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회 끼워넣기 만연…공무원 재취업에 악용
입력 2014.05.12 (07:37)
수정 2014.05.12 (08:12)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국회의 입법과정에서 만들어진 각종 협회가 퇴직 관료들의 재취업 창구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국회가 행정부와 업계의 유착을 감시하기는커녕 이를 양성화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김성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해양경찰청 본청 2층엔 수상레저산업의 안전을 강화한다며 만들어진 수상레저안전협회가 입주해 있습니다.
이 단체의 전.현직 회장 등 간부 5명은 해경 고위공무원 출신입니다.
<녹취>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관계자 : "(몇 분이나 계세요? 해경 출신이...) 세 분 계세요. (본부에만 세 분 계신 거예요?) 네...중앙에만"
민원실 건물에 들어선 한국해양구조협회에도 퇴직한 해경 간부 7명이 재직중입니다.
<녹취> 해경 관계자 : "해경 퇴직자들이 역할을 수행한 바 있는데 해당 단체들의 역량이 향상되면 내부적으로 적당한 인물들이 그 자리를 맡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막아야 할 국회는 오히려 입법과정에서 무분별하게 협회를 합법화해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우후죽순처럼 협회가 난립해 각종 협회 79곳에 140여 명의 퇴직관료가 재취업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이찬열(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을 받는 기관이나 단체는 모조리 (공무원 재취업을)금지 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특히 이렇게 유관협회에 재취업한 퇴직 공무원들은 행정부와 업계의 유착의 고리가 될 수도 있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국회의 입법과정에서 만들어진 각종 협회가 퇴직 관료들의 재취업 창구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국회가 행정부와 업계의 유착을 감시하기는커녕 이를 양성화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김성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해양경찰청 본청 2층엔 수상레저산업의 안전을 강화한다며 만들어진 수상레저안전협회가 입주해 있습니다.
이 단체의 전.현직 회장 등 간부 5명은 해경 고위공무원 출신입니다.
<녹취>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관계자 : "(몇 분이나 계세요? 해경 출신이...) 세 분 계세요. (본부에만 세 분 계신 거예요?) 네...중앙에만"
민원실 건물에 들어선 한국해양구조협회에도 퇴직한 해경 간부 7명이 재직중입니다.
<녹취> 해경 관계자 : "해경 퇴직자들이 역할을 수행한 바 있는데 해당 단체들의 역량이 향상되면 내부적으로 적당한 인물들이 그 자리를 맡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막아야 할 국회는 오히려 입법과정에서 무분별하게 협회를 합법화해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우후죽순처럼 협회가 난립해 각종 협회 79곳에 140여 명의 퇴직관료가 재취업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이찬열(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을 받는 기관이나 단체는 모조리 (공무원 재취업을)금지 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특히 이렇게 유관협회에 재취업한 퇴직 공무원들은 행정부와 업계의 유착의 고리가 될 수도 있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협회 끼워넣기 만연…공무원 재취업에 악용
-
- 입력 2014-05-12 07:52:55
- 수정2014-05-12 08:12:39

<앵커 멘트>
국회의 입법과정에서 만들어진 각종 협회가 퇴직 관료들의 재취업 창구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국회가 행정부와 업계의 유착을 감시하기는커녕 이를 양성화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김성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해양경찰청 본청 2층엔 수상레저산업의 안전을 강화한다며 만들어진 수상레저안전협회가 입주해 있습니다.
이 단체의 전.현직 회장 등 간부 5명은 해경 고위공무원 출신입니다.
<녹취>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관계자 : "(몇 분이나 계세요? 해경 출신이...) 세 분 계세요. (본부에만 세 분 계신 거예요?) 네...중앙에만"
민원실 건물에 들어선 한국해양구조협회에도 퇴직한 해경 간부 7명이 재직중입니다.
<녹취> 해경 관계자 : "해경 퇴직자들이 역할을 수행한 바 있는데 해당 단체들의 역량이 향상되면 내부적으로 적당한 인물들이 그 자리를 맡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막아야 할 국회는 오히려 입법과정에서 무분별하게 협회를 합법화해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우후죽순처럼 협회가 난립해 각종 협회 79곳에 140여 명의 퇴직관료가 재취업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이찬열(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을 받는 기관이나 단체는 모조리 (공무원 재취업을)금지 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특히 이렇게 유관협회에 재취업한 퇴직 공무원들은 행정부와 업계의 유착의 고리가 될 수도 있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국회의 입법과정에서 만들어진 각종 협회가 퇴직 관료들의 재취업 창구로 악용되고 있습니다.
국회가 행정부와 업계의 유착을 감시하기는커녕 이를 양성화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이 일고 있습니다.
김성주 기자가 보도합니다.
<리포트>
해양경찰청 본청 2층엔 수상레저산업의 안전을 강화한다며 만들어진 수상레저안전협회가 입주해 있습니다.
이 단체의 전.현직 회장 등 간부 5명은 해경 고위공무원 출신입니다.
<녹취> 한국수상레저안전협회 관계자 : "(몇 분이나 계세요? 해경 출신이...) 세 분 계세요. (본부에만 세 분 계신 거예요?) 네...중앙에만"
민원실 건물에 들어선 한국해양구조협회에도 퇴직한 해경 간부 7명이 재직중입니다.
<녹취> 해경 관계자 : "해경 퇴직자들이 역할을 수행한 바 있는데 해당 단체들의 역량이 향상되면 내부적으로 적당한 인물들이 그 자리를 맡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를 막아야 할 국회는 오히려 입법과정에서 무분별하게 협회를 합법화해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우후죽순처럼 협회가 난립해 각종 협회 79곳에 140여 명의 퇴직관료가 재취업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인터뷰> 이찬열(새정치민주연합 의원) :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에서 지원을 받는 기관이나 단체는 모조리 (공무원 재취업을)금지 시켜야 한다고 봅니다."
특히 이렇게 유관협회에 재취업한 퇴직 공무원들은 행정부와 업계의 유착의 고리가 될 수도 있어서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입니다.
KBS 뉴스 김성주입니다.
-
-
김성주 기자 flying94@kbs.co.kr
김성주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