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드컵조직위 입장권 관리 문제 있다
입력 2002.01.18 (21:00)
수정 2025.03.17 (00:49)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월드컵을 앞두고 암표거래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판매하고 있는 표는 입장권이 아니라 구매확인서이기 때문에 암표를 살 경우 낭패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중국 대 터키전 암표 4장에 600만원.
즉 1장당 150만원이라고 올린 한 인터넷 경매사이트입니다.
이처럼 턱없이 비싼 월드컵 암표거래는 인터넷 곳곳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 표들이 실제 입장권이 아니라 구매확인서에 불과하다는 데 있습니다.
표를 구입했다는 영수증인 구매확인서는 실제 구매자의 주민등록번호 등이 적혀 있어 경기장 입장권과 교환할 때 신분확인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비싼 돈을 내고 어렵게 암표를 샀다가 최초 구매자가 5월 초로 예정된 입장권 교환 때 잠적이라도 한다면 피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권해윤(월드컵조직위 판매과장): 입장권을 실제 교부할 때 구입 당시의 신청인 본인 여부를 확인하고 교부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자: 이런 가운데 월드컵조직위는 오늘 구매확인서의 소유자를 바꿀 수 있는 안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조직위의 명의이전안은 사망이나 군입대 등 극히 제한적인 경우에만 가능해 대부분의 암표구입자들이 입장권을 교환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그럼에도 암표상들은 거짓변명을 하며 계속 암표를 팔고 있습니다.
⊙기자: 명의 이전이 까다롭다는데요?
⊙암표 판매인(2장에 3백만 원 요구): 조직위 사람이랑 통화했거든요.
예를 들어 '군대를 가는데 영장을 가져와라'.
⊙기자: 조직위가 뒤늦게 명의이전안을 내놨지만 암거래는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국내에서 팔린 중국전 구매확인서는 대부분 중국 관광객들에게 비싸게 팔리고 있어 월드컵 중국 특수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KBS뉴스 이유진입니다.
그런데 지금 판매하고 있는 표는 입장권이 아니라 구매확인서이기 때문에 암표를 살 경우 낭패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중국 대 터키전 암표 4장에 600만원.
즉 1장당 150만원이라고 올린 한 인터넷 경매사이트입니다.
이처럼 턱없이 비싼 월드컵 암표거래는 인터넷 곳곳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 표들이 실제 입장권이 아니라 구매확인서에 불과하다는 데 있습니다.
표를 구입했다는 영수증인 구매확인서는 실제 구매자의 주민등록번호 등이 적혀 있어 경기장 입장권과 교환할 때 신분확인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비싼 돈을 내고 어렵게 암표를 샀다가 최초 구매자가 5월 초로 예정된 입장권 교환 때 잠적이라도 한다면 피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권해윤(월드컵조직위 판매과장): 입장권을 실제 교부할 때 구입 당시의 신청인 본인 여부를 확인하고 교부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자: 이런 가운데 월드컵조직위는 오늘 구매확인서의 소유자를 바꿀 수 있는 안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조직위의 명의이전안은 사망이나 군입대 등 극히 제한적인 경우에만 가능해 대부분의 암표구입자들이 입장권을 교환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그럼에도 암표상들은 거짓변명을 하며 계속 암표를 팔고 있습니다.
⊙기자: 명의 이전이 까다롭다는데요?
⊙암표 판매인(2장에 3백만 원 요구): 조직위 사람이랑 통화했거든요.
예를 들어 '군대를 가는데 영장을 가져와라'.
⊙기자: 조직위가 뒤늦게 명의이전안을 내놨지만 암거래는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국내에서 팔린 중국전 구매확인서는 대부분 중국 관광객들에게 비싸게 팔리고 있어 월드컵 중국 특수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KBS뉴스 이유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월드컵조직위 입장권 관리 문제 있다
-
- 입력 2002-01-18 21:00:00
- 수정2025-03-17 00:49:06

⊙앵커: 월드컵을 앞두고 암표거래가 기승을 부리고 있습니다.
그런데 지금 판매하고 있는 표는 입장권이 아니라 구매확인서이기 때문에 암표를 살 경우 낭패를 볼 수도 있습니다.
이유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중국 대 터키전 암표 4장에 600만원.
즉 1장당 150만원이라고 올린 한 인터넷 경매사이트입니다.
이처럼 턱없이 비싼 월드컵 암표거래는 인터넷 곳곳에서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그러나 문제는 이 표들이 실제 입장권이 아니라 구매확인서에 불과하다는 데 있습니다.
표를 구입했다는 영수증인 구매확인서는 실제 구매자의 주민등록번호 등이 적혀 있어 경기장 입장권과 교환할 때 신분확인을 반드시 거쳐야 합니다.
비싼 돈을 내고 어렵게 암표를 샀다가 최초 구매자가 5월 초로 예정된 입장권 교환 때 잠적이라도 한다면 피해를 볼 수밖에 없습니다.
⊙권해윤(월드컵조직위 판매과장): 입장권을 실제 교부할 때 구입 당시의 신청인 본인 여부를 확인하고 교부하는 것이 원칙이기 때문에 여러 가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기자: 이런 가운데 월드컵조직위는 오늘 구매확인서의 소유자를 바꿀 수 있는 안을 마련했습니다.
그러나 조직위의 명의이전안은 사망이나 군입대 등 극히 제한적인 경우에만 가능해 대부분의 암표구입자들이 입장권을 교환할 수 없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그럼에도 암표상들은 거짓변명을 하며 계속 암표를 팔고 있습니다.
⊙기자: 명의 이전이 까다롭다는데요?
⊙암표 판매인(2장에 3백만 원 요구): 조직위 사람이랑 통화했거든요.
예를 들어 '군대를 가는데 영장을 가져와라'.
⊙기자: 조직위가 뒤늦게 명의이전안을 내놨지만 암거래는 계속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다.
특히 국내에서 팔린 중국전 구매확인서는 대부분 중국 관광객들에게 비싸게 팔리고 있어 월드컵 중국 특수에도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는 실정입니다.
KBS뉴스 이유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