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과없는 악취 저감 사업…주민 고통 반복
입력 2014.06.11 (07:39)
수정 2014.06.11 (08:06)
읽어주기 기능은 크롬기반의
브라우저에서만 사용하실 수 있습니다.
<앵커 멘트>
요즘 기온이 올라가면서 양돈장 주변 주민들의 악취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별 단속을 하고 악취 저감 사업도 실시하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예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돈 농가에서 1km 정도 떨어진 곳의 한 마을입니다.
이곳 주민들은 날씨가 더워도 창문을 닫고 생활합니다.
<인터뷰> 백재남(제주시 조천읍) : "이렇게 펴 놓고 저녁을 먹다가 토할 뻔 했어요. 이게 역겹다 말로 어떻게 표현을 못해요."
지난해 제주시내 양돈 농가 밀집 지역에서 접수된 악취 민원은 백 34건으로 2012년 보다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여름철을 앞두고 제주시가 특별 점검에 나섰지만 역부족입니다.
악취가 기준치 이상 배출되면 최대 200만 원까지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지만 대부분 시정권고에 그치고 있습니다.
잇따라 세 번 이상 적발돼야 하는 등 까다로운 단속 기준을 맞추지 못하기때문입니다.
<녹취> 제주시 축산관리 담당자 : "냄새라는게 악취 포집 할 때마다 계속 냄새가 나는게 아니라서 아직 악취방지법 위반으로 과태료를 부과한 적이 없습니다."
이에 대해 농가는 도에서 개발한 냄새 저감 장치 등을 설치해도 효과가 없는데 점검만 강화한다며 불만을 토로합니다.
<녹취> 양돈 농장 관계자(음성변조) : "나름대로 노력을 할 만큼 하는데도. 농장하면서 냄새를 안 나게 할 수는 없잖아요"
제주의 대표산업인 양돈, 해결되지 않는 악취로 주민들의 고통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진입니다.
요즘 기온이 올라가면서 양돈장 주변 주민들의 악취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별 단속을 하고 악취 저감 사업도 실시하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예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돈 농가에서 1km 정도 떨어진 곳의 한 마을입니다.
이곳 주민들은 날씨가 더워도 창문을 닫고 생활합니다.
<인터뷰> 백재남(제주시 조천읍) : "이렇게 펴 놓고 저녁을 먹다가 토할 뻔 했어요. 이게 역겹다 말로 어떻게 표현을 못해요."
지난해 제주시내 양돈 농가 밀집 지역에서 접수된 악취 민원은 백 34건으로 2012년 보다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여름철을 앞두고 제주시가 특별 점검에 나섰지만 역부족입니다.
악취가 기준치 이상 배출되면 최대 200만 원까지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지만 대부분 시정권고에 그치고 있습니다.
잇따라 세 번 이상 적발돼야 하는 등 까다로운 단속 기준을 맞추지 못하기때문입니다.
<녹취> 제주시 축산관리 담당자 : "냄새라는게 악취 포집 할 때마다 계속 냄새가 나는게 아니라서 아직 악취방지법 위반으로 과태료를 부과한 적이 없습니다."
이에 대해 농가는 도에서 개발한 냄새 저감 장치 등을 설치해도 효과가 없는데 점검만 강화한다며 불만을 토로합니다.
<녹취> 양돈 농장 관계자(음성변조) : "나름대로 노력을 할 만큼 하는데도. 농장하면서 냄새를 안 나게 할 수는 없잖아요"
제주의 대표산업인 양돈, 해결되지 않는 악취로 주민들의 고통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진입니다.
■ 제보하기
▷ 카카오톡 : 'KBS제보' 검색, 채널 추가
▷ 전화 : 02-781-1234, 4444
▷ 이메일 : kbs1234@kbs.co.kr
▷ 유튜브, 네이버, 카카오에서도 K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효과없는 악취 저감 사업…주민 고통 반복
-
- 입력 2014-06-11 07:41:25
- 수정2014-06-11 08:06:28

<앵커 멘트>
요즘 기온이 올라가면서 양돈장 주변 주민들의 악취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별 단속을 하고 악취 저감 사업도 실시하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예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돈 농가에서 1km 정도 떨어진 곳의 한 마을입니다.
