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체온증 등 한랭질환, 집안도 위험
입력 2014.01.12 (07:13)
수정 2014.01.12 (22: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며칠째 강한 한파가 몰아치고 있는데요,
강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 한랭질환자가 백 명 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이런 한랭질환이 의외로 집에서 걸리는 경우도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가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67살 김모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옷을 겹겹이 껴입고, 손에는 장갑을 낀 채 이미 백골이..."
숨진 지 5년 만에 발견된 김모 할머니.
발견된 장소는 다름 아닌 집안이었습니다.
이번 추위처럼 기온 변화가 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으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113명, 이 가운데 사망자도 10명에 이릅니다.
눈 여겨 볼 점은 한랭질환자의 발생장소, 의외로 길거리에 이어 집이 가장 많습니다.
<인터뷰> 쪽방촌 : "난방이 안돼서 전기장판을 깔고 그래도 추워서 옷도 다 입고 자고 그래요"
환자의 60%는 5~60대, 하루 평균 최저기온이 영하였던 12월 11일부터 16일 사이에 집중됐습니다.
난방비를 아끼려고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정소원(교수/가정의학과) : "노약자는 열을 잘 만들어내지 못해서 추위에 취약하며, 어린이는 체표면적이 넓어서 열손실이 더 큽니다. 35도 아래로 체온 떨어지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인의 적정 실내온도는 20도 안팎,
노약자와 어린이는 25도 안팎에 습도 50%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저소득층 노인과 심혈관질환자는 한파에 취약한 만큼, 주변 이웃과 복지 당국이 한번 더 챙겨봐야 불의의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림입니다.
며칠째 강한 한파가 몰아치고 있는데요,
강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 한랭질환자가 백 명 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이런 한랭질환이 의외로 집에서 걸리는 경우도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가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67살 김모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옷을 겹겹이 껴입고, 손에는 장갑을 낀 채 이미 백골이..."
숨진 지 5년 만에 발견된 김모 할머니.
발견된 장소는 다름 아닌 집안이었습니다.
이번 추위처럼 기온 변화가 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으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113명, 이 가운데 사망자도 10명에 이릅니다.
눈 여겨 볼 점은 한랭질환자의 발생장소, 의외로 길거리에 이어 집이 가장 많습니다.
<인터뷰> 쪽방촌 : "난방이 안돼서 전기장판을 깔고 그래도 추워서 옷도 다 입고 자고 그래요"
환자의 60%는 5~60대, 하루 평균 최저기온이 영하였던 12월 11일부터 16일 사이에 집중됐습니다.
난방비를 아끼려고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정소원(교수/가정의학과) : "노약자는 열을 잘 만들어내지 못해서 추위에 취약하며, 어린이는 체표면적이 넓어서 열손실이 더 큽니다. 35도 아래로 체온 떨어지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인의 적정 실내온도는 20도 안팎,
노약자와 어린이는 25도 안팎에 습도 50%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저소득층 노인과 심혈관질환자는 한파에 취약한 만큼, 주변 이웃과 복지 당국이 한번 더 챙겨봐야 불의의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저체온증 등 한랭질환, 집안도 위험
-
- 입력 2014-01-12 07:36:34
- 수정2014-01-12 22:12:46

<앵커 멘트>
며칠째 강한 한파가 몰아치고 있는데요,
강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 한랭질환자가 백 명 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이런 한랭질환이 의외로 집에서 걸리는 경우도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가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67살 김모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옷을 겹겹이 껴입고, 손에는 장갑을 낀 채 이미 백골이..."
숨진 지 5년 만에 발견된 김모 할머니.
발견된 장소는 다름 아닌 집안이었습니다.
이번 추위처럼 기온 변화가 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으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113명, 이 가운데 사망자도 10명에 이릅니다.
눈 여겨 볼 점은 한랭질환자의 발생장소, 의외로 길거리에 이어 집이 가장 많습니다.
<인터뷰> 쪽방촌 : "난방이 안돼서 전기장판을 깔고 그래도 추워서 옷도 다 입고 자고 그래요"
환자의 60%는 5~60대, 하루 평균 최저기온이 영하였던 12월 11일부터 16일 사이에 집중됐습니다.
난방비를 아끼려고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정소원(교수/가정의학과) : "노약자는 열을 잘 만들어내지 못해서 추위에 취약하며, 어린이는 체표면적이 넓어서 열손실이 더 큽니다. 35도 아래로 체온 떨어지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인의 적정 실내온도는 20도 안팎,
노약자와 어린이는 25도 안팎에 습도 50%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저소득층 노인과 심혈관질환자는 한파에 취약한 만큼, 주변 이웃과 복지 당국이 한번 더 챙겨봐야 불의의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림입니다.
며칠째 강한 한파가 몰아치고 있는데요,
강추위가 기승을 부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 한랭질환자가 백 명 넘게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그런데 이런 한랭질환이 의외로 집에서 걸리는 경우도 많아 각별한 주의가 필요합니다.
김가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67살 김모 씨가 숨진 채 발견됐습니다. 두꺼운 옷을 겹겹이 껴입고, 손에는 장갑을 낀 채 이미 백골이..."
숨진 지 5년 만에 발견된 김모 할머니.
발견된 장소는 다름 아닌 집안이었습니다.
이번 추위처럼 기온 변화가 컸던 지난달 저체온증과 동상 등으로 신고된 한랭질환자는 113명, 이 가운데 사망자도 10명에 이릅니다.
눈 여겨 볼 점은 한랭질환자의 발생장소, 의외로 길거리에 이어 집이 가장 많습니다.
<인터뷰> 쪽방촌 : "난방이 안돼서 전기장판을 깔고 그래도 추워서 옷도 다 입고 자고 그래요"
환자의 60%는 5~60대, 하루 평균 최저기온이 영하였던 12월 11일부터 16일 사이에 집중됐습니다.
난방비를 아끼려고 적정 실내온도를 유지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인터뷰> 정소원(교수/가정의학과) : "노약자는 열을 잘 만들어내지 못해서 추위에 취약하며, 어린이는 체표면적이 넓어서 열손실이 더 큽니다. 35도 아래로 체온 떨어지면 생명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인의 적정 실내온도는 20도 안팎,
노약자와 어린이는 25도 안팎에 습도 50%를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혼자 사는 저소득층 노인과 심혈관질환자는 한파에 취약한 만큼, 주변 이웃과 복지 당국이 한번 더 챙겨봐야 불의의 사고를 막을 수 있습니다.
KBS 뉴스 김가림입니다.
-
-
김가림 기자 garima@kbs.co.kr
김가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