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 아동 부모 절반 ‘우울증’…극단적 생각도
입력 2013.10.28 (06:16)
수정 2013.10.28 (07: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장애인 아동을 돌보는 부모들.. 아이 만큼이나 아픕니다.
절반 이상이 우울증 증세를 보이고 있다는데요,
아픈 자녀를 돌보는 데만 온 신경을 쓰다 보니, 정작 자신의 마음에 생기는 병은 돌보지 못하는 겁니다.
그 실태와 해법을, 남승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각 장애에다 발달장애까지 앓는 중학생 딸을 둔 40대 엄마입니다.
힘겹게 아이를 키우며 찾아온 우울증에 극단적 생각을 한 게 한두 번이 아닙니다.
<인터뷰> 장애 아동 엄마(음성 변조) : "이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이 자식이, 장애 자식이 있는 이 가정을 뚝 떠나고 싶어요. 내 자식하고 나만 둘이 없어지면 어떨까 .."
정부 조사 결과, 우울증이 의심되는 장애인 보호자는 절반이 넘는 52%..
16 이상이면 증상이 의심되는 우울지수의 평균(19.43)이 일반 국민(5.03)이나 저소득층(11.92)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인터뷰> 김지영(미술치료사) : "하루 종일 그 아이의 심리적인 케어(돌봄)부터 신체적인 케어, 그리고 그게 평생 동안 이뤄진다는 게 가장 큰 어려움이시고. 그러다 보면 부부간의 갈등이 더 심화되는 그런 문제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장애가 없는 다른 자녀 역시 정신적 고통이 크긴 마찬가집니다.
장애 형제 중심으로 돌아가는 가정 환경 속에서 '내게도 관심을 달라'고 호소합니다.
<녹취> 비장애 형제 공연 : "네가 있어서 행복해. (네가 있어서 행복해.) 이 말을 듣고 싶어."
현재는 장애 아동 지원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아동 본인에게만 집중된 상황.
이를 보호자와 다른 자녀까지 함께하는 '가족 치료'로 확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장애인 아동을 돌보는 부모들.. 아이 만큼이나 아픕니다.
절반 이상이 우울증 증세를 보이고 있다는데요,
아픈 자녀를 돌보는 데만 온 신경을 쓰다 보니, 정작 자신의 마음에 생기는 병은 돌보지 못하는 겁니다.
그 실태와 해법을, 남승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각 장애에다 발달장애까지 앓는 중학생 딸을 둔 40대 엄마입니다.
힘겹게 아이를 키우며 찾아온 우울증에 극단적 생각을 한 게 한두 번이 아닙니다.
<인터뷰> 장애 아동 엄마(음성 변조) : "이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이 자식이, 장애 자식이 있는 이 가정을 뚝 떠나고 싶어요. 내 자식하고 나만 둘이 없어지면 어떨까 .."
정부 조사 결과, 우울증이 의심되는 장애인 보호자는 절반이 넘는 52%..
16 이상이면 증상이 의심되는 우울지수의 평균(19.43)이 일반 국민(5.03)이나 저소득층(11.92)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인터뷰> 김지영(미술치료사) : "하루 종일 그 아이의 심리적인 케어(돌봄)부터 신체적인 케어, 그리고 그게 평생 동안 이뤄진다는 게 가장 큰 어려움이시고. 그러다 보면 부부간의 갈등이 더 심화되는 그런 문제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장애가 없는 다른 자녀 역시 정신적 고통이 크긴 마찬가집니다.
장애 형제 중심으로 돌아가는 가정 환경 속에서 '내게도 관심을 달라'고 호소합니다.
<녹취> 비장애 형제 공연 : "네가 있어서 행복해. (네가 있어서 행복해.) 이 말을 듣고 싶어."
현재는 장애 아동 지원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아동 본인에게만 집중된 상황.
이를 보호자와 다른 자녀까지 함께하는 '가족 치료'로 확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장애 아동 부모 절반 ‘우울증’…극단적 생각도
-
- 입력 2013-10-28 06:17:55
- 수정2013-10-28 07:18:34

<앵커 멘트>
장애인 아동을 돌보는 부모들.. 아이 만큼이나 아픕니다.
