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의 시장] “금의 시대는 끝났다”…위기의 금
입력 2013.12.24 (15:51)
수정 2013.12.24 (16: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오늘의 시장 오늘 우리 증시 살펴보고 알기 쉬운 금융 상식도 공부합니다.
대신증권 김승현 실장 나오셨습니다.
<질문> 오늘 우리 증시 어땠나요?
<답변> 코스피 2,001.59(↑4.70) 코스닥 491.08(↑1.45) 환율 1,059.30(↓1.40) 특징주....
<질문> 금이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왔어요?
그럼 이제 가격이 떨어진다는 뜻?
<답변> 대표적인 안전 자산인 금이 안전 자산으로써의 매력이 약해졌다는 평가
미국의 양적완화 후퇴에 따른 달러 강세.
달러 가격이 오르면 금 가격이 하락하고, 금 가격이 오르면 달러 값이 떨어지는 관계
또 하나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세계 물가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금 가격이 상승하기 어렵다는 평가
금과 미국 달러.
모두 안전 자산으로 분류
달러는 금융 위기나 낮은 성장에 대한 방어를 위한 안전 자산 성격
금은 높은 물가 상승률을 피하기 위한 안전 자산 성격으로 차이
성장률이 별로 높지 않고, 낮은 물가 유지되면 금에 별로, 달러는 긍정적이란 평가가 가능
<질문> 올 초에 골드만삭드가 금을 매도추천하고 공매도했다가 중국인들에게 혼이 났다는데?
<답변> 골드만삭스의 금 공매도로 금 가격 하락하자, 중국인들 사재기 나서면서 금 가격 상승
골드만삭스 금 공매도 중단 등.......
<질문> 금 투자법 어떤 것들이 있나?
현물 금ETF
<답변> 가장 보편적이고 쉬운 것이 금 소매점을 통해 현물 금을 사는 것
실수요자, 장식품으로 사는 것 등이 이런 식으로 거래.
물론 되팔수도 있지만 살 때와 팔 때 가격 차이가 큰 것이 단점
민간 금 거래소들도 많이 생김.
비교적 매수매도 가격차이가 작은 편.
3% 정도의 매수 매도호가 차이가 있음.
시세가 변해서 그 폭도 항상 같은 것은 아님
실물거래의 단점.
국제시세와의 괴리, 그리고 내가 판 금과 내가 산 금의 순도가 다르다
표준화된 거래로는 금 ETF
금을 기초 자산으로하는 상장지수펀드.
개별 종목처럼 샀다 팔았다 할 수 있는 것.
대신 실물 금을 받을 수는 없음
실물 금을 원하면 이것을 팔고, 금 거래소 등을 이용해 실물을 사는 방식
물론 실제 이 펀드를 제공하는 회사는 실물 금을 보유하고 있음
한국 거래소에도 몇 개의 금 ETF가 상장.
Kodex 골드선물 등
더 다양한 상품이 거래되는 것은 미국 거래소.
금 ETF뿐만 아니라 인버스, 레버리지 등 다양한 상품이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
<질문> 골드뱅킹은 어떤 방식?
<답변> 은행을 통한 거래로 대표적인 것이 금 예금
현금을 예금하면 이것을 달러로 환전하고, 그 달러로 금을 매입하는 형태
인출할 때도 금을 인출할 수 있는 상품도 있고, 없는 것도 있음.
현금으로 인출하면 금 매도해 달러를 받고, 다시 원화로 환전하는 형태
거래 비용이 더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
오늘의 시장 오늘 우리 증시 살펴보고 알기 쉬운 금융 상식도 공부합니다.
대신증권 김승현 실장 나오셨습니다.
<질문> 오늘 우리 증시 어땠나요?
<답변> 코스피 2,001.59(↑4.70) 코스닥 491.08(↑1.45) 환율 1,059.30(↓1.40) 특징주....
<질문> 금이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왔어요?
그럼 이제 가격이 떨어진다는 뜻?
<답변> 대표적인 안전 자산인 금이 안전 자산으로써의 매력이 약해졌다는 평가
미국의 양적완화 후퇴에 따른 달러 강세.
달러 가격이 오르면 금 가격이 하락하고, 금 가격이 오르면 달러 값이 떨어지는 관계
또 하나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세계 물가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금 가격이 상승하기 어렵다는 평가
금과 미국 달러.
모두 안전 자산으로 분류
달러는 금융 위기나 낮은 성장에 대한 방어를 위한 안전 자산 성격
금은 높은 물가 상승률을 피하기 위한 안전 자산 성격으로 차이
성장률이 별로 높지 않고, 낮은 물가 유지되면 금에 별로, 달러는 긍정적이란 평가가 가능
<질문> 올 초에 골드만삭드가 금을 매도추천하고 공매도했다가 중국인들에게 혼이 났다는데?
