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영 공백 장기화 우려…비상체제 가동되나?
입력 2014.05.14 (07:09)
수정 2014.05.14 (08:04)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이건희 회장은 깨어나더라도 심장 기능을 회복하려면 최소 석달 이상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때문에 경영 공백의 장기화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정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제 새벽 의식이 돌아올 것이라는 그제 발표와는 달리 이건희 회장이 사흘째 의식을 되찾지 못하자 삼성그룹 직원들은 다소 실망하는 분위깁니다.
<녹취> "(이건희 회장 입원에 대해 내부적으로 어떤 분위기인가요?) 잘 모르겠어요"
이재용 부회장과 함께 사실상 그룹 경영을 총괄하고 있는 최지성 미래전략실장은 어제 새벽 병원을 방문한 뒤 출근했습니다.
이 회장이 두세 달 가량 업무에 복귀하지 못하더라도 문제될 게 없다는 게 삼성측 설명입니다.
계열사별로 전문경영인이 운영하는 이른바 '시스템 경영'이 정착됐기 때문에 비상 경영 대책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이 회장의 공백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업구조 개편과 대규모 투자, 임원진 인사 등 그룹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 의사 결정은 이 회장의 몫이었기 때문입니다.
<녹취> "이건희 회장의 부재는 향후 그룹의 비전이나 투자 결정에 있어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건희 회장의 입원 이후 처음 열리는 오늘 삼성그룹 정례 사장단 회의에서 어떤 처방을 제시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인성입니다.
이건희 회장은 깨어나더라도 심장 기능을 회복하려면 최소 석달 이상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때문에 경영 공백의 장기화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정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제 새벽 의식이 돌아올 것이라는 그제 발표와는 달리 이건희 회장이 사흘째 의식을 되찾지 못하자 삼성그룹 직원들은 다소 실망하는 분위깁니다.
<녹취> "(이건희 회장 입원에 대해 내부적으로 어떤 분위기인가요?) 잘 모르겠어요"
이재용 부회장과 함께 사실상 그룹 경영을 총괄하고 있는 최지성 미래전략실장은 어제 새벽 병원을 방문한 뒤 출근했습니다.
이 회장이 두세 달 가량 업무에 복귀하지 못하더라도 문제될 게 없다는 게 삼성측 설명입니다.
계열사별로 전문경영인이 운영하는 이른바 '시스템 경영'이 정착됐기 때문에 비상 경영 대책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이 회장의 공백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업구조 개편과 대규모 투자, 임원진 인사 등 그룹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 의사 결정은 이 회장의 몫이었기 때문입니다.
<녹취> "이건희 회장의 부재는 향후 그룹의 비전이나 투자 결정에 있어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건희 회장의 입원 이후 처음 열리는 오늘 삼성그룹 정례 사장단 회의에서 어떤 처방을 제시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인성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경영 공백 장기화 우려…비상체제 가동되나?
-
- 입력 2014-05-14 07:14:18
- 수정2014-05-14 08:04:33

<앵커 멘트>
이건희 회장은 깨어나더라도 심장 기능을 회복하려면 최소 석달 이상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때문에 경영 공백의 장기화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정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제 새벽 의식이 돌아올 것이라는 그제 발표와는 달리 이건희 회장이 사흘째 의식을 되찾지 못하자 삼성그룹 직원들은 다소 실망하는 분위깁니다.
<녹취> "(이건희 회장 입원에 대해 내부적으로 어떤 분위기인가요?) 잘 모르겠어요"
이재용 부회장과 함께 사실상 그룹 경영을 총괄하고 있는 최지성 미래전략실장은 어제 새벽 병원을 방문한 뒤 출근했습니다.
이 회장이 두세 달 가량 업무에 복귀하지 못하더라도 문제될 게 없다는 게 삼성측 설명입니다.
계열사별로 전문경영인이 운영하는 이른바 '시스템 경영'이 정착됐기 때문에 비상 경영 대책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이 회장의 공백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업구조 개편과 대규모 투자, 임원진 인사 등 그룹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 의사 결정은 이 회장의 몫이었기 때문입니다.
<녹취> "이건희 회장의 부재는 향후 그룹의 비전이나 투자 결정에 있어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건희 회장의 입원 이후 처음 열리는 오늘 삼성그룹 정례 사장단 회의에서 어떤 처방을 제시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인성입니다.
이건희 회장은 깨어나더라도 심장 기능을 회복하려면 최소 석달 이상 치료가 필요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는데요,
때문에 경영 공백의 장기화가 우려되고 있습니다.
정인성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어제 새벽 의식이 돌아올 것이라는 그제 발표와는 달리 이건희 회장이 사흘째 의식을 되찾지 못하자 삼성그룹 직원들은 다소 실망하는 분위깁니다.
<녹취> "(이건희 회장 입원에 대해 내부적으로 어떤 분위기인가요?) 잘 모르겠어요"
이재용 부회장과 함께 사실상 그룹 경영을 총괄하고 있는 최지성 미래전략실장은 어제 새벽 병원을 방문한 뒤 출근했습니다.
이 회장이 두세 달 가량 업무에 복귀하지 못하더라도 문제될 게 없다는 게 삼성측 설명입니다.
계열사별로 전문경영인이 운영하는 이른바 '시스템 경영'이 정착됐기 때문에 비상 경영 대책도 전혀 고려하고 있지 않다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이 회장의 공백이 장기화될 경우에는 얘기가 달라질 수 있습니다.
사업구조 개편과 대규모 투자, 임원진 인사 등 그룹의 미래를 좌우하는 중요 의사 결정은 이 회장의 몫이었기 때문입니다.
<녹취> "이건희 회장의 부재는 향후 그룹의 비전이나 투자 결정에 있어 비효율을 가져올 수 있는 측면이 있습니다."
이건희 회장의 입원 이후 처음 열리는 오늘 삼성그룹 정례 사장단 회의에서 어떤 처방을 제시할지 주목됩니다.
KBS 뉴스 정인성입니다.
-
-
정인성 기자 chungis@kbs.co.kr
정인성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