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전 3분 36초’ 세월호에 무슨 일이?
입력 2014.04.21 (07:45)
수정 2014.04.21 (08:51)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세월호는 방향을 급하게 바꾼 뒤 3분 36초 동안 항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정전이 돼 자동식별장치가 꺼져있었기 때문인데요, 바로 이 사이 세월호는 회복 불능의 상태가 됐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임승창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세월호의 정전은 3등 항해사의 지시에 따라 조타수가 배의 핸들인 조타기를 오른쪽으로 돌린 뒤 일어났습니다.
문제는 정전이 되면 이 키가 오른쪽으로 틀어진 상태 그대로 잠겨 풀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조타기에서 전기신호를 유압장치로 보내 키를 조정하는데 정전으로 전기 신호가 끊겼기 때문입니다.
결국 세월호는 계속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 수밖에 없었고, 다시 자동식별장치가 켜진 장소까지 3분 36초 동안 이런 식으로 반원을 그리며 이동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정전전 시속 33킬로미터였던 세월호는 급속 우회전하면서 화물이 쏠려 이미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였습니다.
여기에다 정전으로 엔진이 멈춰 속력이 떨어지자 원심력이 더 강해져 더 급속히 왼쪽으로 기운 겁니다.
그나마 앞으로 나가며 버텨주던 힘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자동식별장치가 다시 켜진 8시 52분 13초, 전원은 다시 공급됐지만 이미 세월호는 복원력을 일어 회복 불능의 상태였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세월호는 방향을 급하게 바꾼 뒤 3분 36초 동안 항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정전이 돼 자동식별장치가 꺼져있었기 때문인데요, 바로 이 사이 세월호는 회복 불능의 상태가 됐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임승창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세월호의 정전은 3등 항해사의 지시에 따라 조타수가 배의 핸들인 조타기를 오른쪽으로 돌린 뒤 일어났습니다.
문제는 정전이 되면 이 키가 오른쪽으로 틀어진 상태 그대로 잠겨 풀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조타기에서 전기신호를 유압장치로 보내 키를 조정하는데 정전으로 전기 신호가 끊겼기 때문입니다.
결국 세월호는 계속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 수밖에 없었고, 다시 자동식별장치가 켜진 장소까지 3분 36초 동안 이런 식으로 반원을 그리며 이동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정전전 시속 33킬로미터였던 세월호는 급속 우회전하면서 화물이 쏠려 이미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였습니다.
여기에다 정전으로 엔진이 멈춰 속력이 떨어지자 원심력이 더 강해져 더 급속히 왼쪽으로 기운 겁니다.
그나마 앞으로 나가며 버텨주던 힘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자동식별장치가 다시 켜진 8시 52분 13초, 전원은 다시 공급됐지만 이미 세월호는 복원력을 일어 회복 불능의 상태였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정전 3분 36초’ 세월호에 무슨 일이?
-
- 입력 2014-04-21 07:51:49
- 수정2014-04-21 08:51:37

<앵커 멘트>
세월호는 방향을 급하게 바꾼 뒤 3분 36초 동안 항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정전이 돼 자동식별장치가 꺼져있었기 때문인데요, 바로 이 사이 세월호는 회복 불능의 상태가 됐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임승창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세월호의 정전은 3등 항해사의 지시에 따라 조타수가 배의 핸들인 조타기를 오른쪽으로 돌린 뒤 일어났습니다.
문제는 정전이 되면 이 키가 오른쪽으로 틀어진 상태 그대로 잠겨 풀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조타기에서 전기신호를 유압장치로 보내 키를 조정하는데 정전으로 전기 신호가 끊겼기 때문입니다.
결국 세월호는 계속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 수밖에 없었고, 다시 자동식별장치가 켜진 장소까지 3분 36초 동안 이런 식으로 반원을 그리며 이동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정전전 시속 33킬로미터였던 세월호는 급속 우회전하면서 화물이 쏠려 이미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였습니다.
여기에다 정전으로 엔진이 멈춰 속력이 떨어지자 원심력이 더 강해져 더 급속히 왼쪽으로 기운 겁니다.
그나마 앞으로 나가며 버텨주던 힘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자동식별장치가 다시 켜진 8시 52분 13초, 전원은 다시 공급됐지만 이미 세월호는 복원력을 일어 회복 불능의 상태였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세월호는 방향을 급하게 바꾼 뒤 3분 36초 동안 항적이 확인되지 않고 있습니다.
정전이 돼 자동식별장치가 꺼져있었기 때문인데요, 바로 이 사이 세월호는 회복 불능의 상태가 됐습니다.
도대체 무슨 일이 있었던 걸까요?
임승창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리포트>
세월호의 정전은 3등 항해사의 지시에 따라 조타수가 배의 핸들인 조타기를 오른쪽으로 돌린 뒤 일어났습니다.
문제는 정전이 되면 이 키가 오른쪽으로 틀어진 상태 그대로 잠겨 풀리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조타기에서 전기신호를 유압장치로 보내 키를 조정하는데 정전으로 전기 신호가 끊겼기 때문입니다.
결국 세월호는 계속 오른쪽으로 방향을 틀 수밖에 없었고, 다시 자동식별장치가 켜진 장소까지 3분 36초 동안 이런 식으로 반원을 그리며 이동했을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입니다.
정전전 시속 33킬로미터였던 세월호는 급속 우회전하면서 화물이 쏠려 이미 왼쪽으로 기울어진 상태였습니다.
여기에다 정전으로 엔진이 멈춰 속력이 떨어지자 원심력이 더 강해져 더 급속히 왼쪽으로 기운 겁니다.
그나마 앞으로 나가며 버텨주던 힘이 사라졌기 때문입니다.
자동식별장치가 다시 켜진 8시 52분 13초, 전원은 다시 공급됐지만 이미 세월호는 복원력을 일어 회복 불능의 상태였습니다.
KBS 뉴스 임승창입니다.
-
-
임승창 기자 sclim@kbs.co.kr
임승창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