<답변> 골드만삭스의 금 공매도로 금 가격 하락하자, 중국인들 사재기 나서면서 금 가격 상승
골드만삭스 금 공매도 중단 등.......
<질문> 금 투자법 어떤 것들이 있나?
현물 금ETF
<답변> 가장 보편적이고 쉬운 것이 금 소매점을 통해 현물 금을 사는 것
실수요자, 장식품으로 사는 것 등이 이런 식으로 거래.
물론 되팔수도 있지만 살 때와 팔 때 가격 차이가 큰 것이 단점
민간 금 거래소들도 많이 생김.
비교적 매수매도 가격차이가 작은 편.
3% 정도의 매수 매도호가 차이가 있음.
시세가 변해서 그 폭도 항상 같은 것은 아님
실물거래의 단점.
국제시세와의 괴리, 그리고 내가 판 금과 내가 산 금의 순도가 다르다
표준화된 거래로는 금 ETF
금을 기초 자산으로하는 상장지수펀드.
개별 종목처럼 샀다 팔았다 할 수 있는 것.
대신 실물 금을 받을 수는 없음
실물 금을 원하면 이것을 팔고, 금 거래소 등을 이용해 실물을 사는 방식
물론 실제 이 펀드를 제공하는 회사는 실물 금을 보유하고 있음
한국 거래소에도 몇 개의 금 ETF가 상장.
Kodex 골드선물 등
더 다양한 상품이 거래되는 것은 미국 거래소.
금 ETF뿐만 아니라 인버스, 레버리지 등 다양한 상품이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
<질문> 골드뱅킹은 어떤 방식?
<답변> 은행을 통한 거래로 대표적인 것이 금 예금
현금을 예금하면 이것을 달러로 환전하고, 그 달러로 금을 매입하는 형태
인출할 때도 금을 인출할 수 있는 상품도 있고, 없는 것도 있음.
현금으로 인출하면 금 매도해 달러를 받고, 다시 원화로 환전하는 형태
거래 비용이 더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오늘의 시장] “금의 시대는 끝났다”…위기의 금
-
- 입력 2013-12-24 15:56:35
- 수정2013-12-24 16:02:28
![](/data/news/2013/12/24/2777437_100.jpg)
<앵커 멘트>
오늘의 시장 오늘 우리 증시 살펴보고 알기 쉬운 금융 상식도 공부합니다.
대신증권 김승현 실장 나오셨습니다.
<질문> 오늘 우리 증시 어땠나요?
<답변> 코스피 2,001.59(↑4.70) 코스닥 491.08(↑1.45) 환율 1,059.30(↓1.40) 특징주....
<질문> 금이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왔어요?
그럼 이제 가격이 떨어진다는 뜻?
<답변> 대표적인 안전 자산인 금이 안전 자산으로써의 매력이 약해졌다는 평가
미국의 양적완화 후퇴에 따른 달러 강세.
달러 가격이 오르면 금 가격이 하락하고, 금 가격이 오르면 달러 값이 떨어지는 관계
또 하나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세계 물가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금 가격이 상승하기 어렵다는 평가
금과 미국 달러.
모두 안전 자산으로 분류
달러는 금융 위기나 낮은 성장에 대한 방어를 위한 안전 자산 성격
금은 높은 물가 상승률을 피하기 위한 안전 자산 성격으로 차이
성장률이 별로 높지 않고, 낮은 물가 유지되면 금에 별로, 달러는 긍정적이란 평가가 가능
<질문> 올 초에 골드만삭드가 금을 매도추천하고 공매도했다가 중국인들에게 혼이 났다는데?
<답변> 골드만삭스의 금 공매도로 금 가격 하락하자, 중국인들 사재기 나서면서 금 가격 상승
골드만삭스 금 공매도 중단 등.......
<질문> 금 투자법 어떤 것들이 있나?
현물 금ETF
<답변> 가장 보편적이고 쉬운 것이 금 소매점을 통해 현물 금을 사는 것
실수요자, 장식품으로 사는 것 등이 이런 식으로 거래.
물론 되팔수도 있지만 살 때와 팔 때 가격 차이가 큰 것이 단점
민간 금 거래소들도 많이 생김.
비교적 매수매도 가격차이가 작은 편.
3% 정도의 매수 매도호가 차이가 있음.
시세가 변해서 그 폭도 항상 같은 것은 아님
실물거래의 단점.