절반 이상이 우울증 증세를 보이고 있다는데요,
아픈 자녀를 돌보는 데만 온 신경을 쓰다 보니, 정작 자신의 마음에 생기는 병은 돌보지 못하는 겁니다.
그 실태와 해법을, 남승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각 장애에다 발달장애까지 앓는 중학생 딸을 둔 40대 엄마입니다.
힘겹게 아이를 키우며 찾아온 우울증에 극단적 생각을 한 게 한두 번이 아닙니다.
<인터뷰> 장애 아동 엄마(음성 변조) : "이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이 자식이, 장애 자식이 있는 이 가정을 뚝 떠나고 싶어요. 내 자식하고 나만 둘이 없어지면 어떨까 .."
정부 조사 결과, 우울증이 의심되는 장애인 보호자는 절반이 넘는 52%..
16 이상이면 증상이 의심되는 우울지수의 평균(19.43)이 일반 국민(5.03)이나 저소득층(11.92)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인터뷰> 김지영(미술치료사) : "하루 종일 그 아이의 심리적인 케어(돌봄)부터 신체적인 케어, 그리고 그게 평생 동안 이뤄진다는 게 가장 큰 어려움이시고. 그러다 보면 부부간의 갈등이 더 심화되는 그런 문제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장애가 없는 다른 자녀 역시 정신적 고통이 크긴 마찬가집니다.
장애 형제 중심으로 돌아가는 가정 환경 속에서 '내게도 관심을 달라'고 호소합니다.
<녹취> 비장애 형제 공연 : "네가 있어서 행복해. (네가 있어서 행복해.) 이 말을 듣고 싶어."
현재는 장애 아동 지원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아동 본인에게만 집중된 상황.
이를 보호자와 다른 자녀까지 함께하는 '가족 치료'로 확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장애인 아동을 돌보는 부모들.. 아이 만큼이나 아픕니다.
절반 이상이 우울증 증세를 보이고 있다는데요,
아픈 자녀를 돌보는 데만 온 신경을 쓰다 보니, 정작 자신의 마음에 생기는 병은 돌보지 못하는 겁니다.
그 실태와 해법을, 남승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청각 장애에다 발달장애까지 앓는 중학생 딸을 둔 40대 엄마입니다.
힘겹게 아이를 키우며 찾아온 우울증에 극단적 생각을 한 게 한두 번이 아닙니다.
<인터뷰> 장애 아동 엄마(음성 변조) : "이 현실에서 벗어나고 싶어요. 이 자식이, 장애 자식이 있는 이 가정을 뚝 떠나고 싶어요. 내 자식하고 나만 둘이 없어지면 어떨까 .."
정부 조사 결과, 우울증이 의심되는 장애인 보호자는 절반이 넘는 52%..
16 이상이면 증상이 의심되는 우울지수의 평균(19.43)이 일반 국민(5.03)이나 저소득층(11.92)보다 월등히 높았습니다.
<인터뷰> 김지영(미술치료사) : "하루 종일 그 아이의 심리적인 케어(돌봄)부터 신체적인 케어, 그리고 그게 평생 동안 이뤄진다는 게 가장 큰 어려움이시고. 그러다 보면 부부간의 갈등이 더 심화되는 그런 문제점들이 많이 있습니다."
장애가 없는 다른 자녀 역시 정신적 고통이 크긴 마찬가집니다.
장애 형제 중심으로 돌아가는 가정 환경 속에서 '내게도 관심을 달라'고 호소합니다.
<녹취> 비장애 형제 공연 : "네가 있어서 행복해. (네가 있어서 행복해.) 이 말을 듣고 싶어."
현재는 장애 아동 지원 프로그램의 대부분이 아동 본인에게만 집중된 상황.
이를 보호자와 다른 자녀까지 함께하는 '가족 치료'로 확대해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조언합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
남승우 기자 futurist@kbs.co.kr
남승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