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감 키우는 ‘방사능 보도’

입력 2013.10.13 (17:10) 수정 2013.10.13 (17:4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지 2년 반이 넘었는데, 최근 일본 방사능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더욱 커졌습니다.

정부는 ‘안전하다’고 하고, 국민은 ‘못 믿겠다’고 하는데 언론이 그 사이에서 제대로 된 기능을 못하고 있지 않느냐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미디어인사이드 오늘은 일본 방사능 오염 보도를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이민영 기자!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2년 반이 지났는데, 최근 들어 갑자기 수산물을 비롯한 일본산 식품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더 높아지고 있어요. 원인이 뭔가요?

<답변> 네, 사고 이후 계속해서 안전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던 일본 정부가 석 달 전 뒤늦게 방사능 오염수가 유출되고 있다고 처음으로 인정했는데요.

괜찮다는 말만 믿고 안심했던 우리 국민들이 갑작스런 일본 정부의 발표로 혼란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지난 7월 22일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방사능에 오염된 지하수가 바다로 흘러들어갔다며, 그동안 부인해왔던 오염수 유출에 대해 처음으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녹취> “방사능에 오염된 지하수가 원전 앞 해수 취수구로 유출되고 있습니다”

얼마 뒤, 일본 원자력재해대책본부에서는 사고 후 하루 300톤이 유출되고 있다며 통제불능 상태라고 발표했고, 이어서 8월 중순에는 지상 저장탱크에서도 오염수가 새기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안전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던 일본 정부의 느닷없는 입장 바꾸기는 일본은 물론 국내까지 그 파장을 몰고 왔습니다.

<녹취> "우리 정부는 세계에서 가장 강한 기준을 갖고 방사능 안전관리를 엄격하게 하고 있습니다."

안심해도 좋다는 정부 발표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방사능에 대한 불안은 점점 커졌고. 급기야 추석을 전후해 확산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은 국내산 수산물 소비에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대형마트에는 수십만 원짜리 휴대용 방사능 측정 장치까지 등장했습니다.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오염수가 우리나라 해역으로 유입되지 않았다는 조사 결과를 공개했고

<녹취> "과학적 관점에서 일본산 수산물 안전하다"

해양수산부 장관까지 나서 수산물 안전성을 거듭 강조했지만 국민 불안은 좀처럼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질문>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유출에 대해 일본 정부가 공식 인정한 이후, 우리 언론은 이를 어떻게 다뤘나요?

<답변> 사실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오염수 유출은 지난 7월에 갑작스럽게 발생한 것은 아닙니다.

2년 반 동안 계속해서 오염수는 유출됐고, 의혹도 꾸준히 제기됐지만 일본 정부에서 그동안 쉬쉬했던 건데요.

뒤늦게 사태를 인정한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도 문제지만 지속적으로 후쿠시마 원전 문제에 관심을 두고 국민에게 올바른 정보를 신속하게 알려야 할 언론도 그 역할을 다하지 못했습니다.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사고 다음날, 국내 5개 신문들의 경우 이 사건을 다룬 보도건수는 하루 동안 111건이었습니다.

반면에 일본 정부가 방사능 오염수 유출에 대해 공식 인정한 다음날, 이 사실을 지면으로 다룬 신문 보도는 한 건도 없었습니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하루 평균 30개 이상의 관련 뉴스를 내보냈던 방송사들의 경우도 한 꼭지식 보도하는데 그쳤습니다.

신문 지면에는 일주일 뒤에서야 관련 사안을 다룬 보도가 처음으로 나왔지만, 방사능 오염수 유출이라는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정보를 알리는 것보다 항간에 떠도는 소문을 불식시키는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조선일보/07.31> 최근 인터넷과 SNS를 통해 후쿠시마 원전에서 유출된 방사능의 위험을 경고하는 글들이 갑자기 퍼져 시민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오염수 유출 사실이 공식 확인된 지 열흘이 지나서야 관련 보도가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했지만 이마저도 일본 언론의 보도를 단순 전달하는데 그쳤습니다.

<경향신문/08월 02일> 2년 넘도록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은 채 방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아사히신문이 1일 보도했다.

<녹취> "언론이 이 문제에 대해서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국민들이 이 문제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봐야하는지 이런 부분에 대한 심층보도가 필요한데 사실상 일본 언론에 보도된 걸 재인용해서 중계방송식 보도에 그쳤다."

