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 재계 반발…“강제징용자 배상 판결 거부”
입력 2013.11.06 (19:17)
수정 2013.11.06 (20:5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최근 일제 강제징용자에 대한 한국 법원의 잇단 배상 판결에 대해 일본 경제단체들이 경제협력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도쿄 박재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경제계가 이례적으로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최근 한국 법원에서 `미츠비시 중공업' 등에게 잇따라 배상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한 반발입니다.
일본경제 3단체와 일한경제협회는 오늘 '우호적인 한일경제관계의 유지.발전을 향해'라는 제목의 입장문에서 강제 징용 청구권 문제는 한국에 대한 투자나 사업에 장애가 될 우려가 있고, 한국과 일본의 경제관계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제단체들은 한일 양국의 경제 관계가 지난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 의해 재산과 청구권에 관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됐다는 것을 기초로 순조롭게 발전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실상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그대로 반영한 것입니다.
또, 이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고 양국과 경제계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재계의 배상 거부로 강제 징용 피해자와 유족들의 반발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박재우입니다.
최근 일제 강제징용자에 대한 한국 법원의 잇단 배상 판결에 대해 일본 경제단체들이 경제협력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도쿄 박재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경제계가 이례적으로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최근 한국 법원에서 `미츠비시 중공업' 등에게 잇따라 배상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한 반발입니다.
일본경제 3단체와 일한경제협회는 오늘 '우호적인 한일경제관계의 유지.발전을 향해'라는 제목의 입장문에서 강제 징용 청구권 문제는 한국에 대한 투자나 사업에 장애가 될 우려가 있고, 한국과 일본의 경제관계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제단체들은 한일 양국의 경제 관계가 지난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 의해 재산과 청구권에 관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됐다는 것을 기초로 순조롭게 발전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실상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그대로 반영한 것입니다.
또, 이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고 양국과 경제계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재계의 배상 거부로 강제 징용 피해자와 유족들의 반발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박재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日 재계 반발…“강제징용자 배상 판결 거부”
-
- 입력 2013-11-06 19:20:35
- 수정2013-11-06 20:50:22

<앵커 멘트>
최근 일제 강제징용자에 대한 한국 법원의 잇단 배상 판결에 대해 일본 경제단체들이 경제협력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도쿄 박재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경제계가 이례적으로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최근 한국 법원에서 `미츠비시 중공업' 등에게 잇따라 배상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한 반발입니다.
일본경제 3단체와 일한경제협회는 오늘 '우호적인 한일경제관계의 유지.발전을 향해'라는 제목의 입장문에서 강제 징용 청구권 문제는 한국에 대한 투자나 사업에 장애가 될 우려가 있고, 한국과 일본의 경제관계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제단체들은 한일 양국의 경제 관계가 지난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 의해 재산과 청구권에 관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됐다는 것을 기초로 순조롭게 발전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실상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그대로 반영한 것입니다.
또, 이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고 양국과 경제계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재계의 배상 거부로 강제 징용 피해자와 유족들의 반발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박재우입니다.
최근 일제 강제징용자에 대한 한국 법원의 잇단 배상 판결에 대해 일본 경제단체들이 경제협력에 차질을 빚을 수 있다며 사실상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도쿄 박재우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일본 경제계가 이례적으로 일제 강제 징용 피해자에 대한 배상 거부 입장을 밝혔습니다.
최근 한국 법원에서 `미츠비시 중공업' 등에게 잇따라 배상 판결을 내린 것에 대한 반발입니다.
일본경제 3단체와 일한경제협회는 오늘 '우호적인 한일경제관계의 유지.발전을 향해'라는 제목의 입장문에서 강제 징용 청구권 문제는 한국에 대한 투자나 사업에 장애가 될 우려가 있고, 한국과 일본의 경제관계를 훼손할 가능성이 있어 깊이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경제단체들은 한일 양국의 경제 관계가 지난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에 의해 재산과 청구권에 관한 문제가 완전히 해결됐다는 것을 기초로 순조롭게 발전해왔다고 강조했습니다.
사실상 일본 정부의 기존 입장을 그대로 반영한 것입니다.
또, 이 문제를 시급히 해결하고 양국과 경제계가 함께 발전할 수 있도록 협력해 나가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일본 재계의 배상 거부로 강제 징용 피해자와 유족들의 반발이 더욱 거세질 것으로 보입니다.
도쿄에서 KBS 뉴스 박재우입니다.
-
-
박재우 기자 pjwoo@kbs.co.kr
박재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