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천인 분 팥죽’…안녕 비는 동지

입력 2013.12.21 (21:24) 수정 2013.12.21 (22:18)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내일이 일년 중 밤이 가장 길다는 '동지'인데요.

3천인분의 팥죽을 끓여서 함께 나누는 등 동짓날의 의미를 되새기는 전통행사들이 곳곳에서 열렸습니다.

양성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영하의 추위를 녹이듯 붉은 팥죽에서 모락모락 김이 솟아오릅니다.

팥만 150킬로그램, 12시간을 꼬박 끓인 3천인 분 팥죽입니다.

잔병을 없애고 액땜도 해 준다는 동지 팥죽을 이웃끼리, 가족끼리 함께 나눕니다.

<인터뷰> 류경수(서울 가산동): "초등학교 때까지는 주로 먹었는데 커가면서, 아이들도 먹을 기회도 없고 어른들도 똑같이 먹을 기회가 없는데"

한땀 한땀 정성스런 바느질.

팥이 가득 든 주머니가 한 시간 만에 완성됩니다.

악귀를 쫓아내기 위해 집안 구석구석 팥을 뿌렸던 우리의 전통문화를 되살린 겁니다.

<인터뷰> 니나 첸(중국인 관광객): "중국이나 미국에 있을 때는 한번도 경험 해보지 못한 건데 바느질이 무척 재밌습니다."

추운 겨울을 무사히 나기 바라는 굿이 서울 강남의 한복판에서 벌어집니다.

동짓날 황해도 지역에서 펼쳐졌던 철무리굿입니다.

<인터뷰> 박현희(경기도 고양): "내년에 저희 가족도 모두 자기 하는 일 즐겁게 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굿을 보러 왔습니다."

시대가 바뀌어도 모두의 안녕을 바라는 동짓날의 의미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3천인 분 팥죽’…안녕 비는 동지
    • 입력 2013-12-21 21:25:58
    • 수정2013-12-21 22:18:42
    뉴스 9
<앵커 멘트>

내일이 일년 중 밤이 가장 길다는 '동지'인데요.

3천인분의 팥죽을 끓여서 함께 나누는 등 동짓날의 의미를 되새기는 전통행사들이 곳곳에서 열렸습니다.

양성모 기자입니다.

<리포트>

영하의 추위를 녹이듯 붉은 팥죽에서 모락모락 김이 솟아오릅니다.

팥만 150킬로그램, 12시간을 꼬박 끓인 3천인 분 팥죽입니다.

잔병을 없애고 액땜도 해 준다는 동지 팥죽을 이웃끼리, 가족끼리 함께 나눕니다.

<인터뷰> 류경수(서울 가산동): "초등학교 때까지는 주로 먹었는데 커가면서, 아이들도 먹을 기회도 없고 어른들도 똑같이 먹을 기회가 없는데"

한땀 한땀 정성스런 바느질.

팥이 가득 든 주머니가 한 시간 만에 완성됩니다.

악귀를 쫓아내기 위해 집안 구석구석 팥을 뿌렸던 우리의 전통문화를 되살린 겁니다.

<인터뷰> 니나 첸(중국인 관광객): "중국이나 미국에 있을 때는 한번도 경험 해보지 못한 건데 바느질이 무척 재밌습니다."

추운 겨울을 무사히 나기 바라는 굿이 서울 강남의 한복판에서 벌어집니다.

동짓날 황해도 지역에서 펼쳐졌던 철무리굿입니다.

<인터뷰> 박현희(경기도 고양): "내년에 저희 가족도 모두 자기 하는 일 즐겁게 했으면 하는 바람을 가지고 굿을 보러 왔습니다."

시대가 바뀌어도 모두의 안녕을 바라는 동짓날의 의미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KBS 뉴스 양성모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