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억’ 소리 나는 금융 CEO 연봉…“실적과 무관”

입력 2013.11.13 (21:38) 수정 2013.11.14 (07:15)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금융사 최고 경영자들의 연봉을 금감원이 이번에 처음 조사해 봤습니다.

4대 금융지주 회장들을 보니, 공적자금이 투입돼 있는 우리금융지주 회장도 9억 원, 다른 곳은 약 20억 원, 또 27억 원 이상입니다.

보험사와 은행, 금융투자사도 평균 10억 원에서 11억 원, 백억 원이 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런 고액 연봉이 회사 실적이나 최고 경영자 개인의 성과와 일치하느냐 하는 겁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금융권 최고 경영자 연봉은 고정급과 성과급이 '반반' 정도입니다.

그런데 성과급 평가결과를 들여다 보니 상당수가주당 순이익같이 잴 수 있는 평가지표는 목표치를 낮춰주고 기여도, 성취도 같이 잴 수 없는 지표는 만점 가깝게 줬다는 게 금감원의 지적입니다.

실적에 따라 줘야 할 성과급이 실제로는 실적과 연계성이 적었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상구(금융감독원 국장) : "금융회사의 경우, 일반 기업과는 다르게 고객 자산을 기초로 영업활동을 하기 때문에 CEO 보수도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책정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은행권의 경우 순익이 급증한 재작년에 최고 경영자 연봉을 '대폭' 올렸지만, 순익이 급감한 지난해에는 '찔금' 줄이는 데 그쳤습니다.

예금과 대출 금리 차이인 예대 마진과 수수료가 은행의 주 수입인 상항에서 최고 경영자가 고액 연봉만큼 역할을 하고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녹취> ○○은행 직원 : "수출이라든지 이런 게 아니고, 국내에서 예대마진을 통해서 나는 수익들인데 (연봉이) 많다는 생각이 들죠."

보험과 금융 투자사 최고경영자들의 고액 연봉도 타당성 지적을 받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번 조사결과 금융사 최고 경영자 연봉은 직원들에 비해 평균 20배에서 2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금융사들이 보수를 책정하는 기준을 점검하겠다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억’ 소리 나는 금융 CEO 연봉…“실적과 무관”
    • 입력 2013-11-13 21:39:07
    • 수정2013-11-14 07:15:46
    뉴스 9
<앵커 멘트>

금융사 최고 경영자들의 연봉을 금감원이 이번에 처음 조사해 봤습니다.

4대 금융지주 회장들을 보니, 공적자금이 투입돼 있는 우리금융지주 회장도 9억 원, 다른 곳은 약 20억 원, 또 27억 원 이상입니다.

보험사와 은행, 금융투자사도 평균 10억 원에서 11억 원, 백억 원이 넘는 경우도 있었습니다.

문제는 이런 고액 연봉이 회사 실적이나 최고 경영자 개인의 성과와 일치하느냐 하는 겁니다.

김준범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금융권 최고 경영자 연봉은 고정급과 성과급이 '반반' 정도입니다.

그런데 성과급 평가결과를 들여다 보니 상당수가주당 순이익같이 잴 수 있는 평가지표는 목표치를 낮춰주고 기여도, 성취도 같이 잴 수 없는 지표는 만점 가깝게 줬다는 게 금감원의 지적입니다.

실적에 따라 줘야 할 성과급이 실제로는 실적과 연계성이 적었다는 겁니다.

<인터뷰> 이상구(금융감독원 국장) : "금융회사의 경우, 일반 기업과는 다르게 고객 자산을 기초로 영업활동을 하기 때문에 CEO 보수도 합리적인 기준에 따라 책정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은행권의 경우 순익이 급증한 재작년에 최고 경영자 연봉을 '대폭' 올렸지만, 순익이 급감한 지난해에는 '찔금' 줄이는 데 그쳤습니다.

예금과 대출 금리 차이인 예대 마진과 수수료가 은행의 주 수입인 상항에서 최고 경영자가 고액 연봉만큼 역할을 하고 있는지도 의문입니다.

<녹취> ○○은행 직원 : "수출이라든지 이런 게 아니고, 국내에서 예대마진을 통해서 나는 수익들인데 (연봉이) 많다는 생각이 들죠."

보험과 금융 투자사 최고경영자들의 고액 연봉도 타당성 지적을 받기는 마찬가지입니다.

이번 조사결과 금융사 최고 경영자 연봉은 직원들에 비해 평균 20배에서 26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금감원은 앞으로도 금융사들이 보수를 책정하는 기준을 점검하겠다고 했습니다.

KBS 뉴스 김준범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