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소리의 변신…이렇게 새로웠어?

입력 2013.11.09 (06:45) 수정 2013.11.09 (12:2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야기를 음악으로 전하는 예술, 뮤지컬, 오페라가 먼저 떠오르시나요?

우리에겐 판소리가 있습니다.

요즘 판소리는 각종 공연 속에서 새롭고 다양한 모습으로 대중에 성큼 다가서고 있는데요.

판소리, 이렇게도 할 수 있구나 싶으실 겁니다.

심연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 "자 봐라, 저 깊은 어둠을!"

청년 단테가 지옥과 연옥을 거쳐 천국에 닿기까지.

삶의 본질을 묻는 묵직한 서사시.

국내 초연임에도 전회 매진을 기록한 화제의 연극, '단테의 신곡'입니다.

<녹취> "지옥의 고통을 표현하는 극적 장치는 바로 판소립니다."

<녹취> "네 안의 또 다른 너"

애끓는 한을 표현하는 판소리의 특성이 전체 극의 분위기와 절묘하게 어울리면서 지옥의 느낌을 제대로 살립니다.

<녹취> "빵 빵 빵 ~~~우리는 빵을 원합니다. (모조리 먹어 치운 건 당통입니다.)"

프랑스 혁명을 다룬 심리극에서도 '1인 오페라' 판소리의 특징을 최대한 살렸습니다.

<녹취> "아니 대체 누가 당통을 반역자라 하는 거야? (로베스피에르!)"

소리꾼 이자람 씨가 거리 광대로 14명의 역할을 해내며 군중의 힘을 보여줍니다.

<인터뷰> 가보 톰파(연출가) : "이자람 씨는 전통에서 혁신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중요한 예술가라고 생각합니다."

유네스코가 우리 소리, 판소리를 '인류 무형유산'으로 정한지 꼭 10년째.

연극, 뮤지컬, 밴드, 창극 등 다양한 장르를 거치며 판소리는 무대를 더욱 새롭고 재밌게 만드는 원천으로 다시 주목 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판소리의 변신…이렇게 새로웠어?
    • 입력 2013-11-09 09:57:14
    • 수정2013-11-09 12:27:24
    뉴스광장 1부
<앵커 멘트>

이야기를 음악으로 전하는 예술, 뮤지컬, 오페라가 먼저 떠오르시나요?

우리에겐 판소리가 있습니다.

요즘 판소리는 각종 공연 속에서 새롭고 다양한 모습으로 대중에 성큼 다가서고 있는데요.

판소리, 이렇게도 할 수 있구나 싶으실 겁니다.

심연희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녹취> "자 봐라, 저 깊은 어둠을!"

청년 단테가 지옥과 연옥을 거쳐 천국에 닿기까지.

삶의 본질을 묻는 묵직한 서사시.

국내 초연임에도 전회 매진을 기록한 화제의 연극, '단테의 신곡'입니다.

<녹취> "지옥의 고통을 표현하는 극적 장치는 바로 판소립니다."

<녹취> "네 안의 또 다른 너"

애끓는 한을 표현하는 판소리의 특성이 전체 극의 분위기와 절묘하게 어울리면서 지옥의 느낌을 제대로 살립니다.

<녹취> "빵 빵 빵 ~~~우리는 빵을 원합니다. (모조리 먹어 치운 건 당통입니다.)"

프랑스 혁명을 다룬 심리극에서도 '1인 오페라' 판소리의 특징을 최대한 살렸습니다.

<녹취> "아니 대체 누가 당통을 반역자라 하는 거야? (로베스피에르!)"

소리꾼 이자람 씨가 거리 광대로 14명의 역할을 해내며 군중의 힘을 보여줍니다.

<인터뷰> 가보 톰파(연출가) : "이자람 씨는 전통에서 혁신을 창출해 낼 수 있는 중요한 예술가라고 생각합니다."

유네스코가 우리 소리, 판소리를 '인류 무형유산'으로 정한지 꼭 10년째.

연극, 뮤지컬, 밴드, 창극 등 다양한 장르를 거치며 판소리는 무대를 더욱 새롭고 재밌게 만드는 원천으로 다시 주목 받고 있습니다.

KBS 뉴스 심연희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