국제시세와의 괴리, 그리고 내가 판 금과 내가 산 금의 순도가 다르다
표준화된 거래로는 금 ETF
금을 기초 자산으로하는 상장지수펀드.
개별 종목처럼 샀다 팔았다 할 수 있는 것.
대신 실물 금을 받을 수는 없음
실물 금을 원하면 이것을 팔고, 금 거래소 등을 이용해 실물을 사는 방식
물론 실제 이 펀드를 제공하는 회사는 실물 금을 보유하고 있음
한국 거래소에도 몇 개의 금 ETF가 상장.
Kodex 골드선물 등
더 다양한 상품이 거래되는 것은 미국 거래소.
금 ETF뿐만 아니라 인버스, 레버리지 등 다양한 상품이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
<질문> 골드뱅킹은 어떤 방식?
<답변> 은행을 통한 거래로 대표적인 것이 금 예금
현금을 예금하면 이것을 달러로 환전하고, 그 달러로 금을 매입하는 형태
인출할 때도 금을 인출할 수 있는 상품도 있고, 없는 것도 있음.
현금으로 인출하면 금 매도해 달러를 받고, 다시 원화로 환전하는 형태
거래 비용이 더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
오늘의 시장 오늘 우리 증시 살펴보고 알기 쉬운 금융 상식도 공부합니다.
대신증권 김승현 실장 나오셨습니다.
<질문> 오늘 우리 증시 어땠나요?
<답변> 코스피 2,001.59(↑4.70) 코스닥 491.08(↑1.45) 환율 1,059.30(↓1.40) 특징주....
<질문> 금이 더 이상 안전자산이 아니라는 평가가 나왔어요?
그럼 이제 가격이 떨어진다는 뜻?
<답변> 대표적인 안전 자산인 금이 안전 자산으로써의 매력이 약해졌다는 평가
미국의 양적완화 후퇴에 따른 달러 강세.
달러 가격이 오르면 금 가격이 하락하고, 금 가격이 오르면 달러 값이 떨어지는 관계
또 하나는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지만 세계 물가가 낮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어서 금 가격이 상승하기 어렵다는 평가
금과 미국 달러.
모두 안전 자산으로 분류
달러는 금융 위기나 낮은 성장에 대한 방어를 위한 안전 자산 성격
금은 높은 물가 상승률을 피하기 위한 안전 자산 성격으로 차이
성장률이 별로 높지 않고, 낮은 물가 유지되면 금에 별로, 달러는 긍정적이란 평가가 가능
<질문> 올 초에 골드만삭드가 금을 매도추천하고 공매도했다가 중국인들에게 혼이 났다는데?
<답변> 골드만삭스의 금 공매도로 금 가격 하락하자, 중국인들 사재기 나서면서 금 가격 상승
골드만삭스 금 공매도 중단 등.......
<질문> 금 투자법 어떤 것들이 있나?
현물 금ETF
<답변> 가장 보편적이고 쉬운 것이 금 소매점을 통해 현물 금을 사는 것
실수요자, 장식품으로 사는 것 등이 이런 식으로 거래.
물론 되팔수도 있지만 살 때와 팔 때 가격 차이가 큰 것이 단점
민간 금 거래소들도 많이 생김.
비교적 매수매도 가격차이가 작은 편.
3% 정도의 매수 매도호가 차이가 있음.
시세가 변해서 그 폭도 항상 같은 것은 아님
실물거래의 단점.
국제시세와의 괴리, 그리고 내가 판 금과 내가 산 금의 순도가 다르다
표준화된 거래로는 금 ETF
금을 기초 자산으로하는 상장지수펀드.
개별 종목처럼 샀다 팔았다 할 수 있는 것.
대신 실물 금을 받을 수는 없음
실물 금을 원하면 이것을 팔고, 금 거래소 등을 이용해 실물을 사는 방식
물론 실제 이 펀드를 제공하는 회사는 실물 금을 보유하고 있음
한국 거래소에도 몇 개의 금 ETF가 상장.
Kodex 골드선물 등
더 다양한 상품이 거래되는 것은 미국 거래소.
금 ETF뿐만 아니라 인버스, 레버리지 등 다양한 상품이 존재한다는 것이 특징
<질문> 골드뱅킹은 어떤 방식?
<답변> 은행을 통한 거래로 대표적인 것이 금 예금
현금을 예금하면 이것을 달러로 환전하고, 그 달러로 금을 매입하는 형태
인출할 때도 금을 인출할 수 있는 상품도 있고, 없는 것도 있음.
현금으로 인출하면 금 매도해 달러를 받고, 다시 원화로 환전하는 형태
거래 비용이 더 발생하는 것은 불가피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