이곳 주민들은 날씨가 더워도 창문을 닫고 생활합니다.
<인터뷰> 백재남(제주시 조천읍) : "이렇게 펴 놓고 저녁을 먹다가 토할 뻔 했어요. 이게 역겹다 말로 어떻게 표현을 못해요."
지난해 제주시내 양돈 농가 밀집 지역에서 접수된 악취 민원은 백 34건으로 2012년 보다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여름철을 앞두고 제주시가 특별 점검에 나섰지만 역부족입니다.
악취가 기준치 이상 배출되면 최대 200만 원까지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지만 대부분 시정권고에 그치고 있습니다.
잇따라 세 번 이상 적발돼야 하는 등 까다로운 단속 기준을 맞추지 못하기때문입니다.
<녹취> 제주시 축산관리 담당자 : "냄새라는게 악취 포집 할 때마다 계속 냄새가 나는게 아니라서 아직 악취방지법 위반으로 과태료를 부과한 적이 없습니다."
이에 대해 농가는 도에서 개발한 냄새 저감 장치 등을 설치해도 효과가 없는데 점검만 강화한다며 불만을 토로합니다.
<녹취> 양돈 농장 관계자(음성변조) : "나름대로 노력을 할 만큼 하는데도. 농장하면서 냄새를 안 나게 할 수는 없잖아요"
제주의 대표산업인 양돈, 해결되지 않는 악취로 주민들의 고통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진입니다.
요즘 기온이 올라가면서 양돈장 주변 주민들의 악취 피해가 커지고 있습니다.
특별 단속을 하고 악취 저감 사업도 실시하지만 실효를 거두지 못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예진 기자입니다.
<리포트>
양돈 농가에서 1km 정도 떨어진 곳의 한 마을입니다.
이곳 주민들은 날씨가 더워도 창문을 닫고 생활합니다.
<인터뷰> 백재남(제주시 조천읍) : "이렇게 펴 놓고 저녁을 먹다가 토할 뻔 했어요. 이게 역겹다 말로 어떻게 표현을 못해요."
지난해 제주시내 양돈 농가 밀집 지역에서 접수된 악취 민원은 백 34건으로 2012년 보다 2배 넘게 늘었습니다.
여름철을 앞두고 제주시가 특별 점검에 나섰지만 역부족입니다.
악취가 기준치 이상 배출되면 최대 200만 원까지 과태료를 부과할 수 있지만 대부분 시정권고에 그치고 있습니다.
잇따라 세 번 이상 적발돼야 하는 등 까다로운 단속 기준을 맞추지 못하기때문입니다.
<녹취> 제주시 축산관리 담당자 : "냄새라는게 악취 포집 할 때마다 계속 냄새가 나는게 아니라서 아직 악취방지법 위반으로 과태료를 부과한 적이 없습니다."
이에 대해 농가는 도에서 개발한 냄새 저감 장치 등을 설치해도 효과가 없는데 점검만 강화한다며 불만을 토로합니다.
<녹취> 양돈 농장 관계자(음성변조) : "나름대로 노력을 할 만큼 하는데도. 농장하면서 냄새를 안 나게 할 수는 없잖아요"
제주의 대표산업인 양돈, 해결되지 않는 악취로 주민들의 고통은 커지고 있습니다.
KBS 뉴스 이예진입니다.
-
-
이예진 기자 yejin.lee@kbs.co.kr
이예진 기자의 기사 모음
-
이 기사가 좋으셨다면
-
좋아요
0
-
응원해요
0
-
후속 원해요
0
이 기사에 대한 의견을 남겨주세요.