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준 100억 달러 추가 축소…저금리 지속
입력 2014.03.20 (08:03)
수정 2014.03.20 (08:1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오늘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 달러 추가 축소하기로 했습니다.
0% 대 초저금리 기조는 이어가기로 했지만 내년 초-중반쯤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워싱턴, 김성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현재 월 650억 달러인 채권 매입 규모를 550억 달러로, 100억 달러 더 줄이기로 했습니다.
연준은 이미 2차례에 걸쳐 당초 850억 달러였던 월 채권 매입액을 650억 달러로 200억 달러 줄인 상탭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0% 가까운 초저금리 기조는 유지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옐런 의장은 다만 조건이 성숙될 경우 내년 초중반쯤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연준은 앞으로 금리 인상 시기도 실업률 목표치 달성과는 더 이상 연계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연준은 대신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경기 전망 등을 함께 고려하기로 했습니다.
옐런 의장의 금리 인상 예상 시기 언급 등에 다우존스지수는 0.7%, 나스닥은 0.6% 떨어진 채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편,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 전망 상한치를 3.2%에서 3%로 0.2% 하향 조정했습니다.
실업률은 더 떨어져 6.1%에서 6.3%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오늘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 달러 추가 축소하기로 했습니다.
0% 대 초저금리 기조는 이어가기로 했지만 내년 초-중반쯤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워싱턴, 김성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현재 월 650억 달러인 채권 매입 규모를 550억 달러로, 100억 달러 더 줄이기로 했습니다.
연준은 이미 2차례에 걸쳐 당초 850억 달러였던 월 채권 매입액을 650억 달러로 200억 달러 줄인 상탭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0% 가까운 초저금리 기조는 유지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옐런 의장은 다만 조건이 성숙될 경우 내년 초중반쯤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연준은 앞으로 금리 인상 시기도 실업률 목표치 달성과는 더 이상 연계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연준은 대신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경기 전망 등을 함께 고려하기로 했습니다.
옐런 의장의 금리 인상 예상 시기 언급 등에 다우존스지수는 0.7%, 나스닥은 0.6% 떨어진 채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편,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 전망 상한치를 3.2%에서 3%로 0.2% 하향 조정했습니다.
실업률은 더 떨어져 6.1%에서 6.3%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연준 100억 달러 추가 축소…저금리 지속
-
- 입력 2014-03-20 07:01:13
- 수정2014-03-20 08:16:32

<앵커 멘트>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오늘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 달러 추가 축소하기로 했습니다.
0% 대 초저금리 기조는 이어가기로 했지만 내년 초-중반쯤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워싱턴, 김성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현재 월 650억 달러인 채권 매입 규모를 550억 달러로, 100억 달러 더 줄이기로 했습니다.
연준은 이미 2차례에 걸쳐 당초 850억 달러였던 월 채권 매입액을 650억 달러로 200억 달러 줄인 상탭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0% 가까운 초저금리 기조는 유지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옐런 의장은 다만 조건이 성숙될 경우 내년 초중반쯤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연준은 앞으로 금리 인상 시기도 실업률 목표치 달성과는 더 이상 연계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연준은 대신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경기 전망 등을 함께 고려하기로 했습니다.
옐런 의장의 금리 인상 예상 시기 언급 등에 다우존스지수는 0.7%, 나스닥은 0.6% 떨어진 채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편,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 전망 상한치를 3.2%에서 3%로 0.2% 하향 조정했습니다.
실업률은 더 떨어져 6.1%에서 6.3%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가 오늘 양적완화 규모를 100억 달러 추가 축소하기로 했습니다.
0% 대 초저금리 기조는 이어가기로 했지만 내년 초-중반쯤 금리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습니다.
워싱턴, 김성진 특파원입니다.
<리포트>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현재 월 650억 달러인 채권 매입 규모를 550억 달러로, 100억 달러 더 줄이기로 했습니다.
연준은 이미 2차례에 걸쳐 당초 850억 달러였던 월 채권 매입액을 650억 달러로 200억 달러 줄인 상탭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0% 가까운 초저금리 기조는 유지해 나가기로 했습니다.
옐런 의장은 다만 조건이 성숙될 경우 내년 초중반쯤 금리를 인상할 수 있음을 시사했습니다.
<녹취> 재닛 옐런(미 연방준비제도 의장)
연준은 앞으로 금리 인상 시기도 실업률 목표치 달성과는 더 이상 연계하지 않기로 했습니다.
연준은 대신 실업률과 인플레이션, 경기 전망 등을 함께 고려하기로 했습니다.
옐런 의장의 금리 인상 예상 시기 언급 등에 다우존스지수는 0.7%, 나스닥은 0.6% 떨어진 채 거래를 마쳤습니다.
한편, 연준은 올해 미국 경제성장 전망 상한치를 3.2%에서 3%로 0.2% 하향 조정했습니다.
실업률은 더 떨어져 6.1%에서 6.3%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워싱턴에서 KBS 뉴스 김성진입니다.
-
-
김성진 기자 sjkim9kbs@gmail.com
김성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