언론이 역할을 다하지 않는 사이에, 인터넷상에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급속도로 퍼졌고, 일부 언론들이 이를 그대로 받아 쓰면서 혼선을 부추기기도 했습니다.

<녹취> "우리가 사실은 재난보도나 최근의 수산물 보도, 단발성에 그치거든요 재난이라는 것이 갑자기 일어나기 때문에 평소에 준비를 해야 되고 그런 문제가 있는데 우리는 어떤 면에서 냄비식 보도라고 할까..."

일본 방사능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언론이 제공하는 정보에 의존합니다.

때문에 문제가 불거질 때만 ‘반짝’하는 언론의 보도 관행은 우리 국민이 객관적인 판단을 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녹취> "언론 자체가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하는 게 아니고요. 소식이 날 때마다 하니까 우리 국민들은 깜짝 놀라죠. 그리고 언론이 조용해지면 조용해지고. 이게 문제죠."

<질문> 정부나 언론이 후쿠시마 원전에 대한 지속적인 환경감시를 소홀히 한 것이 국민들의 혼선을 초래한 원인이라는 분석인데,또 다른 원인으로 오락가락하는 정부의 태도도 지적하고 있어요?

<답변> 네. ‘안전하다’고 했다가, 며칠 만에 검역기준을 뒤늦게 강화하는 등 일관성 없이 오락가락하는 정부의 태도와 또 이를 그대로 보도한 언론이 국민의 불안을 키웠습니다.

지난 8월2일 정홍원 총리는 일본 방사능에 대한 세간의 우려를 괴담으로 일축하며 유포하는 행위도 처벌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수산물 안전을 거듭 강조한 정부 관계자들은 국민 불안 해결을 위해 직접 시식행사까지 가졌습니다.

<녹취> "결국 한국 언론에서는 정부나 관련 기관이 제공하는 뉴스에 의존했기 때문에 스스로 발굴하고 심층취재하는 방식이 없었다고 생각해요 정보가 제대로 유통이 되고 언론에서 그 기능을 제대로 했다면 괴담이란 말도 나오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식약처장이 ‘안전하다’는 말을 한지 불과 닷새 뒤, 정부는 뒤늦게 후쿠시마 주변 8개현에 대한 수산물 수입 전면금지 조치를 내놨습니다.

<녹취> "그 전에부터 계속적으로 일관성 있게 정책을 취하면 좋지만 지금 바꾸지 않았습니까? 그 바꾼 것 자체가 훨씬 더 우리 국민을 불안하게 만드는 거죠. 실제 방사선 생선보다 불안한 건 정부 정책에서 불안한 것이고 신뢰가 떨어지는 것이고 식탁이 불안해지는 것이죠."

또한, 지난해 ‘한중일 원자력고위규제자회의’에서 원전 사고나 재난 발생시 24시간 이내 정보를 제공받기로 합의했지만, 정부는 합의된 정보 교환체제조차 제대로 가동하지 않았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관련 상세 자료를 이미 갖고 있어야 할 정부는 뒤늦게 외교부를 통해 세부자료를 일본 정부에 요청했고, 언론도 일본 언론에 의존하는 보도태도를 보였습니다.

현재 서로 다른 부처에서 내놓는 정보를 한 곳에서 정확하게 취합해 발표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녹취> "우리나라 정부가 현재 대처하고 있는 것을 보면 다섯 개의 부처가 지금 이 문제를 동시에 다루고 있습니다. 이것을 조합해서 우리나라의 원자력 정책, 또 후쿠시마 이후에 이 재앙에 대한 정책들이 없는 상태죠. 그렇기 때문에 총리 산하에 컨트롤타워를 신설해서 체계적이고 아주 정밀한 그런 대책이 마련이 되어야 한다."

‘괴담’이나 ‘공포’는 정확한 정보에 접근하지 못할 때 생깁니다.

정부나 언론이 일본 방사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불안이 더 커졌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언론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과거 완료형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불안감 키우는 ‘방사능 보도’
    • 입력 2013-10-13 17:37:38
    • 수정2013-10-13 17:43:55
    미디어 인사이드
<앵커 멘트>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지 2년 반이 넘었는데, 최근 일본 방사능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감이 더욱 커졌습니다.

정부는 ‘안전하다’고 하고, 국민은 ‘못 믿겠다’고 하는데 언론이 그 사이에서 제대로 된 기능을 못하고 있지 않느냐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미디어인사이드 오늘은 일본 방사능 오염 보도를 짚어보겠습니다.

