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 이상 내려야 ‘진짜 할인’
입력 2013.12.03 (09:49)
수정 2013.12.03 (09: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연휴 맞이 바겐세일이라는 말이 상술이라는 점은 잘 알고 계실 겁니다.
그렇다면 할인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일 때 소비자가 진짜 저렴하게 제품을 구매하는 걸까요?
<리포트>
추수감사절 연휴를 맞은 미국에서 유통업체들이 앞다퉈 할인판매를 홍보합니다.
하지만, 할인한다고 해서 싸게 산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제조사가 의도하는 가격은 가격표에 적혀있는 것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령, 이 빨간 스웨터는 할인 전 가격이 50달러인데요.
제조사의 목표 가격은 이보다 30% 낮은 35달러입니다.
그래도 수익을 낸다는 의미죠.
<인터뷰> 히샤 프라바카르(유통업 자문단 연구책임자) : "이미 할인을 예정해 놓고 가격을 매기는 것이 마케팅 계획에 포함돼 있습니다."
마케팅 전문가들은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할인 비율이 30%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30%의 원칙에 맞춰서 가격표를 작성하게 돼죠.
결국, 이보다 더 많이 할인하는 제품을 구매해야 진짜 싸게 사는 거라는 의미입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연휴 맞이 바겐세일이라는 말이 상술이라는 점은 잘 알고 계실 겁니다.
그렇다면 할인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일 때 소비자가 진짜 저렴하게 제품을 구매하는 걸까요?
<리포트>
추수감사절 연휴를 맞은 미국에서 유통업체들이 앞다퉈 할인판매를 홍보합니다.
하지만, 할인한다고 해서 싸게 산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제조사가 의도하는 가격은 가격표에 적혀있는 것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령, 이 빨간 스웨터는 할인 전 가격이 50달러인데요.
제조사의 목표 가격은 이보다 30% 낮은 35달러입니다.
그래도 수익을 낸다는 의미죠.
<인터뷰> 히샤 프라바카르(유통업 자문단 연구책임자) : "이미 할인을 예정해 놓고 가격을 매기는 것이 마케팅 계획에 포함돼 있습니다."
마케팅 전문가들은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할인 비율이 30%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30%의 원칙에 맞춰서 가격표를 작성하게 돼죠.
결국, 이보다 더 많이 할인하는 제품을 구매해야 진짜 싸게 사는 거라는 의미입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0% 이상 내려야 ‘진짜 할인’
-
- 입력 2013-12-03 09:47:07
- 수정2013-12-03 09:57:29

<앵커 멘트>
연휴 맞이 바겐세일이라는 말이 상술이라는 점은 잘 알고 계실 겁니다.
그렇다면 할인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일 때 소비자가 진짜 저렴하게 제품을 구매하는 걸까요?
<리포트>
추수감사절 연휴를 맞은 미국에서 유통업체들이 앞다퉈 할인판매를 홍보합니다.
하지만, 할인한다고 해서 싸게 산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제조사가 의도하는 가격은 가격표에 적혀있는 것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령, 이 빨간 스웨터는 할인 전 가격이 50달러인데요.
제조사의 목표 가격은 이보다 30% 낮은 35달러입니다.
그래도 수익을 낸다는 의미죠.
<인터뷰> 히샤 프라바카르(유통업 자문단 연구책임자) : "이미 할인을 예정해 놓고 가격을 매기는 것이 마케팅 계획에 포함돼 있습니다."
마케팅 전문가들은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할인 비율이 30%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30%의 원칙에 맞춰서 가격표를 작성하게 돼죠.
결국, 이보다 더 많이 할인하는 제품을 구매해야 진짜 싸게 사는 거라는 의미입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연휴 맞이 바겐세일이라는 말이 상술이라는 점은 잘 알고 계실 겁니다.
그렇다면 할인하는 비율이 어느 정도일 때 소비자가 진짜 저렴하게 제품을 구매하는 걸까요?
<리포트>
추수감사절 연휴를 맞은 미국에서 유통업체들이 앞다퉈 할인판매를 홍보합니다.
하지만, 할인한다고 해서 싸게 산다고 생각하면 오산입니다.
제조사가 의도하는 가격은 가격표에 적혀있는 것과는 다르기 때문입니다.
가령, 이 빨간 스웨터는 할인 전 가격이 50달러인데요.
제조사의 목표 가격은 이보다 30% 낮은 35달러입니다.
그래도 수익을 낸다는 의미죠.
<인터뷰> 히샤 프라바카르(유통업 자문단 연구책임자) : "이미 할인을 예정해 놓고 가격을 매기는 것이 마케팅 계획에 포함돼 있습니다."
마케팅 전문가들은 소비자가 일반적으로 기대하는 할인 비율이 30%라고 분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30%의 원칙에 맞춰서 가격표를 작성하게 돼죠.
결국, 이보다 더 많이 할인하는 제품을 구매해야 진짜 싸게 사는 거라는 의미입니다.
KBS 월드뉴스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