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 간 조선 악기 120년 만에 돌아오다!
입력 2013.09.26 (07:29)
수정 2013.09.26 (08:5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지난 1893년 미국 시카고 박람회에 보내졌던 우리 국악기 여덟 점이 12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시대적 사명을 띠고 머나먼 이국으로 파견됐던 고종의 외교 사신들인 셈인데요.
120년 전 우리 악기는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심연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893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만국 박람회 첫날.
아시아의 작은 나라, 조선의 음악이 울려 퍼졌습니다.
태극기를 달고, '대조선'이라는 한글 국호를 쓴 조선의 첫 세계무대였습니다.
고종의 명을 받고 태평양을 건너온 궁중 악공 10명은 중국, 일본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 문화를 보여줬습니다.
<인터뷰> 다니엘 케인(칼럼니스트) : "당시 많은 미국인들에게 큰 감명을 줬고 한국은 그 연주로 상까지 받게 됩니다."
당시 미국에 남았던 고종의 외교 사절, 대금과 거문고 등 우리 악기 여덟 점이 대여 형식으로 다시 고국 땅을 밟습니다.
12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특히 용 무늬와 화려한 수가 장식된 장구는 기록으로만 전하던 궁중 악기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당비파는 현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주재근(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 "우리 악기들의 변천사를 볼 수 있고 해외에서 우리 국악 유물들이 얼마나 좋은 가치 평가를 받았는지 볼 수 있는 귀한 자료들입니다"
120년 만에 돌아온 우리 국악기들은 다음달부터 두 달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지난 1893년 미국 시카고 박람회에 보내졌던 우리 국악기 여덟 점이 12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시대적 사명을 띠고 머나먼 이국으로 파견됐던 고종의 외교 사신들인 셈인데요.
120년 전 우리 악기는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심연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893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만국 박람회 첫날.
아시아의 작은 나라, 조선의 음악이 울려 퍼졌습니다.
태극기를 달고, '대조선'이라는 한글 국호를 쓴 조선의 첫 세계무대였습니다.
고종의 명을 받고 태평양을 건너온 궁중 악공 10명은 중국, 일본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 문화를 보여줬습니다.
<인터뷰> 다니엘 케인(칼럼니스트) : "당시 많은 미국인들에게 큰 감명을 줬고 한국은 그 연주로 상까지 받게 됩니다."
당시 미국에 남았던 고종의 외교 사절, 대금과 거문고 등 우리 악기 여덟 점이 대여 형식으로 다시 고국 땅을 밟습니다.
12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특히 용 무늬와 화려한 수가 장식된 장구는 기록으로만 전하던 궁중 악기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당비파는 현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주재근(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 "우리 악기들의 변천사를 볼 수 있고 해외에서 우리 국악 유물들이 얼마나 좋은 가치 평가를 받았는지 볼 수 있는 귀한 자료들입니다"
120년 만에 돌아온 우리 국악기들은 다음달부터 두 달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미국에 간 조선 악기 120년 만에 돌아오다!
-
- 입력 2013-09-26 07:34:43
- 수정2013-09-26 08:59:17
<앵커 멘트>
지난 1893년 미국 시카고 박람회에 보내졌던 우리 국악기 여덟 점이 12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시대적 사명을 띠고 머나먼 이국으로 파견됐던 고종의 외교 사신들인 셈인데요.
120년 전 우리 악기는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심연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893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만국 박람회 첫날.
아시아의 작은 나라, 조선의 음악이 울려 퍼졌습니다.
태극기를 달고, '대조선'이라는 한글 국호를 쓴 조선의 첫 세계무대였습니다.
고종의 명을 받고 태평양을 건너온 궁중 악공 10명은 중국, 일본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 문화를 보여줬습니다.
<인터뷰> 다니엘 케인(칼럼니스트) : "당시 많은 미국인들에게 큰 감명을 줬고 한국은 그 연주로 상까지 받게 됩니다."
당시 미국에 남았던 고종의 외교 사절, 대금과 거문고 등 우리 악기 여덟 점이 대여 형식으로 다시 고국 땅을 밟습니다.
12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특히 용 무늬와 화려한 수가 장식된 장구는 기록으로만 전하던 궁중 악기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당비파는 현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주재근(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 "우리 악기들의 변천사를 볼 수 있고 해외에서 우리 국악 유물들이 얼마나 좋은 가치 평가를 받았는지 볼 수 있는 귀한 자료들입니다"
120년 만에 돌아온 우리 국악기들은 다음달부터 두 달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지난 1893년 미국 시카고 박람회에 보내졌던 우리 국악기 여덟 점이 120년 만에 고국으로 돌아왔습니다.
시대적 사명을 띠고 머나먼 이국으로 파견됐던 고종의 외교 사신들인 셈인데요.
120년 전 우리 악기는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심연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1893년, 미국 시카고에서 열린 만국 박람회 첫날.
아시아의 작은 나라, 조선의 음악이 울려 퍼졌습니다.
태극기를 달고, '대조선'이라는 한글 국호를 쓴 조선의 첫 세계무대였습니다.
고종의 명을 받고 태평양을 건너온 궁중 악공 10명은 중국, 일본과는 다른 조선의 독자 문화를 보여줬습니다.
<인터뷰> 다니엘 케인(칼럼니스트) : "당시 많은 미국인들에게 큰 감명을 줬고 한국은 그 연주로 상까지 받게 됩니다."
당시 미국에 남았던 고종의 외교 사절, 대금과 거문고 등 우리 악기 여덟 점이 대여 형식으로 다시 고국 땅을 밟습니다.
120년의 세월이 흘렀습니다.
특히 용 무늬와 화려한 수가 장식된 장구는 기록으로만 전하던 궁중 악기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당비파는 현존 가장 오래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주재근(국립국악원 학예연구사) : "우리 악기들의 변천사를 볼 수 있고 해외에서 우리 국악 유물들이 얼마나 좋은 가치 평가를 받았는지 볼 수 있는 귀한 자료들입니다"
120년 만에 돌아온 우리 국악기들은 다음달부터 두 달 동안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그 모습을 드러내게 됩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
-
심연희 기자 simony@kbs.co.kr
심연희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