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포츠 스타 귀화 시대…누가 있나?
입력 2014.02.14 (07:11)
수정 2014.02.14 (11:57)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러시아로 귀환했던 쇼트트랙 안현수 선수가 동메달을 땄죠.
그래서 국내 스포츠 팬들에게 아쉬움을 많이 주고 있는데요.
안현수 선수를 계기로 우리나라로 귀화한 외국인 선수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남자 천 5백미터 쇼트트랙 경기에서 러시아의 빅토르 안으로 동메달을 딴 안현수 선수.
메달을 딴 소감에서도 러시아로 귀화할 수 밖에 없었던 어려움을 털어놓습니다.
<인터뷰> 안현수 : " 제가 한국에서 겪었던 많은 시간들은 어떻게 보면 더 힘들었을 거라 생각해요. "
우리나라로 귀화해 소치 올림픽에서 선전을 거두는 선수도 있습니다.
여자 3천미터 계주 결승진출을 이룬 공상정 선수.
대만국적의 공상정은 3년 전 우리나라로 귀화했습니다.
<인터뷰> 공상정 : " 중국선수와 붙었을 때 좀 더 이기고 오겠습니다."
부진한 종목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외국 선수들의 영입도 이어지도 있습니다.
아이스하키 강국 캐나다에서 온 브라이언 영과 마이클 스위프트가 그 주인공입니다.
애국가를 부를 정도로 우리말에 능숙합니다.
<녹취> 마이클 스위프트 : "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이처럼 귀화선수가 늘어나게 된 것은 지난 2011년부터 우수인재에 대해 복수국적을 허용해주도록 국적법이 개정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재유(법무부 국적과장) : " 올림픽에서 수상할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지고 우리나라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까지 한국으로 귀화한 선수는 농구, 아이스하키 등에서 8명이 있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러시아로 귀환했던 쇼트트랙 안현수 선수가 동메달을 땄죠.
그래서 국내 스포츠 팬들에게 아쉬움을 많이 주고 있는데요.
안현수 선수를 계기로 우리나라로 귀화한 외국인 선수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남자 천 5백미터 쇼트트랙 경기에서 러시아의 빅토르 안으로 동메달을 딴 안현수 선수.
메달을 딴 소감에서도 러시아로 귀화할 수 밖에 없었던 어려움을 털어놓습니다.
<인터뷰> 안현수 : " 제가 한국에서 겪었던 많은 시간들은 어떻게 보면 더 힘들었을 거라 생각해요. "
우리나라로 귀화해 소치 올림픽에서 선전을 거두는 선수도 있습니다.
여자 3천미터 계주 결승진출을 이룬 공상정 선수.
대만국적의 공상정은 3년 전 우리나라로 귀화했습니다.
<인터뷰> 공상정 : " 중국선수와 붙었을 때 좀 더 이기고 오겠습니다."
부진한 종목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외국 선수들의 영입도 이어지도 있습니다.
아이스하키 강국 캐나다에서 온 브라이언 영과 마이클 스위프트가 그 주인공입니다.
애국가를 부를 정도로 우리말에 능숙합니다.
<녹취> 마이클 스위프트 : "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이처럼 귀화선수가 늘어나게 된 것은 지난 2011년부터 우수인재에 대해 복수국적을 허용해주도록 국적법이 개정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재유(법무부 국적과장) : " 올림픽에서 수상할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지고 우리나라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까지 한국으로 귀화한 선수는 농구, 아이스하키 등에서 8명이 있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스포츠 스타 귀화 시대…누가 있나?
-
- 입력 2014-02-14 07:14:24
- 수정2014-02-14 11:57:47

<앵커 멘트>
러시아로 귀환했던 쇼트트랙 안현수 선수가 동메달을 땄죠.
그래서 국내 스포츠 팬들에게 아쉬움을 많이 주고 있는데요.
안현수 선수를 계기로 우리나라로 귀화한 외국인 선수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남자 천 5백미터 쇼트트랙 경기에서 러시아의 빅토르 안으로 동메달을 딴 안현수 선수.
메달을 딴 소감에서도 러시아로 귀화할 수 밖에 없었던 어려움을 털어놓습니다.
<인터뷰> 안현수 : " 제가 한국에서 겪었던 많은 시간들은 어떻게 보면 더 힘들었을 거라 생각해요. "
우리나라로 귀화해 소치 올림픽에서 선전을 거두는 선수도 있습니다.
여자 3천미터 계주 결승진출을 이룬 공상정 선수.
대만국적의 공상정은 3년 전 우리나라로 귀화했습니다.
<인터뷰> 공상정 : " 중국선수와 붙었을 때 좀 더 이기고 오겠습니다."
부진한 종목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외국 선수들의 영입도 이어지도 있습니다.
아이스하키 강국 캐나다에서 온 브라이언 영과 마이클 스위프트가 그 주인공입니다.
애국가를 부를 정도로 우리말에 능숙합니다.
<녹취> 마이클 스위프트 : "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이처럼 귀화선수가 늘어나게 된 것은 지난 2011년부터 우수인재에 대해 복수국적을 허용해주도록 국적법이 개정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재유(법무부 국적과장) : " 올림픽에서 수상할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지고 우리나라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까지 한국으로 귀화한 선수는 농구, 아이스하키 등에서 8명이 있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러시아로 귀환했던 쇼트트랙 안현수 선수가 동메달을 땄죠.
그래서 국내 스포츠 팬들에게 아쉬움을 많이 주고 있는데요.
안현수 선수를 계기로 우리나라로 귀화한 외국인 선수들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습니다.
홍혜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남자 천 5백미터 쇼트트랙 경기에서 러시아의 빅토르 안으로 동메달을 딴 안현수 선수.
메달을 딴 소감에서도 러시아로 귀화할 수 밖에 없었던 어려움을 털어놓습니다.
<인터뷰> 안현수 : " 제가 한국에서 겪었던 많은 시간들은 어떻게 보면 더 힘들었을 거라 생각해요. "
우리나라로 귀화해 소치 올림픽에서 선전을 거두는 선수도 있습니다.
여자 3천미터 계주 결승진출을 이룬 공상정 선수.
대만국적의 공상정은 3년 전 우리나라로 귀화했습니다.
<인터뷰> 공상정 : " 중국선수와 붙었을 때 좀 더 이기고 오겠습니다."
부진한 종목의 실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외국 선수들의 영입도 이어지도 있습니다.
아이스하키 강국 캐나다에서 온 브라이언 영과 마이클 스위프트가 그 주인공입니다.
애국가를 부를 정도로 우리말에 능숙합니다.
<녹취> 마이클 스위프트 : " 대한 사람 대한으로 길이 보전하세"
이처럼 귀화선수가 늘어나게 된 것은 지난 2011년부터 우수인재에 대해 복수국적을 허용해주도록 국적법이 개정됐기 때문입니다.
<인터뷰> 이재유(법무부 국적과장) : " 올림픽에서 수상할 수 있는 기회가 넓어지고 우리나라 선수들의 경기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현재까지 한국으로 귀화한 선수는 농구, 아이스하키 등에서 8명이 있습니다.
KBS 뉴스 홍혜림입니다.
-
-
홍혜림 기자 newshong@kbs.co.kr
홍혜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