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행 중 심장질환 사망 급증…제세동기 설치
입력 2013.12.24 (15:49)
수정 2013.12.25 (08:3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추운 겨울철에도 산을 찾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산행을 하다 심장질환으로 숨지는 사람이 해마다 늘고 있다고 합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행 중 심장질환으로 숨지는 사람이 해마다 늘어남에 따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심장 돌연사 예방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2011년 7명에서 지난해 9명, 올해는 10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공원 내 전체 사망사고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에 따라 응급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리산과 설악산 등의 대피소와 주요 탐방지원센터 등 모두 73곳에 자동심장제세동기를 비치했습니다.
또 전직원의 75%에 해당하는 천400명에게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지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심장질환으로 심장이 멈췄을 때 4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이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심폐소생 실시율은 6.5%로, 스웨덴 55%, 미국 31%, 일본 27%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특히 산행 중 발생하는 심장정지 등은 시간이 지체되면 회생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행 중 누구라도 응급처치 요령과 심폐소생술을 배워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폐소생술은 국립공원등산학교와 지자체, 보건소, 소방서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몸 상태에 따라 여유를 갖고 산행을 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추운 겨울철에도 산을 찾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산행을 하다 심장질환으로 숨지는 사람이 해마다 늘고 있다고 합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행 중 심장질환으로 숨지는 사람이 해마다 늘어남에 따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심장 돌연사 예방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2011년 7명에서 지난해 9명, 올해는 10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공원 내 전체 사망사고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에 따라 응급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리산과 설악산 등의 대피소와 주요 탐방지원센터 등 모두 73곳에 자동심장제세동기를 비치했습니다.
또 전직원의 75%에 해당하는 천400명에게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지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심장질환으로 심장이 멈췄을 때 4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이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심폐소생 실시율은 6.5%로, 스웨덴 55%, 미국 31%, 일본 27%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특히 산행 중 발생하는 심장정지 등은 시간이 지체되면 회생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행 중 누구라도 응급처치 요령과 심폐소생술을 배워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폐소생술은 국립공원등산학교와 지자체, 보건소, 소방서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몸 상태에 따라 여유를 갖고 산행을 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산행 중 심장질환 사망 급증…제세동기 설치
-
- 입력 2013-12-24 15:52:49
- 수정2013-12-25 08:30:46
<앵커 멘트>
추운 겨울철에도 산을 찾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산행을 하다 심장질환으로 숨지는 사람이 해마다 늘고 있다고 합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행 중 심장질환으로 숨지는 사람이 해마다 늘어남에 따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심장 돌연사 예방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2011년 7명에서 지난해 9명, 올해는 10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공원 내 전체 사망사고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에 따라 응급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리산과 설악산 등의 대피소와 주요 탐방지원센터 등 모두 73곳에 자동심장제세동기를 비치했습니다.
또 전직원의 75%에 해당하는 천400명에게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지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심장질환으로 심장이 멈췄을 때 4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이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심폐소생 실시율은 6.5%로, 스웨덴 55%, 미국 31%, 일본 27%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특히 산행 중 발생하는 심장정지 등은 시간이 지체되면 회생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행 중 누구라도 응급처치 요령과 심폐소생술을 배워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폐소생술은 국립공원등산학교와 지자체, 보건소, 소방서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몸 상태에 따라 여유를 갖고 산행을 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추운 겨울철에도 산을 찾는 분들 많으시죠.
그런데 주의하셔야겠습니다.
산행을 하다 심장질환으로 숨지는 사람이 해마다 늘고 있다고 합니다.
남승우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산행 중 심장질환으로 숨지는 사람이 해마다 늘어남에 따라, 국립공원관리공단이 심장 돌연사 예방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나섰습니다.
심장질환으로 인한 사망사고는 2011년 7명에서 지난해 9명, 올해는 10명으로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공원 내 전체 사망사고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에 따라 응급조치에 사용할 수 있도록 지리산과 설악산 등의 대피소와 주요 탐방지원센터 등 모두 73곳에 자동심장제세동기를 비치했습니다.
또 전직원의 75%에 해당하는 천400명에게 심폐소생술 등 응급처지 교육을 실시했습니다.
심장질환으로 심장이 멈췄을 때 4분 안에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이 매우 높습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심폐소생 실시율은 6.5%로, 스웨덴 55%, 미국 31%, 일본 27%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입니다.
특히 산행 중 발생하는 심장정지 등은 시간이 지체되면 회생을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일행 중 누구라도 응급처치 요령과 심폐소생술을 배워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심폐소생술은 국립공원등산학교와 지자체, 보건소, 소방서에서 배울 수 있습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심장질환이 있는 사람은 몸 상태에 따라 여유를 갖고 산행을 해 줄 것을 당부했습니다.
KBS 뉴스 남승우입니다.
-
-
남승우 기자 futurist@kbs.co.kr
남승우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