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출된 공인인증서 6,900건 폐기…예방법은?

입력 2014.05.13 (00:05) 수정 2014.05.13 (08:10)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시중 은행에서 쓰이는 공인 인증서 7천 건 가까이가 유출됐습니다.

일단 금융 당국이 모두 폐기 조치했습니다.

파밍이라는 수법을 이용한 해킹으로 추정됩니다.

황동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최근 피싱이나 파밍 사이트에서 악성 코드로 수집된 공인 인증서 유출 목록 6천900건을 발견했습니다.

곧바로 금융결제원 등 5개 인증 기관에 통보하고 유출된 공인 인증서를 모두 없앴습니다.

폐기된 공인 인증서는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등 시중 은행 고객의 인증서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은 공인 인증서 유출로 의심되는 고객의 인터넷 뱅킹 이용을 잠시 중단했습니다.

해커들은 가짜 사이트를 미리 개설하고 피해자 컴퓨터를 악성 코드에 감염시켜 진짜 사이트 주소를 넣어도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해 개인 정보를 빼내갔습니다.

유출된 공인 인증서로 인한 피해는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금융 당국은 공인 인증서 유출을 피하려면 인증서를 PC 하드디스크나 이메일, 웹하드에 보관하지 말 것을 권고했습니다.

특히, 공공장소의 공용 PC에서는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지 말고 성인이나 도박 사이트 등에서도 공인 인증서를 절대 이용해선 안 된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비밀번호도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과 다르게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변경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유출된 공인인증서 6,900건 폐기…예방법은?
    • 입력 2014-05-13 00:05:33
    • 수정2014-05-13 08:10:38
    뉴스라인 W
<앵커 멘트>

시중 은행에서 쓰이는 공인 인증서 7천 건 가까이가 유출됐습니다.

일단 금융 당국이 모두 폐기 조치했습니다.

파밍이라는 수법을 이용한 해킹으로 추정됩니다.

황동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한국인터넷진흥원은 최근 피싱이나 파밍 사이트에서 악성 코드로 수집된 공인 인증서 유출 목록 6천900건을 발견했습니다.

곧바로 금융결제원 등 5개 인증 기관에 통보하고 유출된 공인 인증서를 모두 없앴습니다.

폐기된 공인 인증서는 국민은행과 우리은행 등 시중 은행 고객의 인증서로 확인됐습니다.

이에 따라 우리은행은 공인 인증서 유출로 의심되는 고객의 인터넷 뱅킹 이용을 잠시 중단했습니다.

해커들은 가짜 사이트를 미리 개설하고 피해자 컴퓨터를 악성 코드에 감염시켜 진짜 사이트 주소를 넣어도 가짜 사이트에 접속하도록 해 개인 정보를 빼내갔습니다.

유출된 공인 인증서로 인한 피해는 아직까지 없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금융 당국은 공인 인증서 유출을 피하려면 인증서를 PC 하드디스크나 이메일, 웹하드에 보관하지 말 것을 권고했습니다.

특히, 공공장소의 공용 PC에서는 공인 인증서를 사용하지 말고 성인이나 도박 사이트 등에서도 공인 인증서를 절대 이용해선 안 된다고 경고했습니다.

또 비밀번호도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과 다르게 설정하고 주기적으로 변경해 줄 것을 요청했습니다.

KBS 뉴스 황동진입니다.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오늘의 핫 클릭

실시간 뜨거운 관심을 받고 있는 뉴스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

수신료 수신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