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정권 사면 남발…측근챙기기 비판 받아
입력 2013.12.24 (00:09)
수정 2013.12.24 (08:2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명박 정부와 노무현 정부 등 역대 정부들은 적게는 7차례에서 많게는 9차례에 걸쳐 '특별사면'을 실시했습니다.
사면 때마다 사회갈등 치유와 국민통합을 내세웠지만 측근 챙기기 등으로 사면권 남용이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멘토로 불리던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인허가 비리로 징역 2년 6개월형을 받았지만 특별사면으로 구속 10개월만에 석방됐습니다.
<인터뷰> 박정하(전 청와대 대변인) : " 민간위원이 다수 포함된 사면심사위원회를 통하는 등 진일보한 절차를 거쳤습니다."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과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등 최측근 인사들도 임기말 특사에 포함됐습니다.
노무현 정부도 마찬가지.
오랜 후원자였던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과 최측근이었던 안희정 충남도지사, 최도술 전 대통령총무비서관 등이 역시 대통령의 은전을 받았습니다.
김영삼 정부 때는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이 임기말에 특별사면됐고, 노태우 정권 때도 전경환 씨와 처남 이창석 씨 등 5공 비리 관련자가 대거 명단에 올랐습니다.
역대 정권의 특별사면이 측근 챙기기나 정치적 부담을 덜고 가기 위한 수단으로 비판받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고문현(숭실대 법대 교수) : "자기와 가까운 정치인을 사면해주는 측근봐주기는 지양되어야 합니다."
이런 비판을 감안한 듯 내년 설에 이뤄질 특사는 예전의 관행에서 벗어나 생계형 민생사범에 국한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기회에 측근 인사 등에 대한 사면을 제한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기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이명박 정부와 노무현 정부 등 역대 정부들은 적게는 7차례에서 많게는 9차례에 걸쳐 '특별사면'을 실시했습니다.
사면 때마다 사회갈등 치유와 국민통합을 내세웠지만 측근 챙기기 등으로 사면권 남용이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멘토로 불리던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인허가 비리로 징역 2년 6개월형을 받았지만 특별사면으로 구속 10개월만에 석방됐습니다.
<인터뷰> 박정하(전 청와대 대변인) : " 민간위원이 다수 포함된 사면심사위원회를 통하는 등 진일보한 절차를 거쳤습니다."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과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등 최측근 인사들도 임기말 특사에 포함됐습니다.
노무현 정부도 마찬가지.
오랜 후원자였던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과 최측근이었던 안희정 충남도지사, 최도술 전 대통령총무비서관 등이 역시 대통령의 은전을 받았습니다.
김영삼 정부 때는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이 임기말에 특별사면됐고, 노태우 정권 때도 전경환 씨와 처남 이창석 씨 등 5공 비리 관련자가 대거 명단에 올랐습니다.
역대 정권의 특별사면이 측근 챙기기나 정치적 부담을 덜고 가기 위한 수단으로 비판받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고문현(숭실대 법대 교수) : "자기와 가까운 정치인을 사면해주는 측근봐주기는 지양되어야 합니다."
이런 비판을 감안한 듯 내년 설에 이뤄질 특사는 예전의 관행에서 벗어나 생계형 민생사범에 국한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기회에 측근 인사 등에 대한 사면을 제한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기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역대 정권 사면 남발…측근챙기기 비판 받아
-
- 입력 2013-12-24 08:02:11
- 수정2013-12-24 08:23:16
<앵커 멘트>
이명박 정부와 노무현 정부 등 역대 정부들은 적게는 7차례에서 많게는 9차례에 걸쳐 '특별사면'을 실시했습니다.
사면 때마다 사회갈등 치유와 국민통합을 내세웠지만 측근 챙기기 등으로 사면권 남용이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멘토로 불리던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인허가 비리로 징역 2년 6개월형을 받았지만 특별사면으로 구속 10개월만에 석방됐습니다.
<인터뷰> 박정하(전 청와대 대변인) : " 민간위원이 다수 포함된 사면심사위원회를 통하는 등 진일보한 절차를 거쳤습니다."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과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등 최측근 인사들도 임기말 특사에 포함됐습니다.
노무현 정부도 마찬가지.
오랜 후원자였던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과 최측근이었던 안희정 충남도지사, 최도술 전 대통령총무비서관 등이 역시 대통령의 은전을 받았습니다.
김영삼 정부 때는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이 임기말에 특별사면됐고, 노태우 정권 때도 전경환 씨와 처남 이창석 씨 등 5공 비리 관련자가 대거 명단에 올랐습니다.
역대 정권의 특별사면이 측근 챙기기나 정치적 부담을 덜고 가기 위한 수단으로 비판받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고문현(숭실대 법대 교수) : "자기와 가까운 정치인을 사면해주는 측근봐주기는 지양되어야 합니다."
이런 비판을 감안한 듯 내년 설에 이뤄질 특사는 예전의 관행에서 벗어나 생계형 민생사범에 국한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기회에 측근 인사 등에 대한 사면을 제한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기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이명박 정부와 노무현 정부 등 역대 정부들은 적게는 7차례에서 많게는 9차례에 걸쳐 '특별사면'을 실시했습니다.
사면 때마다 사회갈등 치유와 국민통합을 내세웠지만 측근 챙기기 등으로 사면권 남용이라는 비판도 만만치 않았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이명박 전 대통령의 정치적 멘토로 불리던 최시중 전 방송통신위원장.
인허가 비리로 징역 2년 6개월형을 받았지만 특별사면으로 구속 10개월만에 석방됐습니다.
<인터뷰> 박정하(전 청와대 대변인) : " 민간위원이 다수 포함된 사면심사위원회를 통하는 등 진일보한 절차를 거쳤습니다."
천신일 세중나모 회장과 김효재 전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등 최측근 인사들도 임기말 특사에 포함됐습니다.
노무현 정부도 마찬가지.
오랜 후원자였던 강금원 창신섬유 회장과 최측근이었던 안희정 충남도지사, 최도술 전 대통령총무비서관 등이 역시 대통령의 은전을 받았습니다.
김영삼 정부 때는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이 임기말에 특별사면됐고, 노태우 정권 때도 전경환 씨와 처남 이창석 씨 등 5공 비리 관련자가 대거 명단에 올랐습니다.
역대 정권의 특별사면이 측근 챙기기나 정치적 부담을 덜고 가기 위한 수단으로 비판받는 이유입니다.
<인터뷰> 고문현(숭실대 법대 교수) : "자기와 가까운 정치인을 사면해주는 측근봐주기는 지양되어야 합니다."
이런 비판을 감안한 듯 내년 설에 이뤄질 특사는 예전의 관행에서 벗어나 생계형 민생사범에 국한될 것으로 보입니다.
이번 기회에 측근 인사 등에 대한 사면을 제한하는 제도적 보완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기 시작했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
-
홍혜림 기자 newshong@kbs.co.kr
홍혜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