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 재난훈련 80% 토론? 현장 중심 훈련 시급
입력 2014.05.12 (07:22)
수정 2014.05.12 (08:53)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평상시 재난 대응 훈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국가 차원의 재난 대응 훈련인 '안전한국훈련'이 10년째를 맞았지만, 이런 훈련이 있는지도 모르는 시민들이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김희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진 해일이 닥친 상황을 가정해 시민들이 고지대로 몸을 피합니다.
지난해 강릉에서 열린 '안전한국훈련' 모습입니다.
해마다 5월 무렵 전국적으로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 지 올해로 10년이 되지만,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녹취> "(들어보셨어요?) 그건 잘 못 들어본 것 같아요."
<녹취> "내가 들어본 적 없으면 다른 사람도 거의 들어본 적 없을 겁니다."
지난해 소방방재청 보고서를 보면, 훈련 자체를 전혀 모른다거나 이름 정도만 들어봤다는 응답이 80% 가까이 됐습니다.
실제 재난 상황과는 동떨어진 훈련 방식 때문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5백 회 가까운 훈련을 했지만, 80%가 세미나 등 토론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인터뷰> 조원철(연세대 교수) : "일반 시민들이 전혀 관계하지 않고, 시민들하고는 관계없는 행사를 하는 것은 업적 보고를 하기 위해서, 예산 쓰기 위해서 하는 겁니다."
나머지 20% 현장 훈련도 도식화된 시나리오를 재연해 '보여주기'에 그쳤다는 게 보고서의 평가입니다.
정부는 세월호 참사 후 사고 수습이 우선이라며 오는 12일로 예정된 올해 '안전한국훈련'을 연기했습니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현장 훈련 위주로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평상시 재난 대응 훈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국가 차원의 재난 대응 훈련인 '안전한국훈련'이 10년째를 맞았지만, 이런 훈련이 있는지도 모르는 시민들이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김희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진 해일이 닥친 상황을 가정해 시민들이 고지대로 몸을 피합니다.
지난해 강릉에서 열린 '안전한국훈련' 모습입니다.
해마다 5월 무렵 전국적으로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 지 올해로 10년이 되지만,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녹취> "(들어보셨어요?) 그건 잘 못 들어본 것 같아요."
<녹취> "내가 들어본 적 없으면 다른 사람도 거의 들어본 적 없을 겁니다."
지난해 소방방재청 보고서를 보면, 훈련 자체를 전혀 모른다거나 이름 정도만 들어봤다는 응답이 80% 가까이 됐습니다.
실제 재난 상황과는 동떨어진 훈련 방식 때문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5백 회 가까운 훈련을 했지만, 80%가 세미나 등 토론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인터뷰> 조원철(연세대 교수) : "일반 시민들이 전혀 관계하지 않고, 시민들하고는 관계없는 행사를 하는 것은 업적 보고를 하기 위해서, 예산 쓰기 위해서 하는 겁니다."
나머지 20% 현장 훈련도 도식화된 시나리오를 재연해 '보여주기'에 그쳤다는 게 보고서의 평가입니다.
정부는 세월호 참사 후 사고 수습이 우선이라며 오는 12일로 예정된 올해 '안전한국훈련'을 연기했습니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현장 훈련 위주로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국가 재난훈련 80% 토론? 현장 중심 훈련 시급
-
- 입력 2014-05-12 07:33:47
- 수정2014-05-12 08:53:27

<앵커 멘트>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평상시 재난 대응 훈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국가 차원의 재난 대응 훈련인 '안전한국훈련'이 10년째를 맞았지만, 이런 훈련이 있는지도 모르는 시민들이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김희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진 해일이 닥친 상황을 가정해 시민들이 고지대로 몸을 피합니다.
지난해 강릉에서 열린 '안전한국훈련' 모습입니다.
해마다 5월 무렵 전국적으로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 지 올해로 10년이 되지만,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녹취> "(들어보셨어요?) 그건 잘 못 들어본 것 같아요."
<녹취> "내가 들어본 적 없으면 다른 사람도 거의 들어본 적 없을 겁니다."
지난해 소방방재청 보고서를 보면, 훈련 자체를 전혀 모른다거나 이름 정도만 들어봤다는 응답이 80% 가까이 됐습니다.
실제 재난 상황과는 동떨어진 훈련 방식 때문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5백 회 가까운 훈련을 했지만, 80%가 세미나 등 토론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인터뷰> 조원철(연세대 교수) : "일반 시민들이 전혀 관계하지 않고, 시민들하고는 관계없는 행사를 하는 것은 업적 보고를 하기 위해서, 예산 쓰기 위해서 하는 겁니다."
나머지 20% 현장 훈련도 도식화된 시나리오를 재연해 '보여주기'에 그쳤다는 게 보고서의 평가입니다.
정부는 세월호 참사 후 사고 수습이 우선이라며 오는 12일로 예정된 올해 '안전한국훈련'을 연기했습니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현장 훈련 위주로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평상시 재난 대응 훈련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데요.
국가 차원의 재난 대응 훈련인 '안전한국훈련'이 10년째를 맞았지만, 이런 훈련이 있는지도 모르는 시민들이 많습니다.
왜 그럴까요?
김희용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지진 해일이 닥친 상황을 가정해 시민들이 고지대로 몸을 피합니다.
지난해 강릉에서 열린 '안전한국훈련' 모습입니다.
해마다 5월 무렵 전국적으로 '안전한국훈련'을 실시한 지 올해로 10년이 되지만, 아는 사람은 거의 없습니다.
<녹취> "(들어보셨어요?) 그건 잘 못 들어본 것 같아요."
<녹취> "내가 들어본 적 없으면 다른 사람도 거의 들어본 적 없을 겁니다."
지난해 소방방재청 보고서를 보면, 훈련 자체를 전혀 모른다거나 이름 정도만 들어봤다는 응답이 80% 가까이 됐습니다.
실제 재난 상황과는 동떨어진 훈련 방식 때문입니다.
지난해의 경우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이 5백 회 가까운 훈련을 했지만, 80%가 세미나 등 토론 방식으로 이뤄졌습니다.
<인터뷰> 조원철(연세대 교수) : "일반 시민들이 전혀 관계하지 않고, 시민들하고는 관계없는 행사를 하는 것은 업적 보고를 하기 위해서, 예산 쓰기 위해서 하는 겁니다."
나머지 20% 현장 훈련도 도식화된 시나리오를 재연해 '보여주기'에 그쳤다는 게 보고서의 평가입니다.
정부는 세월호 참사 후 사고 수습이 우선이라며 오는 12일로 예정된 올해 '안전한국훈련'을 연기했습니다.
시민들이 직접 참여해 재난에 대비할 수 있는 현장 훈련 위주로 재편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KBS 뉴스 김희용입니다.
-
-
김희용 기자 emaninny@kbs.co.kr
김희용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