<질문> 이민영 기자! 후쿠시마 원전 사고 후 2년 반이 지났는데, 최근 들어 갑자기 수산물을 비롯한 일본산 식품에 대한 국민들의 불안이 더 높아지고 있어요. 원인이 뭔가요?

<답변> 네, 사고 이후 계속해서 안전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던 일본 정부가 석 달 전 뒤늦게 방사능 오염수가 유출되고 있다고 처음으로 인정했는데요.

괜찮다는 말만 믿고 안심했던 우리 국민들이 갑작스런 일본 정부의 발표로 혼란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지난 7월 22일 도쿄전력이 후쿠시마 원전사고 후 방사능에 오염된 지하수가 바다로 흘러들어갔다며, 그동안 부인해왔던 오염수 유출에 대해 처음으로 공식 인정했습니다.

<녹취> “방사능에 오염된 지하수가 원전 앞 해수 취수구로 유출되고 있습니다”

얼마 뒤, 일본 원자력재해대책본부에서는 사고 후 하루 300톤이 유출되고 있다며 통제불능 상태라고 발표했고, 이어서 8월 중순에는 지상 저장탱크에서도 오염수가 새기 시작했다고 말했습니다.

그동안 “안전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던 일본 정부의 느닷없는 입장 바꾸기는 일본은 물론 국내까지 그 파장을 몰고 왔습니다.

<녹취> "우리 정부는 세계에서 가장 강한 기준을 갖고 방사능 안전관리를 엄격하게 하고 있습니다."

안심해도 좋다는 정부 발표에도 불구하고, 국민들의 방사능에 대한 불안은 점점 커졌고. 급기야 추석을 전후해 확산된 일본산 수산물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은 국내산 수산물 소비에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

대형마트에는 수십만 원짜리 휴대용 방사능 측정 장치까지 등장했습니다.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오염수가 우리나라 해역으로 유입되지 않았다는 조사 결과를 공개했고

<녹취> "과학적 관점에서 일본산 수산물 안전하다"

해양수산부 장관까지 나서 수산물 안전성을 거듭 강조했지만 국민 불안은 좀처럼 해소될 기미가 보이지 않고 있습니다.

<질문> 후쿠시마 원전의 오염수 유출에 대해 일본 정부가 공식 인정한 이후, 우리 언론은 이를 어떻게 다뤘나요?

<답변> 사실 후쿠시마 원전의 방사능 오염수 유출은 지난 7월에 갑작스럽게 발생한 것은 아닙니다.

2년 반 동안 계속해서 오염수는 유출됐고, 의혹도 꾸준히 제기됐지만 일본 정부에서 그동안 쉬쉬했던 건데요.

뒤늦게 사태를 인정한 일본 정부의 무책임한 태도도 문제지만 지속적으로 후쿠시마 원전 문제에 관심을 두고 국민에게 올바른 정보를 신속하게 알려야 할 언론도 그 역할을 다하지 못했습니다.

2011년 3월, 동일본 대지진 사고 다음날, 국내 5개 신문들의 경우 이 사건을 다룬 보도건수는 하루 동안 111건이었습니다.

반면에 일본 정부가 방사능 오염수 유출에 대해 공식 인정한 다음날, 이 사실을 지면으로 다룬 신문 보도는 한 건도 없었습니다.

동일본 대지진 당시 하루 평균 30개 이상의 관련 뉴스를 내보냈던 방송사들의 경우도 한 꼭지식 보도하는데 그쳤습니다.

신문 지면에는 일주일 뒤에서야 관련 사안을 다룬 보도가 처음으로 나왔지만, 방사능 오염수 유출이라는 객관적 사실과 정확한 정보를 알리는 것보다 항간에 떠도는 소문을 불식시키는데 초점을 맞췄습니다.

<조선일보/07.31> 최근 인터넷과 SNS를 통해 후쿠시마 원전에서 유출된 방사능의 위험을 경고하는 글들이 갑자기 퍼져 시민들의 불안감을 키우고 있다.

오염수 유출 사실이 공식 확인된 지 열흘이 지나서야 관련 보도가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했지만 이마저도 일본 언론의 보도를 단순 전달하는데 그쳤습니다.

<경향신문/08월 02일> 2년 넘도록 아무 조치도 취하지 않은 채 방치했던 것으로 드러났다고 아사히신문이 1일 보도했다.

<녹취> "언론이 이 문제에 대해서 왜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국민들이 이 문제를 어떤 관점으로 바라봐야하는지 이런 부분에 대한 심층보도가 필요한데 사실상 일본 언론에 보도된 걸 재인용해서 중계방송식 보도에 그쳤다."

