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리포트] 금속활자 ‘증도가자’ 여전히 논란…이유는?

입력 2013.11.13 (21:42) 수정 2013.11.13 (22:0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는 자랑스런 고려의 '직지'죠, 그런데 지난 2010년, 이 '직지'보다 최소 138년이나 앞서 제작됐다는 금속활자가 공개됐습니다.

고려시대 불교서적을 인쇄하는데 사용된 '증도가자'인데요, 만약 사실이라면 세계 인쇄술의 역사를 새로 써야 하는 대발견이었습니다만 3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 '증도가자'는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이하경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1239년,고려 조정은 불교서적 '남명천화상송증도가'를 간행합니다.

이 책의 금속활자본을 찍는 데 사용된 홀자가 '증도가자'인데 지난 2010년 한 사립 미술관이 해당 활자라며 101점을 공개했습니다.

곧바로 학계에서는 뜨거운 찬반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이 활자의 출처가 분명하지 않다는 점과 문자의 부식 상태가 쟁점이 됐습니다.

<인터뷰> 김종춘(증도가자 소유자) : "이것이 일단 개성에서 아니면 나올 수가 없죠. 그러나, 그것이 언제 나왔는지는 우리가 알 수가 없구요."

진위 논란은 활자에 묻은 먹 성분을 탄소 연대로 분석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습니다.

대상이 됐던 두 활자 모두 1200년대 이전에 제작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이후 증도가자는 일본과 미국 등지에서도 관련 학회가 열리는 등 후속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남권희(교수) : "유럽이나 미국 등 외국에서 이 활자를 소개 해 달라는 요구가 많습니다."

탄소연대 측정을 통해 고려시대 것으로 확실시되는 것만 현재 11개.

하지만, 문화재청은 3년 넘게 출처 문제를 이유로 뚜렷한 결론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 조형진(교수) : "진품이 구별되면, 그걸 가지고 고려시대 금속 활자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이런 부분을 연구해야 합니다."

문화재청은 국정감사에서까지 문제가 제기되자 내년부터 관련 예산을 편성해 종합적인 학술 조사를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하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앵커&리포트] 금속활자 ‘증도가자’ 여전히 논란…이유는?
    • 입력 2013-11-13 21:43:03
    • 수정2013-11-13 22:08:38
    뉴스 9
<앵커 멘트>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는 자랑스런 고려의 '직지'죠, 그런데 지난 2010년, 이 '직지'보다 최소 138년이나 앞서 제작됐다는 금속활자가 공개됐습니다.

고려시대 불교서적을 인쇄하는데 사용된 '증도가자'인데요, 만약 사실이라면 세계 인쇄술의 역사를 새로 써야 하는 대발견이었습니다만 3년이 지난 지금까지 이 '증도가자'는 그 가치를 제대로 인정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왜 그런지 이하경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1239년,고려 조정은 불교서적 '남명천화상송증도가'를 간행합니다.

이 책의 금속활자본을 찍는 데 사용된 홀자가 '증도가자'인데 지난 2010년 한 사립 미술관이 해당 활자라며 101점을 공개했습니다.

곧바로 학계에서는 뜨거운 찬반 논란이 벌어졌습니다.

이 활자의 출처가 분명하지 않다는 점과 문자의 부식 상태가 쟁점이 됐습니다.

<인터뷰> 김종춘(증도가자 소유자) : "이것이 일단 개성에서 아니면 나올 수가 없죠. 그러나, 그것이 언제 나왔는지는 우리가 알 수가 없구요."

진위 논란은 활자에 묻은 먹 성분을 탄소 연대로 분석하면서 새로운 국면을 맞았습니다.

대상이 됐던 두 활자 모두 1200년대 이전에 제작됐을 가능성이 높다는 결과가 나왔기 때문입니다.

이후 증도가자는 일본과 미국 등지에서도 관련 학회가 열리는 등 후속 연구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인터뷰> 남권희(교수) : "유럽이나 미국 등 외국에서 이 활자를 소개 해 달라는 요구가 많습니다."

탄소연대 측정을 통해 고려시대 것으로 확실시되는 것만 현재 11개.

하지만, 문화재청은 3년 넘게 출처 문제를 이유로 뚜렷한 결론을 내지 않고 있습니다.

<인터뷰> 조형진(교수) : "진품이 구별되면, 그걸 가지고 고려시대 금속 활자가 어떻게 만들어졌고, 이런 부분을 연구해야 합니다."

문화재청은 국정감사에서까지 문제가 제기되자 내년부터 관련 예산을 편성해 종합적인 학술 조사를 시작하겠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이하경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