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고대책본부 발표 혼란…불신 키웠다
입력 2014.04.29 (12:13)
수정 2014.04.29 (13:0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하루 평균 최대 700명 정도의 잠수요원을 투입했다고 대책본부가 밝혀왔죠.
하지만,실제 투입 인원은 많게는 80여명에 불과했습니다.
이러다보니 대책본부와 정부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졌다는 지적입니다.
김기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사고 발생 이튿날부터 가족들의 불신이 불거졌습니다.
<녹취> 김석균(해양경찰청장) : "현재 인력은 잠수사 5백여명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수색현장을 직접 방문한 실종자 가족이 정부발표보다 턱없이 적은 인원이 수중수색을 벌이고 있다는 점을 알고 나서부텁니다.
<녹취> 실종자 가족 : "인원투입 555명, 배 169척으로 우리아이들을 구출하고 있다고 거짓말했습니다."
물살이 비교적 잔잔한 소조기 마지막날이었던 지난 24일.
수색에 투입된 잠수사가 몇명인지에 대한 가족의 질문에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은 750명이라고 대답했습니다.
가족들의 추궁이 이어지자 잠시 뒤 직접 수습할 수 있는 잠수사는 13명이라고 말을 바꿨습니다.
이처럼 정부발표와 실제 투입인원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정부에서는 실제 잠수 인원이 아닌 동원된 인원 전체를 기준으로 인원을 합산하기 때문입니다.
빗발치는 항의에 결국 인원수를 투입 인원 기준으로 바꿨습니다.
<녹취> 고명석(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잠수요원은 18명이 입수하여 수색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렇게 발표 방식을 바꾼 건 불과 사흘전, 무신경한 대책본부의 뒤늦은 대응에 정부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하루 평균 최대 700명 정도의 잠수요원을 투입했다고 대책본부가 밝혀왔죠.
하지만,실제 투입 인원은 많게는 80여명에 불과했습니다.
이러다보니 대책본부와 정부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졌다는 지적입니다.
김기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사고 발생 이튿날부터 가족들의 불신이 불거졌습니다.
<녹취> 김석균(해양경찰청장) : "현재 인력은 잠수사 5백여명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수색현장을 직접 방문한 실종자 가족이 정부발표보다 턱없이 적은 인원이 수중수색을 벌이고 있다는 점을 알고 나서부텁니다.
<녹취> 실종자 가족 : "인원투입 555명, 배 169척으로 우리아이들을 구출하고 있다고 거짓말했습니다."
물살이 비교적 잔잔한 소조기 마지막날이었던 지난 24일.
수색에 투입된 잠수사가 몇명인지에 대한 가족의 질문에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은 750명이라고 대답했습니다.
가족들의 추궁이 이어지자 잠시 뒤 직접 수습할 수 있는 잠수사는 13명이라고 말을 바꿨습니다.
이처럼 정부발표와 실제 투입인원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정부에서는 실제 잠수 인원이 아닌 동원된 인원 전체를 기준으로 인원을 합산하기 때문입니다.
빗발치는 항의에 결국 인원수를 투입 인원 기준으로 바꿨습니다.
<녹취> 고명석(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잠수요원은 18명이 입수하여 수색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렇게 발표 방식을 바꾼 건 불과 사흘전, 무신경한 대책본부의 뒤늦은 대응에 정부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사고대책본부 발표 혼란…불신 키웠다
-
- 입력 2014-04-29 12:15:10
- 수정2014-04-29 13:02:30

<앵커 멘트>
하루 평균 최대 700명 정도의 잠수요원을 투입했다고 대책본부가 밝혀왔죠.
하지만,실제 투입 인원은 많게는 80여명에 불과했습니다.
이러다보니 대책본부와 정부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졌다는 지적입니다.
김기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사고 발생 이튿날부터 가족들의 불신이 불거졌습니다.
<녹취> 김석균(해양경찰청장) : "현재 인력은 잠수사 5백여명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수색현장을 직접 방문한 실종자 가족이 정부발표보다 턱없이 적은 인원이 수중수색을 벌이고 있다는 점을 알고 나서부텁니다.
<녹취> 실종자 가족 : "인원투입 555명, 배 169척으로 우리아이들을 구출하고 있다고 거짓말했습니다."
물살이 비교적 잔잔한 소조기 마지막날이었던 지난 24일.
수색에 투입된 잠수사가 몇명인지에 대한 가족의 질문에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은 750명이라고 대답했습니다.
가족들의 추궁이 이어지자 잠시 뒤 직접 수습할 수 있는 잠수사는 13명이라고 말을 바꿨습니다.
이처럼 정부발표와 실제 투입인원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정부에서는 실제 잠수 인원이 아닌 동원된 인원 전체를 기준으로 인원을 합산하기 때문입니다.
빗발치는 항의에 결국 인원수를 투입 인원 기준으로 바꿨습니다.
<녹취> 고명석(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잠수요원은 18명이 입수하여 수색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렇게 발표 방식을 바꾼 건 불과 사흘전, 무신경한 대책본부의 뒤늦은 대응에 정부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하루 평균 최대 700명 정도의 잠수요원을 투입했다고 대책본부가 밝혀왔죠.
하지만,실제 투입 인원은 많게는 80여명에 불과했습니다.
이러다보니 대책본부와 정부 전체에 대한 불신으로까지 이어졌다는 지적입니다.
김기화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사고 발생 이튿날부터 가족들의 불신이 불거졌습니다.
<녹취> 김석균(해양경찰청장) : "현재 인력은 잠수사 5백여명을 투입하고 있습니다."
수색현장을 직접 방문한 실종자 가족이 정부발표보다 턱없이 적은 인원이 수중수색을 벌이고 있다는 점을 알고 나서부텁니다.
<녹취> 실종자 가족 : "인원투입 555명, 배 169척으로 우리아이들을 구출하고 있다고 거짓말했습니다."
물살이 비교적 잔잔한 소조기 마지막날이었던 지난 24일.
수색에 투입된 잠수사가 몇명인지에 대한 가족의 질문에 김석균 해양경찰청장은 750명이라고 대답했습니다.
가족들의 추궁이 이어지자 잠시 뒤 직접 수습할 수 있는 잠수사는 13명이라고 말을 바꿨습니다.
이처럼 정부발표와 실제 투입인원이 차이가 나는 이유는 정부에서는 실제 잠수 인원이 아닌 동원된 인원 전체를 기준으로 인원을 합산하기 때문입니다.
빗발치는 항의에 결국 인원수를 투입 인원 기준으로 바꿨습니다.
<녹취> 고명석(양경찰청 장비기술국장) : "잠수요원은 18명이 입수하여 수색활동을 실시하였습니다."
이렇게 발표 방식을 바꾼 건 불과 사흘전, 무신경한 대책본부의 뒤늦은 대응에 정부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습니다.
KBS 뉴스 김기화입니다.
-
-
김기화 기자 kimkoon@kbs.co.kr
김기화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