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中 항공기, 통보없이 한국 방공식별구역 접근
입력 2013.12.03 (21:09)
수정 2013.12.03 (22: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Loading the player...
<앵커 멘트>
중국의 미확인 항공기 1대가 최근 우리방공식별구역에 접근해 왔던 것이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민감한 시점에 일어난 이례적인 일이어서 군 당국이 경위를 파악 중입니다.
김민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토요일 오전 11시쯤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
미확인 비행물체가 중국으로부터 제주도 부근 우리측 방공식별구역으로 접근중이라는 급보가 날아들었습니다.
합참은 급히 공군의 비상출격준비 상태를 점검한 뒤 양국 합참간 핫라인으로 확인을 요청했습니다.
중국측은 중국 국적이 맞지만, 군용기는 아니라고 답했습니다
이후 중국 항공기는 우리 방공식별구역 선까지 접근한 뒤 돌아갔고, 15분여 만에 상황은 종료됐습니다.
통상 민간항공기는 정해진 노선이 있고, 관제당국끼리 비행 계획을 미리 공유합니다.
하지만 이번엔 중국의 사전통보가 전혀 없었습니다.
<녹취> 김민석(국방부 대변인) : "조종사가 비행계획서를 서울 같으면 서울 항공청에 제출하게 되면 그것이 컴퓨터로 해서 민간항공기가 가는 공항으로 통보를 하게 됩니다."
중국이 선포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에도 지난 열흘 사이에만 미국과 일본,타이완 군용기가 모두 백 20여차례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타이완 국방부는 미일 군용기와 중국군용기의 거리가 2킬로미터까지 좁혀진 적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중국의 미확인 항공기 1대가 최근 우리방공식별구역에 접근해 왔던 것이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민감한 시점에 일어난 이례적인 일이어서 군 당국이 경위를 파악 중입니다.
김민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토요일 오전 11시쯤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
미확인 비행물체가 중국으로부터 제주도 부근 우리측 방공식별구역으로 접근중이라는 급보가 날아들었습니다.
합참은 급히 공군의 비상출격준비 상태를 점검한 뒤 양국 합참간 핫라인으로 확인을 요청했습니다.
중국측은 중국 국적이 맞지만, 군용기는 아니라고 답했습니다
이후 중국 항공기는 우리 방공식별구역 선까지 접근한 뒤 돌아갔고, 15분여 만에 상황은 종료됐습니다.
통상 민간항공기는 정해진 노선이 있고, 관제당국끼리 비행 계획을 미리 공유합니다.
하지만 이번엔 중국의 사전통보가 전혀 없었습니다.
<녹취> 김민석(국방부 대변인) : "조종사가 비행계획서를 서울 같으면 서울 항공청에 제출하게 되면 그것이 컴퓨터로 해서 민간항공기가 가는 공항으로 통보를 하게 됩니다."
중국이 선포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에도 지난 열흘 사이에만 미국과 일본,타이완 군용기가 모두 백 20여차례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타이완 국방부는 미일 군용기와 중국군용기의 거리가 2킬로미터까지 좁혀진 적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단독] 中 항공기, 통보없이 한국 방공식별구역 접근
-
- 입력 2013-12-03 21:10:32
- 수정2013-12-03 22:02:26

<앵커 멘트>
중국의 미확인 항공기 1대가 최근 우리방공식별구역에 접근해 왔던 것이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민감한 시점에 일어난 이례적인 일이어서 군 당국이 경위를 파악 중입니다.
김민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토요일 오전 11시쯤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
미확인 비행물체가 중국으로부터 제주도 부근 우리측 방공식별구역으로 접근중이라는 급보가 날아들었습니다.
합참은 급히 공군의 비상출격준비 상태를 점검한 뒤 양국 합참간 핫라인으로 확인을 요청했습니다.
중국측은 중국 국적이 맞지만, 군용기는 아니라고 답했습니다
이후 중국 항공기는 우리 방공식별구역 선까지 접근한 뒤 돌아갔고, 15분여 만에 상황은 종료됐습니다.
통상 민간항공기는 정해진 노선이 있고, 관제당국끼리 비행 계획을 미리 공유합니다.
하지만 이번엔 중국의 사전통보가 전혀 없었습니다.
<녹취> 김민석(국방부 대변인) : "조종사가 비행계획서를 서울 같으면 서울 항공청에 제출하게 되면 그것이 컴퓨터로 해서 민간항공기가 가는 공항으로 통보를 하게 됩니다."
중국이 선포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에도 지난 열흘 사이에만 미국과 일본,타이완 군용기가 모두 백 20여차례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타이완 국방부는 미일 군용기와 중국군용기의 거리가 2킬로미터까지 좁혀진 적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중국의 미확인 항공기 1대가 최근 우리방공식별구역에 접근해 왔던 것이 KBS 취재 결과 확인됐습니다.
민감한 시점에 일어난 이례적인 일이어서 군 당국이 경위를 파악 중입니다.
김민철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지난 토요일 오전 11시쯤 합동참모본부 지휘통제실.
미확인 비행물체가 중국으로부터 제주도 부근 우리측 방공식별구역으로 접근중이라는 급보가 날아들었습니다.
합참은 급히 공군의 비상출격준비 상태를 점검한 뒤 양국 합참간 핫라인으로 확인을 요청했습니다.
중국측은 중국 국적이 맞지만, 군용기는 아니라고 답했습니다
이후 중국 항공기는 우리 방공식별구역 선까지 접근한 뒤 돌아갔고, 15분여 만에 상황은 종료됐습니다.
통상 민간항공기는 정해진 노선이 있고, 관제당국끼리 비행 계획을 미리 공유합니다.
하지만 이번엔 중국의 사전통보가 전혀 없었습니다.
<녹취> 김민석(국방부 대변인) : "조종사가 비행계획서를 서울 같으면 서울 항공청에 제출하게 되면 그것이 컴퓨터로 해서 민간항공기가 가는 공항으로 통보를 하게 됩니다."
중국이 선포한 동중국해 방공식별구역에도 지난 열흘 사이에만 미국과 일본,타이완 군용기가 모두 백 20여차례 진입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타이완 국방부는 미일 군용기와 중국군용기의 거리가 2킬로미터까지 좁혀진 적도 있다고 밝혔습니다.
KBS 뉴스 김민철입니다.
-
-
김민철 기자 kmc@kbs.co.kr
김민철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