통신사들은 이렇게 짭짤한 수익을 올리면서도 소비자들이 입는 피해에는 그만큼 무관심했던 셈인데요.

의심스런 문자는 열어보지 말라는 식으로 무작정 소비자들에게 조심하라고만 하면 끝나는 걸까요?

소액결제로 인한 피해를 근본적으로 줄일 수 있는 대책은 없는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소액결제 피해가 커지자 정부가 대책을 내놓았습니다.

이달부터 휴대전화 신규 가입자는 본인이 동의해야만 소액결제를 이용할 수 있고, 1년 동안 소액결제를 이용하지 않으면 자동 정지됩니다.

하지만, 기존 가입자들의 스미싱 피해를 막기 위한 대책으론 역부족입니다.

지금처럼 스미싱 문자를 누르자마자 소액결제가 이뤄지는 걸 막는 가장 좋은 방법은 결제 전에 한 번 더 본인 확인을 거치도록 인증 제도를 강화하는 겁니다.

<인터뷰> 김춘식(경민대 교수) : "이동통신사에서 문자로 다시 한 번 재인증을 요구하는 겁니다. 그리고 문자로 그 가입자 인증에 답을 했을 경우에 한해서 실제 결재가 이뤄지는 거죠."

이동 통신사들이 자발적으로 인증절차를 강화하지 않으면 정부가 강제해야 합니다.

해커가 소액 결제 사기를 위해 문자 속에 숨겨놓은 악성 코드나 앱을 걸러낼 수 있는 시스템 개발도 시급합니다.

<인터뷰> 곽정호(박사) : "악성코드나 앱으로 판단된 것들을 식별해내고 그런 것들을 제거하는 정보시스템, 또 치료할 수 있는 백신을 적절히 개발하고 보급하는 게 중요한 대책으로 보여집니다."

또, 소액결제 한도 30만 원을 과연 소액으로 볼 수 있느냐는 의문이 제기되는 만큼 금액을 내리는 방안도 검토해봐야 합니다.

KBS 뉴스 김석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