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생성부터 발견까지

입력 2013.10.02 (21:01) 수정 2013.10.04 (09:3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논란이 된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졌고, 검찰 수사는 어떻게 이뤄졌는지 궁금합니다.

김시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07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입니다.

조명균 당시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두 정상의 대화를 녹음합니다.

국정원이 이 녹음파일 내용을 문서로 정리해서, 청와대로 넘겼는데 참여정부는 이 내용을 토대로 '이지원'이란 문서관리시스템에서 전자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이게 바로 논란이 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입니다.

청와대에서 대통령 기록물을 만들면 경기도 성남에 있는 국가기록원의 대통령 기록관으로 꼭 넘겨야 합니다.

형태는 크게 문서와 전자 파일 2가지로 나뉘는데요.

서류는 대통령 기록관 서고에 두면 되지만, 대량의 전자파일은 외장하드에 담아서 대통령 기록관에 있는 시스템 서버, 일명 '팜스'에 저장시킵니다.

당초에 만약 회의록이 있다면 이 중의 하나에서 발견될 거라는 예상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정작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은 다른 곳에서 나왔습니다.

바로 '봉하 이지원'입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난 2008년 퇴임하면서 재임 기간에 만들었던 청와대 이지원 자료들을 그대로 복사해서 봉하마을로 가져갔는데, 여기에서 나왔다는 겁니다.

노 전 대통령 측은 이명박 정부 초기에 국가 기록물이 유출됐다는 논란이 일자, 해당 자료를 모두 반납했습니다.

이 자료들이 지금까지 대통령기록관에 그대로 보관돼 왔기 때문에 이번에 검찰이 확인할 수 있었던 겁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생성부터 발견까지
    • 입력 2013-10-02 21:02:23
    • 수정2013-10-04 09:36:42
    뉴스 9
<앵커 멘트>

논란이 된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은 어떤 과정을 거쳐서 만들어졌고, 검찰 수사는 어떻게 이뤄졌는지 궁금합니다.

김시원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난 2007년 10월, 평양에서 열린 남북정상회담입니다.

조명균 당시 청와대 안보정책비서관이 두 정상의 대화를 녹음합니다.

국정원이 이 녹음파일 내용을 문서로 정리해서, 청와대로 넘겼는데 참여정부는 이 내용을 토대로 '이지원'이란 문서관리시스템에서 전자문서를 만들었습니다.

이게 바로 논란이 된 2007년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입니다.

청와대에서 대통령 기록물을 만들면 경기도 성남에 있는 국가기록원의 대통령 기록관으로 꼭 넘겨야 합니다.

형태는 크게 문서와 전자 파일 2가지로 나뉘는데요.

서류는 대통령 기록관 서고에 두면 되지만, 대량의 전자파일은 외장하드에 담아서 대통령 기록관에 있는 시스템 서버, 일명 '팜스'에 저장시킵니다.

당초에 만약 회의록이 있다면 이 중의 하나에서 발견될 거라는 예상이 많았습니다.

그런데 정작 남북정상회담 회의록은 다른 곳에서 나왔습니다.

바로 '봉하 이지원'입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은 지난 2008년 퇴임하면서 재임 기간에 만들었던 청와대 이지원 자료들을 그대로 복사해서 봉하마을로 가져갔는데, 여기에서 나왔다는 겁니다.

노 전 대통령 측은 이명박 정부 초기에 국가 기록물이 유출됐다는 논란이 일자, 해당 자료를 모두 반납했습니다.

이 자료들이 지금까지 대통령기록관에 그대로 보관돼 왔기 때문에 이번에 검찰이 확인할 수 있었던 겁니다.

KBS 뉴스 김시원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