언론이 역할을 다하지 않는 사이에, 인터넷상에는 확인되지 않은 정보가 급속도로 퍼졌고, 일부 언론들이 이를 그대로 받아 쓰면서 혼선을 부추기기도 했습니다.

<녹취> "우리가 사실은 재난보도나 최근의 수산물 보도, 단발성에 그치거든요 재난이라는 것이 갑자기 일어나기 때문에 평소에 준비를 해야 되고 그런 문제가 있는데 우리는 어떤 면에서 냄비식 보도라고 할까..."

일본 방사능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은 언론이 제공하는 정보에 의존합니다.

때문에 문제가 불거질 때만 ‘반짝’하는 언론의 보도 관행은 우리 국민이 객관적인 판단을 하는데 걸림돌이 되고 있습니다.

<녹취> "언론 자체가 꾸준하게 지속적으로 하는 게 아니고요. 소식이 날 때마다 하니까 우리 국민들은 깜짝 놀라죠. 그리고 언론이 조용해지면 조용해지고. 이게 문제죠."

<질문> 정부나 언론이 후쿠시마 원전에 대한 지속적인 환경감시를 소홀히 한 것이 국민들의 혼선을 초래한 원인이라는 분석인데,또 다른 원인으로 오락가락하는 정부의 태도도 지적하고 있어요?

<답변> 네. ‘안전하다’고 했다가, 며칠 만에 검역기준을 뒤늦게 강화하는 등 일관성 없이 오락가락하는 정부의 태도와 또 이를 그대로 보도한 언론이 국민의 불안을 키웠습니다.

지난 8월2일 정홍원 총리는 일본 방사능에 대한 세간의 우려를 괴담으로 일축하며 유포하는 행위도 처벌하라고 지시했습니다.

수산물 안전을 거듭 강조한 정부 관계자들은 국민 불안 해결을 위해 직접 시식행사까지 가졌습니다.

<녹취> "결국 한국 언론에서는 정부나 관련 기관이 제공하는 뉴스에 의존했기 때문에 스스로 발굴하고 심층취재하는 방식이 없었다고 생각해요 정보가 제대로 유통이 되고 언론에서 그 기능을 제대로 했다면 괴담이란 말도 나오지 않았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정부의 일관성 없는 정책도 지적되고 있습니다.

식약처장이 ‘안전하다’는 말을 한지 불과 닷새 뒤, 정부는 뒤늦게 후쿠시마 주변 8개현에 대한 수산물 수입 전면금지 조치를 내놨습니다.

<녹취> "그 전에부터 계속적으로 일관성 있게 정책을 취하면 좋지만 지금 바꾸지 않았습니까? 그 바꾼 것 자체가 훨씬 더 우리 국민을 불안하게 만드는 거죠. 실제 방사선 생선보다 불안한 건 정부 정책에서 불안한 것이고 신뢰가 떨어지는 것이고 식탁이 불안해지는 것이죠."

또한, 지난해 ‘한중일 원자력고위규제자회의’에서 원전 사고나 재난 발생시 24시간 이내 정보를 제공받기로 합의했지만, 정부는 합의된 정보 교환체제조차 제대로 가동하지 않았습니다.

후쿠시마 원전 관련 상세 자료를 이미 갖고 있어야 할 정부는 뒤늦게 외교부를 통해 세부자료를 일본 정부에 요청했고, 언론도 일본 언론에 의존하는 보도태도를 보였습니다.

현재 서로 다른 부처에서 내놓는 정보를 한 곳에서 정확하게 취합해 발표하는 것도 중요하다는 지적입니다.

<녹취> "우리나라 정부가 현재 대처하고 있는 것을 보면 다섯 개의 부처가 지금 이 문제를 동시에 다루고 있습니다. 이것을 조합해서 우리나라의 원자력 정책, 또 후쿠시마 이후에 이 재앙에 대한 정책들이 없는 상태죠. 그렇기 때문에 총리 산하에 컨트롤타워를 신설해서 체계적이고 아주 정밀한 그런 대책이 마련이 되어야 한다."

‘괴담’이나 ‘공포’는 정확한 정보에 접근하지 못할 때 생깁니다.

정부나 언론이 일본 방사능에 대한 신속하고 정확한 정보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국민들의 불안이 더 커졌다는 것은 부인할 수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우리 언론은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과거 완료형이 아니라 현재 진행형이라는 사실을 잊지 말아야 할 것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